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LS-SEM을 이용한 강원도 산불 발생의 영향 요인 평가 : 가뭄 및 기상학적 요인을 중심으로
Evaluating Impact Factors of Forest Fire Occurrences in Gangwon Province Using PLS-SEM: A Focus on Drought and Meteorological Factors 원문보기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41 no.3, 2021년, pp.209 - 217  

유지영 (한양대학교(ERICA) 공학기술연구소) ,  한정우 (텍사스 A&M 대학교 생명농업공학과) ,  김동욱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김태웅 (한양대학교(ERICA)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불은 대부분 인위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되지만, 산불의 피해가 대규모로 확산하는 연소 조건은 자연현상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인자 사이의 의존 및 인과관계를 분석할 수 있는 부분최소제곱 구조방정식 모형(PLS-SEM)을 이용하여 기상 및 가뭄이 산불 발생에 미치는 인과관계와 영향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지난 2015년부터 약 5년 기간 동안 발생한 강원도 산불에 미치는 가뭄의 영향은 27 %, 기상학적 영향은 38 %로 확인되었다. 또한, 강원도에서 발생한 산불 중에서 봄철에 발생한 산불은 약 60 %의 비율을 차지하며, 이는 기상학적 요인과 더불어 이전 연도의 가을과 겨울철 가뭄이 산불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산불 발생위험을 평가하는 데 있어 극심한 기상학적 가뭄이 가을과 겨울철에 발생했다면, 이듬해 봄에는 산불의 발생확률은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forest fires are more often triggered by artificial causes than by natural causes, the combustion conditions that spread forest fire damage over a large area are affected by natural phenomena. Therefore, using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which can analyze t...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25)

  1. Anh, H. H., Hanh, T. M. D., Vi, N. T. T. and Shunbo, Y. (2018). "Examining the interaction of flood vulnerability determinants in Cambodia and Vietnam using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ter Policy, Vol. 20, No. 6, pp. 1256-1278. 

  2. Barbero, R., Abatzoglou, J. T., Steel, E. A. and Larkin, N. K. (2014). "Modeling very large-fire occurences over the continental United States from weather and climate forcing."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Vol. 9, No. 124009. 

  3. Bifulco, C., Rego, F., Dias, S. and Stagge, J. H. (2014). "Assessing the association of drought indicators to impacts: The results for areas burned by wildfires in Portugal." Advances in Forest Fire Research, pp. 1054-1060. 

  4. Clarke, H. and Evans, J. P. (2019). "Exploring the future change space for fire weather in southeast Australia."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Vol. 136, pp. 513-527. 

  5.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Lawrence Erlbaum, Mahwah, NJ. 

  6. Djimesah, I. E., Okine, A. N. D. and Mireku, K. K. (2018). "Influential factors in creating warning systems towards flood disaster management in Ghana: An analysis of 2007 Northern flood."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ster Risk Reduction, Vol. 28, pp. 318-326. 

  7. Fornell, C. and Cha, J. (1994). Partial least squares, In R. P. Bagozzi (Ed.), Advanced Methods of Marketing Research, Cambridge, pp. 52-78. 

  8. Fornell, C. G. and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18, No. 1, pp. 39-50. 

  9. Hair, J. F., Anderson, R. E., Tatham, R. L. and Black, W. C. (1998). Multivariate analysis,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J. 

  10. Hair, J. F., Hult, G. T. M., Ringle, C. M. and Sarstedt, M. (2014). A primer on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age, Thousand Oaks, CA. 

  11. Hair, J. F., Ringle, C. M. and Sarstedt, M. (2011). "PLS-SEM: Indeed a silver bullet."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Vol. 19, No. 2, pp. 139-152. 

  12. Korea Forest Service (2020). 2019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 fire (in Korean). 

  13. Lee, S. Y., Han, S. Y., Won, M. S., An, S. H. and Lee, M. B. (2004). "Developing of forest fire occurrence probability model by using the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 in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6, No. 4, pp. 242-249 (in Korean). 

  14. Marin, P. G., Julio, C. J., Dante Arturo, R.T. and Jose, V. N. D. (2017). "Drought and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forest fires across Mexico." Chinese Geographical Science, Vol. 28, pp. 25-37. 

  15. McEvoy, D. J., Hobbins, M., Brown, T. J., VanderMolen, K., Wall, T., Huntington, J. L. and Svoboda, M. (2019). "Establishing relationships between drought indices and wildfire danger outputs: A test case for the California-Nevada drought early warning system." Climate, Vol. 7, No. 4. 

  16. Nogueira, J. M., Rambal, S., Barbosa, J. P. R. A. D. and Mouillot, F. (2017). "Spatial pattern of the seasonal drought/burned area relationship across Brazilian biomes: Sensitivity to drought metrics and global remote-sensing fire products." Climate, Vol. 5, No. 2. 

  17. Nunnally, J. (1978). Psychometric theory, McGraw-Hill, New York, USA. 

  18. Shipley, B. (2000). Cause and correlation in biology: A user's guide to path analysis, structural equations and causal infer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19. Sung, M. K., Lim, G. H., Choi, E. H., Lee, Y. Y., Won, M. S. and Koo, K. S. (2010). "Climate change over Korea and its relation to the forest fire occurrence." Atmosphere, Vol. 20, No. 1, pp. 27-35. 

  20. Tenenhaus, M., Esposito Vinzi, V., Chatelin, Y. and Lauro, C. (2005). "PLS path modeling." Computational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Vol. 48, No. 1, pp. 159-205. 

  21. Urbieta, I. R., Zavala, G., Bedia, J., Gutierrez, J. M., San Miguel-Ayanz, J., Camia, A., Keeley, J. E. and Moreno, J. M. (2015). "Fire activity as a function of fire-weather seasonal severity and antecedent climate across spatial scales in southern Europe and Pacific western USA."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Vol. 10, No. 114013. 

  22. Won, M. S., Jang, K. C. and Yoon, S. H. (2016). "Developing Korean forest fire occurrence probability model reflecting climate change in the spring of 2000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18, No. 4, pp. 199-207 (in Korean). 

  23. Won, M. S., Koo, K. S. and Lee, M. B. (2006). "An analysis of forest fire occurrence hazards by changing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en-day intervals for 30 years in spring."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8, No. 4, pp. 250-259 (in Korean). 

  24. Won, M. S., Miah, D., Koo, K. S., Lee, M. B. and Shin, M. S. (2010). "Meteorological determinants of forest fire occurrence in the fall,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ol. 99, No. 2, pp. 163-171 (in Korean). 

  25. Zuniga-Vasquez, J. M., Cisneros-Gonzalez, D. and Pompa-Garcia, M. (2019). "Drought regulates the burned forest areas in Mexico: the case of 2011, a record year." Gerocarto International, Vol. 34, No. 5, pp. 560-5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