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백산분지 내 새로운 행매층 분포 확인
New Occurrence of Haengmae Formation in Taebaeksan Basin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4 no.3, 2021년, pp.365 - 372  

송윤구 (연세대학교) ,  박채원 (연세대학교) ,  김남수 (연세대학교) ,  최성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최위찬 (에스씨 컨템포라리) ,  권상훈 (연세대학교) ,  장이랑 (전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행매층은 정선석회암과 회동리층 사이에 위치하며 회동리층의 존재 및 지질시대를 결정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층이다. 행매층의 분포조사를 통해 정선 및 옥계 일원에서 쇄설성 탄산염암이 확인되었으며 이들에 대한 암석학적 및 광물학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쇄설성 탄산염암의 암상 특성은 함돌로마이트역-미사질 백운암, 혹은 입자암(Dolomite-pebble bearing fine sand-sized dolostone, or grainstone)으로 정의할 수 있다. 광물조성 및 미세구조적 특징으로는 단결정 돌로마이트와 Mg-펜자이트의 존재, 그리고 입자 사이를 충진하는 교질물질로 나타나는 방해석의 생성이다. 이 같은 특성은 정선군 미탄면 행매동 일원의 전형적인 행매층의 특성과 일치하고 있어, 정선과 옥계 일원의 쇄설성 탄산염암이 행매층임을 지시한다. 본 연구결과는 태백산분지내에서 행매층은 독립 암층서단위일 뿐만 아니라 평안누층군 홍점층 직하부의 조선누층군인 정선석회암과 석병산석회암 상부에 분포하고 있음을 제시해 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bble-bearing clastic carbonate rock which has been found in and around the Jeongseon and Okgye through the field survey was studied in petrolog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We define the clastic carbonate rocks as 'Dolomite-pebble bearing fine sand-sized dolostone, or grainstone', which ...

주제어

참고문헌 (15)

  1. Cheong, C.H., Lee, H.Y., Kog, I.S. and Lee, J.D. (1979) A study on stratigraphy and sedimentological environments of the Lower Paleozoic Sequences in South Korea (chiefly in Jeongseon area). Jour. Nat. Acad. Sci. T.O.K. Nat. Sci. Ser., v.18, p.125-159. 

  2. Choi, S.-J., Um, S.H., Chun, H.Y., Lee, H.Y., Kim, B.C. and Kwon, Y.I. (1992) A possible existence of the Paleo-Great fault based on the Difference of fossil and shortening of the Upper Paleozic strata. Jour. Geo. Soc. Korea, v.28, p.239-249. 

  3. Geological Investigation Corps of Taebaeksan Region (GICT) and Geological Society of Korea (GSK) (1962) Geological Atlas of Taebaegsan Region. 17 tabs. 

  4. Hisakoshi, S. (1943) Geology of Seizen District, Kogendo, Tyosen. Jour. Soc. Japan, v.50, p.269-277. 

  5. Jang, Y. (2017) Structural style of the Phanerozoic polyphase orogenic belt in the western Taebaeksan Zone, Okcheon Belt, Korea: Insights from multidisciplinary analyses. Ph.D. Thesis, Yonsei University, 220p. 

  6. Lee, B.S. (2020) Conodonts from the 'Lower Limestone' and Haengmae Formation in western Jeongseon, Korea and their implication for lithostratigraphic correlation. Geosciences Journal, v.24, p.113-120. doi: 10.1007/s12303-019-0034-7. 

  7. Lee H.-Y. (1980) Discovery of Silurian Conodont fauna from South Korea. Jour. Geol. Soc. Korea, v.16, p.114-123. 

  8. Lee, H.-Y. (1982) Conodonts from the Hoedongri Formation (Silurian), Western Jeongseon area, Kangweon-do, South Korea. Jour. Nat. Acad. Sci., KINX 1982030966, v.21, p.43-132. 

  9. Lee, H.-Y. (1983) Conodont Biostratigraphy of the Hoedongri Formation (Silurian) in the Western Jeongseon Area, Kangweondo, South Korea. Jour. Nat. Sci. Res. Ins., v.12, p.77-99. 

  10. Lee, H.-Y. (1987) A confirmation of the Middle Paleozoic sediments in the Taebaegsan region(Jeongseon, Pyeongchang, Yeongweol and Samcheog) in South Korea. Yonsei University, TRKO200200010416. 

  11. Kim, N., Choi, S.-J., Song, Y., Park, C., Chwae, U. and Yi, K. (2020) Distribution and Stratigraphical Significance of the Haengmae Formation in Pyeongchang and Jeongseon areas, South Korea. Econ. Environ. Geol., v.53, p.383-395. doi: 10.9719/EEG.2020.53.4.383. 

  12. Kobayashi, T. (1953) Geology of South Korea. Univ. Tokyo Fac. Sci. J. Sect. 2, v.8, p.145-293. 

  13. Kobayashi, T. (1966) Stratigraphy of the Chosen Group in Korea and South Manchuria and its relation to the Cambro-Ordovician formations of other areas, Section A, The Chosen Group of South Korea. Journal of the Faculty Science (University of Tokyo), Section II, v.16, p.1-84. 

  14. Park, C., Kim, N., Choi, S.-J. and Song, Y. (2020) Mg-phengite in carbonate rock syngenetically formed from hydrothermal fluid: Micro-textural evidence and mineral chemistry. Minerals, v.10, p.668. doi: 10.3390/min10080668. 

  15. Son, C.M. and Cheong, J.K. (1976) On the geologic structure of Pyeongchang area. Jour. Nat. Acad. Sci. R.O.K., Nat. Sci. Ser., v.16, p.221-24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