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과대학의 기능과 동선에 관한 건축계획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Function and Circulation in the College of Medicine 원문보기

의료·복지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27 no.2, 2021년, pp.15 - 24  

최광석 (세한대학교 건축공학과) ,  권순정 (아주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college of medicine by arranging the functional zoning planning, functional unit planning, and circulation planning, based on the diversification of medical education and the changes of Learning spaces. Methods: This s...

주제어

표/그림 (24)

참고문헌 (16)

  1. 간삼건축, 2017, "시대변화에 따른 교육공간의 변화_의대사례 중심", P.4. 

  2. 강의하는 아이들 공식, 2017, "공부 잘하는 법, 플립러닝, 하버드 의대가 선택한 교육법!", http://blog.naver.com/ PostView.nhn?blogIddcganga&logNo220991881488&beginTime0&jumpingVid&fromsearch&redirect Log&widgetTypeCalltrue 

  3. 강인애, 2017, "4차 산업혁명 시대에 PBL의 재조명", 서울교육 VOL 229 겨울호. 

  4. 교육부, 2019, "대학설립.운영 규정, 별표2(교사시설의 구분)", 대학설립 운영규정 : 1996.7.26. 대통령령 제1512호 제정.공포 

  5. 김금자, 윤진, 형희경, 2009, "간호학생에게 적용한 문제중심학습 (Problem Based Learning) 결과 분석", 기본간호학회지 제16권 제4호, PP.438~448. 

  6. 김남주, 2015, "미래 의학교육을 위한 의과대학 신축의 건축디자인 방향성", 의학교육논단 제17권 3호, PP.97~104. 

  7. 김용일, 2007, "의학교육의 변화와 대응-21세기를 대비하는 의학교육의 기본 철학 : 의학은 하나이다." 

  8. 보건복지부,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2019, "국립공공보건의료대학(원) 설립 건축기본계획 수립연구" 

  9. 이화룡, 2007, "대학시설공간의 효율적 활용에 관한 연구", P.81. 

  10. 한정, 2005, "의과대학 문제중심학습(PBL) 도입에 따른 객관구조임상시험(OSCE) 시설계획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논문. 

  11. Emilia, Plotka, 2016, "Better spaces for learning", Royal Institute of British Architects. 

  12. Richard, Feilden Obe, 2004, "21ST Century Schools: Learning Environments of the Future", Building Futures, WWW.BUILDING FUTURES.ORG.UK. 

  13. Sam, Elkington; Brett Bligh, 2019, "Future Learning Spaces - Space, Technology and Pedagogy", Advance HE. 

  14. Society for College and University Planning, 2013, "Research on Learning Space Design, Present State, Future Directions" 

  15. Stillcase, 2010, "360 Rethinking Higher Education Spaces", P.5, 7. 

  16. Susan, Painter, 2012, "Research on Learning Space Design : Present State, Future Directions", the Society for College and University Planning.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