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계학습 기반의 산불위험 중기예보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Mid-range Forecast Models of Forest Fire Risk Using Machine Learning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8 no.5 pt.2, 2022년, pp.781 - 791  

박수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활용부) ,  손보경 (울산과학기술원 도시환경공학과) ,  임정호 (울산과학기술원 도시환경공학과) ,  강유진 (울산과학기술원 도시환경공학과) ,  권춘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환경보전연구부) ,  김성용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환경보전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불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산불위험 예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기계학습 기반의 산불위험 중기예보(1일 후부터 7일 후까지) 모델을 개발하였다. Glob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GDAPS)의 기상예보 자료와 기 개발된 산불위험지수(Fire Risk Index, FRI)의 과거 및 현재 정보, 그리고 기타 환경요소(i.e., 고도, 산불다발지수, 가뭄지수)의 현재 정보를 반영하여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학습을 통해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효율적인 모델 개발을 목적으로 과거 산불위험지수와 가뭄지수의 유무를 고려하여 세가지 경우(Scheme 1: 과거 산불위험지수 및 가뭄지수, Scheme 2: 과거 산불위험지수, Scheme 3: 과거 산불위험지수 변화 추세 및 가뭄지수)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산불위험예보모델은 예보기간에 상관없이 높은 정확도(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0.8, relative root mean square error <10%)를 나타냈으며, 실제 산불 발생 건에 대해서도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과거 산불위험지수의 추세보다는 산불위험지수 값 자체를 입력변수로 사용하는 것이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가뭄지수 사용과 관계없이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crucial to provide forest fire risk forecast information to minimize forest fire-related losses. In this research, forecast models of forest fire risk at a mid-range (with lead times up to 7 days) scale were developed considering past, present and future conditions (i.e., forest fire risk, dro...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산불위험지수의 과거 및 현재 정보와 미래 기상정보를 융합하여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산불위험 중기예보 모델을 개발하였다. 인적발화가 주를 이루는 우리나라의 산불발생 특징을 이용하여 인적요소가 고려된 산불위험지수를 이용하였으며, 기타 환경요소(i.

가설 설정

  • 이는 과거 산불위험지수의 시계열 패턴과 미래 기상자료의 정확도에 따라 생기는 차이일 것으로 예상되며, 추후 Scheme의 앙상블 적용 혹은 입력변수의 조정 등을 통해 산불위험예보에 적합한 모델을 최종 선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예측된 산불위험지수의 낮은 해상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GDAPS의 낮은 공간해상도를 고려하여 5 km 해상도로 산불위험 예보 결과를 산출하였다.
  •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제공받은 산불다발지수(forest fire hazard index)는 1991년부터 2015년 기간에 발생한 산불을 수치 지도화한 것으로 산불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지역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에 산불이 빈번히 발생했다는 것은 현재에도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가정하고 5 km 격자로 재가공하여 입력변수로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bdollahi, M., T. Islam, A. Gupta, and Q. K. Hassan, 2018. An advanced forest fire danger forecasting system: Integration of remote sensing and historical sources of ignition data, Remote Sensing, 10(6):923. https://doi.org/10.3390/rs10060923 

  2. Breiman, L., 2001. Random forests, Machine Learning, 45(1): 5-32. https://doi.org/10.1023/A:1010933404324 

  3. Boychuk, D., C.B. McFayden, J. Evens, J. Shields, A. Stacey, D.G. Woolford, M. Wotton, D. Johnston, D. Leonard, and D. McLarty, 2020. Assembling and customizing multiple fire weather forecasts for burn probability and other fire management applications in Ontario, Canada, Fire, 3(2): 16. https://doi.org/10.3390/fire3020016 

  4. Farfan, M., C. Dominguez, A. Espinoza, A. Jaramillo, C. Alcantara, V. Maldonado, I. Tovar, and A. Flamenco, 2021. Forest fire probability under ENSO conditions in a semi-arid region: a case study in Guanajuato,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193(10): 1-14. https://doi.org/10.3390/fire3020016 

