$\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과오소송에서의 증명책임에 대한 소고 -전주지방법원 2017. 7. 21. 선고 2017나9346판결-
A study on the Shift of Burden of Proof in Medical Malpractice - Ruling of Jeonju Appellate Court 2017Na9346 - 원문보기

의료법학, v.22 no.2, 2021년, pp.49 - 79  

이수경 (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윤석찬 (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피고의 잘못된 임플란트 시술로 인하여 원고는 임플란트 보철물 도재 파절 및 역미소선, 치주염 등의 심각한 손상을 입은 사건에서 피고는 원고에게 불법행위 또는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으로 향후 치료비와 위자료를 지급하라는 판결이 나왔다. 이번 대상판결에서는 치과치료에 관한 사안으로서 일반적인 의료과오소송과 마찬가지로 고도의 전문적 지식을 필요로 하는 분야로서 비전문가인 일반인으로서는 치과의사가 의료행위 과정에서 주의의무 위반이 있었는지 여부나 환자에게 발생한 손해 사이의 인과관계가 있었는지 여부를 밝혀내기 극히 어려우므로 증명책임을 경감하는 것으로 구성한 것이다. 대상판결의 사안에서처럼 수술 도중이나 수술 후에 환자에게 중한 결과의 원인이 된 증상이 발생한 경우에 그 증상의 발생에 관하여 의료상의 과실 이외의 다른 원인이 있다고 보기 어려운 간접사실들이 증명된 경우에는 그와 같은 증상이 의료상의 과실에 기한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고 판시하였다. 특히 대상판결에서는 일반적인 수술적 치료의 사안이 아닌 임플란트의 시술의 사례로서 수단채무로서 치과진료의 의료과오소송에서 치과의사의 과실에 관한 환자의 입증책임을 소위 '사실상 추정론'에 근거하여 대폭 경감함으로써 의료기술의 발달과 증가하는 현대 의료과오소송에서 세계적 입법추세인 입증책임의 전환에 더욱 가까이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대상판결에서 치과의사의 '과실'의 판단에 있어 "그 증상이나 발생에 관하여 의료상의 과실 이외의 다른 원인이 있다고 보기 어려운 간접사실이 증명되면 그와 같은 증상이 의료상의 과실에 기한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고 판시한 점에서 명확히 확인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defendant's wrongful act by implant surgery, plaintiff has been suffered serious damages to his face and teeth, and pain caused by establishing implanted teeth. Jeonju Appellate Court sentenced to pay future medical expenses and alimony to the plaintiff in compensation for breach of duty or t...

주제어

참고문헌 (40)

  1. 곽종훈, 「의료소송실무」, 박영사, 2021. 

  2. 김민중, 「의료의 법률학」, 신론사, 2011. 

  3. 김선중, 「의료과오소송법」, 박영사, 2005. 

  4. 김선중, 「의료사고 손해배상소송」, 육법사, 2014. 

  5. 김형배, 「채권각론」 신정판, 박영사, 2001. 

  6. 노갑영, 「의료분쟁의 이해」, 마인드 탭, 2018. 

  7. 대한의사협회, 「의료법과 의료분쟁의 이해」, 법문사, 2009. 

  8. 박영호, 「의료분쟁과 법」, 법률정보센터, 2005. 

  9. 신현호, 「의료분쟁 조정.소송 총론」, 육법사, 2011. 

  10. 이상돈.김나경, 「의료법 강의」, 법문사, 2020. 

  11. 이시윤, 「신민사소송법」, 제12판, 박영사, 2018. 

  12. 주호노, 「의사법학론」, 법문사, 2017. 

  13. 최재천.박영호, 「의료과실과 의료소송」, 고법사, 2004. 

  14. Marcia M. Boumil & Paul A. Hattis, MEDICAL LIABILITY, 4th edition, West Academic (2017). 

  15. Victor E. Schwartz.Kathryn Kelly.David F. Partlett, Prosser, Wade, and Schwartz's TORTS CASE AND MATERIALS 13th edition, Foundation Press, (2015). 

