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삼척 검봉산 일대 산불 피해복원지 식생 구조 특성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of Burned Area in Mt. Geombong, Samcheok-si, Kangwon-do 원문보기

현장농수산연구지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e and fisheries research, v.24 no.3, 2022년, pp.15 - 24  

성정원 (국립한국농수산대학 조경학과) ,  심윤진 (국립한국농수산대학 조경학과) ,  이경철 (국립한국농수산대학 산림학과) ,  권형근 (국립한국농수산대학 산림학과) ,  강원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정유경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이채림 (국립한국농수산대학 산학협력단) ,  변세민 (국립한국농수산대학 산학협력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해안 지역에서 발생되는 대형 산불의 원인은 건조주의보, 영동지역에서 불어오는 강한 바람, 소나무의 단순림, 임도 유무와 상태 등을 들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2000년 동해안 산불로 삼척시는 전체 피해면적의 약 70%인 17,000ha 이상의 산림이 소실되었다. 이후 삼척의 산불 피해지역은 인공복원와 자연복원을 구분하여 식생 분석을 통해 산림복원(회복) 정도를 파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조사 대상지인 삼척 검봉산 일대는 기존 소나무가 우점하는 곳으로 2001년 복원을 위해 소나무, 곰솔, 굴참나무 등을 조림하였고, 일부는 자연복원을 하였다. 복원 이후 21년 지난 현재 삼척 검봉산 일대 산불피해 복원지역의 식생은 크게 굴참나무-소나무군락, 소나무-신갈나무군락, 곰솔-소나무 군락으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피해지 식생회복은 굴참나무, 소나무, 곰솔 등 조림으로 현재 식생은 산불발생 이전의 임상으로 회복되고 있다. 특히, 산불의 유형 중 지표화 피해지역은 하층 식생의 피해가 크다. 기존의 소나무는 결실된 종자를 비산하여 치수를 발생시켜 자연복원의 속도를 높이고 굴참나무를 활용한 인공복원은 맹아를 발달시켜 본인의 영역을 확장하는 전략을 지니고 있다. 단, 입지적 환경이 동일하다는 전제 조건에서 숲에서 재생 기작이 진행되는 자연 복원보다는 인공복원이 회복시간과 종다양성이 높은 측면에서는 효과적인 것으로 결론을 지을 수 있다. 한편, 산불 발생 초기 굴참나무 조림은 4년 이후 아교목층(4m 이상)까지 부피 생장을 하고 종자 발아에 따른 개체수도 늘어난 모습을 보였다. 현재 소나무와 굴참나무, 신갈나무 군락지 간 수관 경쟁으로 소나무가 도태되는 천이 촉진 현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굴참나무-소나무군락은 교목층에서는 조림 수종인 굴참나무가 높은 상대우점치를 나타내고 있지만, 아교목층은 자연 이입종인 신갈나무와 산불 이전 우점종인 소나무가 높은 우점치를 나타내는 특징을 보였다. 소나무나 곰솔이 우점하는 군락에 비해 복원 후 자연 이입종인 신갈나무에 의한 우점도가 높아 향후 혼효림으로 발달할 것으로 보이며, 이후 신갈나무와 굴참나무가 우점할 것으로 예측된다. 소나무-신갈나무군락은 조림 수종인 소나무와 자연 이입종인 신갈나무가 경쟁하고 있는 군락이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산불 지역의 자연 회복지는 초기에 신갈나무와 쇠물푸레나무가 우점하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하였으나, 본 군락은 교목층과 아교목층 모두 소나무가 우점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산불 이전 식생이었던 소나무군락을 형성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동해안은 과거 헐벗은 상태로 장기간 노출된 곳으로 유기물층이 없는 곳이 많다. 또한, 이곳에 광물질 토양이 노출된 나지에 소나무 종자가 비산하여 발아되고 숲을 형성하게 되지만 토양 비옥도가 개선되지 못한다면 자연 천이가 아닌 소나무림으로 장기간 지속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곰솔-소나무군락은 곰솔이 교목층과 아교목층 모두 우점하고 있다. 곰솔-소나무군락은 단순림으로 다른 조사지역과 비교할 때 종다양도가 낮은 특징을 나타내며, 경쟁 수종이 없어 곰솔-소나무림의 형태를 유지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산불이 수목의 전소된 상태에서 소나무림 하층에 싸리 등 단일종으로 우점되는 경향이 있어 종다양도가 낮으며, 토양면 노출이 심각하다. 특히, 여름철 집중 강우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2000, a total of 23,794ha of forest was lost due to the East Coast forest fire, and about 70% of the damaged area was concentrated in Samcheok. In 2001, artificial restoration and natural restoration were implemented in the damaged a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vegetati...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39)

  1. Austin MP and Greig-Smith P. 1968. The application of quantitative methods to vegetation survey II. Some methodological problems of data from rain forest. Journal of Ecology 56: 827-844. 

  2.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3rd Edition. Springer-Verlag, Berlin, 631 pp. 

  3. Brower JE and Zar JH.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4. Brown JK and Smith JK. 2000. Wildland fire in ecosystems: effects of fire on flora.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Rocky Mountain Research Station. 257pp. 

