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혼이주여성의 성역할태도와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Marriage Migrant Women's Gender Role Attitude and Perceptions of Domestic Violenc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7 no.2, 2021년, pp.9 - 16  

김혜숙 (목포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  최은영 (조선간호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성역할태도와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19년 10월 4일부터 12월 20일까지 J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37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성역할태도는 총점 4점 중 평균 2.05점으로 나타났고, 대상자의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은 총점 4점 중 평균 2.02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역할태도는 국내거주기간, 교육수준, 국적, 월평균소득, 국제결혼중개업체의 이용 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은 연령, 교육수준, 국적, 초혼 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정폭력에 대한 의식교육과 홍보 등을 통해 다문화가족의 가정폭력을 예방하고 해결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understand the degree of perception of gender role attitudes and domestic violence targeting marriage migrant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71 married migrant women residing in area J from October 4 to December 20, 2019. Data analysis was stati...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19)

  1. Statistics Korea, Married migrant present condition. http://www.index.go.kr. 2020. 

  2. M. S. Song, K. M. Park,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 of the Family Strengths of Married Migrant Women",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JCCT). Vol. 4, No. 2, pp.43-52, 2018. 

  3. J. B. Koo, "A Study on the Training Plan of Local Culture Promotion Personnel through the Migrant Women in Uljin-gun",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Vol. 7, No. 1, pp186-198, 2019. 

  4. S. S. Seo, J Paik, "The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Ego-Resilience, and Gender Role Attitudes on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Migrant Wome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5, No. 8, pp301-310, 2017. 

  5. K. S. Ko, "Experience of foreign wives who have been abused by their family", Victim Studies. Vol. 18, No. 1, pp229-259, 2010. 

  6. M. H. Kong, S. J. Oh, " Its Effects of Gender Role Attitudes and Social Supports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s - Focused on Vietnamese & Filipino woman-Korean man Couples in Busan", Family and Culture. Vol. 22, No. 2, pp95-120, 2010. 

  7. K. S. Eun, "Relation between Gender Role Attitude and Educational Attainment for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Family and Culture. Vol. 31, No. 1, pp109-139, 2019. 

  8. E. J. Lee, "Influences of Cultural sensitivity, Couple communication, and Sex-role Attitudes on Marital Satisfaction of Korean Husbands of Foreign Wives focused on the contents of the program for them", Social Science Research. Vol. 26, No. 4, pp45-71, 2010. 

  9. E. A. Imamura, "Strangers in a Strange land: Coping with marginality in International Marriage", Journal of Comparaative Family Studies. Vol. 21, pp171-191, 1990. 

  10. D. H. Sul, et al., "International Marriage Women's Survey and Health and Welfare Support Polic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ttp://www.nl.go.kr. 2005. 

  11. H. S. Park, " A Study on the Causes and Perceptions of Domestic Violence",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 9, No. 8, pp611-620, 2019. 

  12. Y. Cho, "A Study on the Domestic Violence Against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n Multi-Cultural Family ", Victim Studies. Vol. 18, No. 1, pp159-183, 2010. 

  13. M. Abraham, " Isolation as a Form of Marital Violence: The South Asian Immigrant experience", Journal of Social Distress and The Homeless. Vol. 9, No. 3, pp221-236, 2000. 

  14.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3 Domestic Violence Survey Research,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https://www.kwdi.re.kr. 2013. 

  15. M. Flood, "Measures for The assessment of Dimensions of Violence against Women", Melbourne: Australian Research Center in Sex, Health and Society, La Trobe University, 2008. 

  16.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6 Domestic Violence Survey Research,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https://www.kwdi.re.kr. 2016. 

  17. K. R. Choi, " Sex-Role Attitude, Conjugal Status Level and Status Satisfaction of Married Women Living in Korean Rur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ome Management. Vol. 19, No. 3, pp53-72, 2001. 

  18. M. J. Kim, "Filipino Wife of Korean Family Change and Local Community", Feminism Research. Vol. 7, No. 2, pp213-248, 2007. 

  19. O. N. Kim,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Marital Conflicts of Immigrant Women', Family and Culture. Vol. 18, No. 3, pp63-106,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