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9년 자살 관련 지표들과 추이
Suicide Related Indicators and Trends in Korea in 2019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31 no.2, 2021년, pp.232 - 239  

김승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이두웅 (연세대학교 보건정책 및 관리연구소) ,  권준현 (연세대학교 보건정책 및 관리연구소) ,  양지은 (연세대학교 보건정책 및 관리연구소) ,  박은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장성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update suicide-related indicators including suicidal ideation, suicide attempts, and the number of suicidal deaths. Based on up-to-date information, we observed the trends of suicide-related indicators. In this study, five data sources were used to observe the trends of suicide-r...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이 연구는 2018년까지의 우리나라 자살 관련 지표들의 현황과 추이를 파악했던 선행연구 결과에 2019년도 통계청 사망원인 자료, KNHANES 2019년도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 자료, KHP 2016, 2017년도 자살생각 자료, KOWEPS 2019년도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 자료를 추가하여 우리나라 자살 관련 지표 및 그 추이 변화를 파악하였다.

대상 데이터

  • 제외기준을 적용한 후 이 연구에 포함된 연구대상자는 KNHANES 2007–2013년, 2015– 2019년 총 69,558명, KCHS 2008년, 2009년, 2013년, 2017년 총 847,758명, KOWEPS 2012–2019년 총 95,677명, KHP 2010–2013년, 2016–2017년 총 74,963명이다.
  • 통계청 사망원인 자료는 1983–2019년 자료, KNHANES는 2007– 2013년, 2015–2019년 자료, KCHS는 2008년, 2009년, 2013년, 2017년 자료, KOWEPS은 2012–2019년 자료, KHP은 2008–2017년 연간자료 (version 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공동으로 주관) 중 2010–2013년, 2016–2017년 자료를 사용하였다
  • 6,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공동으로 주관) 중 2010–2013년, 2016–2017년 자료를 사용하였다. 통계청 자료를 제외한 네 가지 자료의 연구대상자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으로 한정하였으며, 자살생각, 자살시도 여부에 모름으로 응답한 경우와 응답하지 않은 경우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제외기준을 적용한 후 이 연구에 포함된 연구대상자는 KNHANES 2007–2013년, 2015– 2019년 총 69,558명, KCHS 2008년, 2009년, 2013년, 2017년 총 847,758명, KOWEPS 2012–2019년 총 95,677명, KHP 2010–2013년, 2016–2017년 총 74,963명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World Health Organization. Suicide: one person dies every 40 seconds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cited 2021 Feb 17].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news/item/09-09-2019-suicide-one-person-dies-every-40-seconds. 

  2. Cerel J, Jordan JR, Duberstein PR. The impact of suicide on the family. Crisis 2008;29(1):38-44. DOI: https://doi.org/10.1027/0227-5910.29.1.38. 

  3. D'Anci KE, Uhl S, Giradi G, Martin C. Treatment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suicide: a systematic review. Ann Intern Med 2019;171(5):334-342. DOI: https://doi.org/10.7326/M19-0869. 

  4. Cerulli C, Winterfeld A, Younger M, Krueger J. Public health law strategies for suicide prevention using the socioecological model. J Law Med Ethics 2019;47(2_suppl):31-35. DOI: https://doi.org/10.1177/1073110519857312. 

  5.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Health at a glance 2019: OECD indicators. Paris: OECD Publishing; 2019. 

  6. Statistics Korea. Cause of death. Daejeon: Statistics Korea; 2019. 

  7. Statistics Korea. Cause of death. Daejeon: Statistics Korea; 2015.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ental Health Promotion Projec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1. 

  9. Ju YJ, Jang SI. Suicide related indicators and trend of Korea in 2015. Health Policy Manag 2017;27(1):75-79. DOI: https://doi.org/10.4332/KJHPA.2017.27.1.75. 

  10. Yang J, Ju YJ, Park EC, Jang SI. Suicide related indicators and trends in Korea in 2016. Health Policy Manag 2018;28(1):87-90. DOI: https://doi.org/10.4332/KJHPA.2018.28.1.87. 

  11. Kwon J, Yang J, Ju YJ, Park EC, Jang SI. Suicide related indicators and trends in Korea in 2017. Health Policy Manag 2019;29(1):77-81. DOI: https://doi.org/10.4332/KJHPA.2019.29.1.77. 

  12. Lee DW, Kwon J, Yang J, Ju YJ, Park EC, Jang SI. Suicide related indicators and trends in Korea in 2018. Health Policy Manag 2020;30(1):112-119. DOI: https://doi.org/10.4332/KJHPA.2020.30.1.112. 

  13. Kim JS, Song IH. Comparison of national strategies for suicide prevention: national strategies of New Zealand, USA, Ireland, England, Scotland, Australia, and Korea analyzed based on the WHO framework. Health Soc Welf Rev 2013;33(1):513-546. DOI: https://doi.org/10.15709/hswr.2013.33.1.513. 

  14. Freeman A, Mergl R, Kohls E, Szekely A, Gusmao R, Arensman E, et al. A cross-national study on gender differences in suicide intent. BMC Psychiatry 2017;17(1):234. DOI: https://doi.org/10.1186/s12888-017-1398-8. 

  15. Jin J, Ko H. The Korean suicide rate trend by population group comparing with the OECD countries and its policy implications. Health Welf Policy Forum 2013;(195):141-154. 

  16. World Health Organization. Suicide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 [cited 2021 Feb 21].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suicide. 

  17. Park EC. The need of integrated approach for suicide prevention. Health Policy Manag 2019;29(1):1-3. DOI: https://doi.org/10.4332/KJHPA.2019.29.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