  5. Chandler C, Cheney P, Thomas P, Trabaud L and Williams D. 1983. Fire in forestry. Vol.I.Forest fire behavior and effects. Johnwiley & Sons, NewYork, 450pp. 

  6. Didita M, Nemomissa S and Gole TW. 2010. Floristic and structural analysis of the woodland vegetation around Dello Menna, Southeast Ethiopia. Journal of Forestry Research (2010) 21(4): 395-408. 

  7. Dufrene M and Legendre P. 1997. Species assemblages and indicator species: the need for a flexible asymmetrical approach. Ecol Mono, 67; 345-366. 

  8. Hill MO. 1979a. DECORANA-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e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Ecology and Sysmematics, Cornel Univ., Ithaca, New York, 520pp. 

  9. Hill MO. 1979b. TWINSPAN-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 Univ., Ithaca, New York, 990pp. 

  10. Jung YS. 2002. Ecosystem Change and Restoration Techniques in East Coast Wildfire Damaged Area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35pp(in Korean) 

  11. Jung RJ, Song IG, Kim JY, Lee SG and Kim YJ. 2005. Microbial Diversity in the Soil Damaged by a Forest Fire. J.of KORRA(13):2 85-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HJ, Shin JK, Lee CH and Yun CW. 2017. Community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in Mt. Geumsusan belong to Woraksan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31(2): 202-2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JH and Lee SD. 2007. Development of Ecological Restoration Model Consider Analysis on the Vegetation Structure of Burned Area. Korean J. Eco. 21(5): 400-4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04. Restoration of forest trees and forest land in major forest fire-damaged areas. 368pp. (in Korean) 

  15. Lee KJ, Choi SH and Jo JC. 1992.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in Kwangnung Forest(II).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1(3): 214-2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KS and Choung YS. 1999. Comparison of nutrient budget on the planting revegetation site with natural revegetation site in Kosung area disturbed by fire. Journal of east coastal research 1: 137-1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ee KS, Choung YS, Kim SC, Shin SS, Ro CH and Park SD. 2004. Development of vegetation structure after forest fire in the east coastal region, Korea. Korean J. Ecol 27(2): 99-1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SY, Jun KW, Lee MW and Chun KW. 2008. Mortality in Pine Stand and Vegetation REcovery after Forest Fire. J Korean Soc Hazard Mitig 8(1): 71-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914pp. (in Korean) 

  20.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Vol.I.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914pp. (in Korean) 

  21. Lee T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Vol.II.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910pp. (in Korean) 

  22. Lee WT. 1996a. Florae Koreae. Academy Press, Seoul, Korea. 1567pp. (in Korean) 

  23. Lee, W.T.(1996b)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mdemy Press, Seoul, Korea. 1688pp. (in Korean) 

  24. Lee YN. 1996. Flora of Korea. Gyohaksa, Seoul, Korea. 1247pp. (in Korean) 

  25. Lee YN. 2006a. New Flora of Korea(I). Gyohaksa, Seoul, Korea. 975pp. (in Korean) 

  26. Lee YN. .2006b. New Flora of Korea(II). Gyohaksa, Seoul, Korea. 885pp. (in Korean) 

  27. McCune B and Mefford MJ. 1999.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Version 4.20. MjM software, Gleneden Beach, Oregon, USA. 

  28. McCune B and Mefford MJ. 2006. PC-ORD v5.0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Gleneden Beach (OR): MJM Software Design. Oregon, USA. 

  29.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9. The East coast sea Wildfires in Gangwon-do White Paper. 32-51pp. (in Korean) 

  30. Morrison DG. 1996. Design, restoration and management.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 of Georgia, Athens. 

  31. Mueller-Dombois D and Ellenberg H.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547p. 

  32. Mun HT and Choung YS. 1996. Effects of forest fire on soil nutrientsin pine forests in Kosong, Kangwon Province. Korean J. Eco. 19(5): 375-3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3.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6. Ecosystem change monitoring and recovery management technology development in areas affected by forest fires. 191pp. (in Korean) 

  34. Oh KK, Kang HM and Park SG. 2014.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on the Ridge of the Naknam-Jeongmaek. Korean J. Environ. Ecol. 28(6): 725-7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5. Park CD. 2012.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Amphibian and Reptile Communities due to Different Forest Environment at Forest Area in Samcheok, Gangwon Provi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66pp 

  36. Park SG and Kang HM. 2016.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in the ridge line area of the Nakdong-Jeongmaek. Korean J. Environ. Ecol. 30(3): 386-39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7. Park HS, Lee SY, Chae HM and Lee WK.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orest Fire Occurrence Probability Model using Canadian Forest Fire Weather Index -Occurrence of Forest Fire in Kangwon Province-. J Korean Soc Hazard Mitig 9(3): 95-1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8.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Ilcholkak, Seoul. 575pp. (in Korean) 

  39. Song SD and Kim BI. 1992. Changes of nitrogen-fixationactiv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growth in Lespedezabicolor Turcz. Korean J. Bot. 35(4):317-322.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