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들깨의 생육단계와 부위별 기능성화합물 함량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Functional Compounds in Perilla frutescens at Different Stages and Growth Time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31 no.5, 2021년, pp.511 - 519  

김해은 (동아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응용생명과학과, 분자유전공학과) ,  윤희랑 (동아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응용생명과학과, 분자유전공학과) ,  허재복 (동아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응용생명과학과, 분자유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들깨(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는 대표적인 유지작물 중 하나로서, 목적에 따라 잎들깨와 종실들깨로 구분된다. 들깨는 식용과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들깨의 잎, 줄기, 종자에는 다양한 기능성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들깨를 기능성 소재로서 이용하고자 최적의 수확시기 및 조건을 분석하기 위해 새싹들깨와 잎들깨의 생육단계별 및 부위별로 들깨의 주요 기능성 화합물인 rosmarinic acid, caffeic acid, luteolin, GABA의 함량 비교하였다. 새싹들깨의 기능성 화합물 분석 결과 자연광 조건하의 흙에서 재배한 새싹들깨가 rosmarinic acid 23.19±0.16 mg/g과 GABA 0.55±0.05 mg/g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고, 파종 후 6~8일 시기에 rosmarinic acid, caffeic acid, GABA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자연광 조건하의 흙에서 파종 후 6~8일이 새싹들깨의 최적의 수확조건으로 판단된다. 생육단계별 및 부위별로 잎들깨의 기능성 화합물 변화 분석결과 caffeic acid와 rosmarinic acid는 영양생장에서 생식생장으로 넘어가는 단계에 0.28±0.03~0.30±0.07 mg/g과 20.60±7.02~19.37±3.18 mg/g으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luteolin은 생식생장단계에 31.11±2.98~22.35±1.64 ㎍/g으로 함량이 가장 높았다. GABA는 영양생장 초기단계에서 0.42±0.09~0.37±0.04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부위별 분석 결과 잎, 줄기, 추대 부위 중 추대부위가 rosmarinic acid (55.22±9.33 mg/g), caffeic acid (0.39±0.03 mg/g), luteolin (1044.89±6.72 ㎍/g)으로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새싹들깨와 잎들깨에서 기능성 화합물이 가장 증가하는 시기를 확인함으로써 적합한 수확시기 및 부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능성 소재로서 들깨를 이용하기 위해 새싹들깨와 잎들깨의 적합한 수확시기 및 조건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is widely cultivated in Korea for vegetable leaves and oil seeds. Perilla species have been used for food and medicine and are known to contain many functional compound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functional compound contents of Perilla during its g...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들깨를 식용소재로서가 아닌 기능성 식품소재 및 의약 소재로서 이용하고자 새싹 들깨 및 생장단계별과 부위별로 들깨의 Caffeic acid (CA), Rosmarinic acid (RA), Luteolin (LT), γ-Aminobutyric acid (GABA) 함량 변화를 분석하여 적합한 수확시기와 수확부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hmed, H. M. 2019. Ethnomedicinal,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investigations of Perilla frutescens (L.) Britt. Molecules 24, 102. 

  2. Asif, M. 2011. Health effects of omega-3,6,9 fatty acids: Perilla frutescens is a good example of plant oils. Orient. Pharm. Exp. Med. 11, 51-59. 

  3. Rashmi, D., Zanan, R., John, S., Khandagale, K. and Nadaf, A. 2018. γ-Aminobutyric Acid (GABA): Biosynthesis, role, commercial production, and applications. Studies in Natural Products Chemistry 57, 413-452 

  4. Gai, F., Peiretti, P. G., Karamac, M. and Amarowicz, R. 2017. Changes in the total poly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capacities of Perilla (Perilla frutescens L.) plant extracts during the growth cycle. Journal of Food Quality, pp.8. 

  5. Hayat, A., Jahangir, T. M., Khuhawar, M. Y., Alamgir, M., Hussain, Z., Haq, F. U. and Musharraf, S. G. 2015. HPLC determination of gamma amino butyric acid (GABA) and some biogenic amines (BAs) in controlled, germinated, and fermented brown rice by pre-column derivatization. J. Cereal Sci. 64, 56-62 

  6. Hayat, A., Jahangir, T. M., Khuhawar, M. Y., Alamgir, M., Siddiqui, A. J. and Musharraf, S. G. 2014. Simultaneous HPLC determination of gamma amino butyric acid (GABA) and lysine in selected Pakistani rice varieties by pre-column derivatization with 2-Hydroxynaphthaldehyde. J. Cereal Sci. 60, 356-360 

  7. Jannoey, P., Niamsup, H., Lumyong, S., Suzuki, T., Katayama, T. and Chairote, G. 2010. Comparison of gamma-amino-butyric acid production in Thai rice grains.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26, 257-263. 