  16. 김용빈, "의료과오소송에 있어 입증책임 완화에 따른 의료과실의 의미와 판단기준", 「의료법학」 제9권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08. 

  17. 김일룡, "판례에 나타난 의료과오소송에 있어서 증명책임의 구조", 「의생명과학과 법」 제6권,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18. 김주경, "우리나라 국민의 의료서비스 이용 현황과 시사점", 국회입법조사처, 2020. 

  19. 김천수, "의사책임소송에 있어서의 입증문제에 관한 고찰- 독일의 의사책임법이론을 중심으로", 「법학논총」 제7권, 대구대학교, 1992. 

  20. 김화.송진성, "의사의 과실이 추정된 사안에서 치료비 부담의 문제-의사에게 모든 치료비를 부담하게 하는 판례에 대한 비판적 고찰", 「사법」 통권 53호, 사법발전재단, 2020. 

  21. 박수곤, "의료계약의 민법편입과 과제", 「민사법학」 제60권, 한국민사법학회, 2021. 

  22. 박영호, "의료과실소송에 있어서 과실과 인과관계의 입증과 그 방법", 「저스티스」 제77권, 한국법학원, 2004. 

  23. 박종권, "의료과오소송에서 인과관계의 입증경감", 「비교법학연구」 제2집, 한국비교법학회, 2003. 

  24. 박종권, "의료과오소송에서 입증책임전환론", 「비교사법」 제14권 1호, 2007. 

  25. 반흥식, "독일법의 증명책임과 증명경감론의 전개와 동향", 「민사소송」 제16권 2호, 한국민사소송법학회, 2012. 

  26. 백경희, "의료과오소송에 있어서 인과관계의 판단과 입증책임에 관한 판례의 최근 경향 -일본 판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의료법학」 제8권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07. 

  27. 신은주, "의료과오소송에 있어서 과실의 입증", 「한국의료법학회지」 제24권 2호, 한국의료법학회, 2016. 

  28. 안법영, "의료사고 소송상 인과관계 추정", 「의료법학」 제6권 2호, 대한의료법학회, 2005. 

  29. 유현정, "병원감염 사건에서 증명책임 완화에 관한 입법적 고찰- 개정 독일민법을 중심으로-", 「의료법학」 제16권 2호, 대한의료법학회, 2015. 

  30. 유현정, 「의료소송에서 과실과 인과관계의 증명: 병원판결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법무대학원, 2014. 

  31. 윤석찬, "의료계약의 민법전 도입가능성", 「재산법연구」 제36권 2호, 2019. 

  32. 이수경.윤석찬, "병원감염에서의 법적쟁점", 「의료법학」 제20권 1호, 2019. 

  33. 의료중재원, 「의료분쟁 조정.중재 통계연보」, 2019. 

  34. 조민석, "의료과오소송에서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 「법이론실무연구」 제4권 2호, 2016. 

  35. 한태일, "의료소송상 환자보호를 위한 방안의 검토- 입증부담의 경감방안 및 적극적 위자료 인정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법학논집」 제21권 4호, 이화여자대학교, 2017. 

  36. 한태일, "임플란트 시술상 의료과오의 소송상 쟁점에 관하여- 계약의 법적성격 및 입증책임 완화를 중심으로-", 「의료법학」 제19권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18. 

  37. Dale A. Nance, CHOICE OF LAW FOR BURDENS OF PROOF, 46 N.C. J. INT'L. 235-313 (2021). 

  38. Michael A. Jones, MEDICAL MALPRACTICE AND COMPENSATION IN GLOBAL PERSPECTIVE, 7 JETL 101 (2016). 

  39. Michael Mofffitt, SETTLMENT MALPRACTICE, 86 U.CHI. L. REV. 1825 (2019). 

  40. Nina Misic Radanavoic & Ivan Vukusic, CAUSATION IN MEDICAL MALPRACTICE, EU AND COMPARATIVE LAW ISSUES AND CHALLENGES SERIES, Issue 4, 771-797 (202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