  5. Gudmundsson, L., F.C. Rego, M. Rocha, and S. I. Seneviratne, 2014. Predicting above normal wildfire activity in southern Europe as a function of meteorological drought,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9(8): 084008. http://dx.doi.org/10.1088/1748-9326/9/8/084008 

  6. Jolly, W.M., P.H. Freeborn, W.G. Page, and, B.W. Butler, 2019. Severe fire danger index: A forecastable metric to inform firefighter and community wildfire risk management, Fire, 2(3): 47. https://doi.org/10.3390/fire2030047 

  7. Kang, Y.J., S.M. Park, E.N. Jang, J.H. Im, C.G. Kwon, and S.J. Lee, 2019. Spatio-temporal enhancement of forest fire risk index using weather forecast and satellite data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2(4): 116-1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11108/kagis.2019.22.4.116 

  8. Kang, Y., E. Jang, J. Im, C. Kwon, and S. Kim, 2020. Developing a new hourly forest fire risk index based on catboost in South Korea, Applied Sciences, 10(22): 8213. https://doi.org/10.3390/app10228213 

  9. Kim, S.J., C.H. Lim, G.S. Kim, J. Lee, T. Geiger, O. Rahmati, Y. Son, and W. K. Lee, 2019. Multitemporal analysis of forest fire probability using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variables, Remote Sensing, 11(1): 86. https://doi.org/10.3390/rs11010086 

  10. Park, S., B. Son, J. Im, J. Lee, B. Lee, and C. Kwon, 2019. Development of satellite-based drought indices for assessing wildfire risk,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5(6-3): 1285-129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7780/kjrs.2019.35.6.3.11 

  11. Pham, B.T., A. Jaafari, M. Avand, N. Al-Ansari, T. Dinh Du, H.P.H. Yen, T.V. Phong, D.H Nguyen, D. Mafi-Gholami, I. Prakash, H. Thi Thuy, and T.T. Tuyen, 2020. Performance evaluation of machine learning methods for forest fire modeling and prediction, Symmetry, 12(6): 1022. http://dx.doi.org/10.3390/sym12061022 

  12. Preisler, H.K. and A.L. Westerling, 2007. Statistical model for forecasting monthly large wildfire events in we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nd Climatology, 46(7): 1020-1030. https://doi.org/10.1175/JAM2513.1 

  13. Sahoo, S., P.K. Gupta, and S.K. Srivastav, 2020. Intercalibration of DMSP-OLS and SNPP-VIIRSDNB annual nighttime light composites using machine learning, GIScience & Remote Sensing, 57(8): 1144-1165. https://doi.org/10.1080/15481603.2020.1848323 

  14. Seong, N., M. Seo, K.-S. Lee, C. Lee, H. Kim, S. Choi, and K.-S. Han, 2015. A water stress evaluation over forest canopy using NDWI in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1(2): 77-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7780/kjrs.2015.31.2.3 

  15. Sothe, C., C.M. De Almeida, M.B. Schimalski, L.E.C. La Rosa, J.D.B. Castro, R.Q. Feitosa, M. Dalponte, C.L. Lima, V. Liesenberg, G.T. Miyoshi, and A.M.G. Tommaselli, 2020. Comparative performance of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weighted and conventional support vector machine and random forest for classifying tree species using hyperspectral and photogrammetric data, GIScience & Remote Sensing, 57(3): 369-394. https://doi.org/10.1080/15481603.2020.1712102 

  16. Yan, W., J. Ren, J. Feng, Y. Duan, and C. Wei, 2022. A New Forest Fire Risk Rating Forecast Model Based on XGBoost, Proc. of 2022 International Seminar on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Technology (SCSET), Indianapolis, IN, USA, Jan. 8-9, pp. 227-230. https://doi.org/10.1109/SCSET55041.2022.00060 

  17. Yarragunta, Y., S. Srivastava, D. Mitra, and H.C. Chandola, 2020. Influence of forest fire episodes on the distribution of gaseous air pollutants over Uttarakhand, India, GIScience & Remote Sensing, 57(2): 190-206. https://doi.org/10.1080/15481603.2020.17121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