  8. Jeon, I. H., Kim, H. S., Kang, H. J., Lee, H. S., Jeong, S. I., Kim, S. J. and Jang, S. I. 2014. Anti-inflammatory and antipruritic effects of luteolin from Perilla (P. frutescens L.) leaves. Molecules 19, 6941-6951. 

  9. Kang, N. S. and Lee, J. H. 2011. Characterisation of phenolic phytochemicals and quality changes related to the harvest times from the leaves of Korean purple perilla (Perilla frutescens). Food Chem. 124, 556-562 

  10. Kim, D. J., Assefa, A. D., Jeong, Y. J., Jeon, Y. A., Lee, J. E., Lee, M. C., Lee, H. S., Rhee, J. H. and Sung, J. S. 2019. Variation in fatty acid composition, caffeic and rosmarinic ac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erilla accessions. Kor. J. Med. Crop Sci. 27, 96-107. 

  11. Kim, G. D., Park, Y. S., Jin, Y. H. and Park, C. S. 2015. Production and applications of rosmarinic acid and structurally related compounds. Appl. Microbiol. Biotechnol. 99, 2083-2092. 

  12. Lee, H. S., Lee, H. A., Hong, C. O., Yang, S. Y., Hong, S. Y., Park, S. Y., Lee, H. J. and Lee, K. W. 2009. Quantification of caffeic acid and rosmarinic acid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water extracts from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Kor. J. Food Sci. Technol. 41, 302-306 

  13. Lee, J., Jung, E., Koh, J., Kim, Y. S. and Park, D. 2008. Effect of rosmarinic acid on atopic dermatitis. J. Dermatol. 35, 768-71 

  14. Lee, J. H., Baek, I. Y., Kang, N. S., Jung, C. S., Lee, M. H., Park, K. Y. and Ha, T. J. 2009.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and comparison of rosmarinic and caffeic acids from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varieties. Food Sci. Biotechnol. 18. 793-798. 

  15. Lee, M. H., Jung, C. S., Pae, S. B., Hwang, C. D., Park, C. H., Shim, K. B., Park, K. Y., Kim, H. K., Park, S. K. and Ha, T. J. 2009. Variation of caffeic acid, rosmarinic acid, luteolin and apigenin contents in Perilla Germplasm. Kor. J. Breed. Sci. 41, 391-396. 

  16. Lim, S. D., Kim, K. S. and Do, J. R. 2009.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ABA production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RMK567 isolated from raw milk. Kor. J. Food Sci. Anim. Resour. 29, 15-23. 

  17. Mody, I., Koninck, Y., Otis, T. S. and Soltesz, I. 1994. Bridging the cleft at GABA synapses in the brain. Trends Neurosci. 17, 517-525. 

  18. Oh, H. A., Park, C. S., Ahn, H. J., Park, Y. S. and Kim, H. M. 2011. Effect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and rosmarinic acid on allergic inflammatory reactions. Exp. Biol. Med (Maywood). 236, 99-106. 

  19. Oh, S. and Oh, C. 2003. Brown rice extracts with enhanced level of GABA stimulate immune cells. Food Sci. Biotechnol. 12, 248-252. 

  20. Oh, S. I. and Lee, M. S. 2003. Screening for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capacities in 7 common vegetables taken by Korean. J. Kor. Soc. Food Sci. Nutr. 32, 1344-1350. 

  21. Panrod, K., Tansirikongkol, A. and Panapisal, V. 2016. Comparison of validate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using two derivatizing agents for gamma-aminobutyric acid quantification. TJPS 40, 203-208. 

  22. Petersen, M., Abdullah, Y. and Benner, J. 2009. Evolution of rosmarinic acid biosynthesis. Phytochemistry 70, 1663-1679. 

  23. Gan, R. Y., Lui, W. Y., Wu, K., Chan, C. L., Dai, S. H., Sui, Z. Q. and Corke, H. 2017. Bioactive compounds and bioactivities of germinated edible seeds and sprouts: An updated review. Trends Food Sci. Technol. 59, 1-14. 

  24. Sanbongi, C., Takano, H., Osakabe, N., Sasa, N., Natsume, M., Yanagisawa, R., Inoue, K. I., Sadakane, K., Ichinose, T. and Yoshikawa, T. 2004. Rosmarinic acid in perilla extract inhibits allergic inflammation induced by mite allergen, in a mouse model. Clin. Exp. Allergy 34, 971-977. 

  25. Tourandokht, B., Mehrdad, R. and Parastou, K. 2013. Rosmarinic acid mitigates learning and memory disturbances in amyloid β (25-35)-induced model of Alzheimer's disease in rat. J. Basic Clin. Pathophysiol. 2, 7-14. 

  26. Ueda, H., Yamazaki, C. and Yamazaki, M. 2002. Luteolin as an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constituent of Perilla frutescens. Biol. Pharm. Bull. 25, 1197-120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