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추에서 탄저병균 Colletotrichum scovillei를 검출하기 위한 반선택 배지
A semi-selective agar medium to detect the presence of the causal agent of anthracnose, Colletotrichum scovillei, in chilli pepper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9 no.4, 2021년, pp.479 - 485  

홍성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박세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최효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류현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추에서 Colletotrichum scovillei를 검출하고 계수하기 위한 반선택배지가 개발되었다. 기본배지로서 Potato-dextrose-agar (PDA)가 사용되었다. 반선택배지의 최종 조성은 부생성곰팡이와 세균을 저해하고, C. scovillei의 생장에 양호할 수 있도록 확립되었다. 반선택배지는 pyribencarb와 pydiflumetofen 각각 40 ㎍ mL-1와 세균을 방지하기 위한 streptomycin 100 ㎍ mL-1를 포함한다. 배지의 pH는 85% lactic acid로 4.8로 조절했다. 반선택배지에 배양할 때 C. scovillei의 균사생육 저해율은 Fusarium속과 다른 부생균보다 뚜렷이 낮았다. 반선택배지에 과실과 줄기조직 현탁액을 평판배양하여 탄저병균이 자연 감염된 식물체로부터 C. scovillei가 검출되었고, 신뢰할 수 있고 정량할 수 있었다. 이것은 자연 감염된 고추조직에서 C. scovillei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반선택성배지에 대한 처음 보고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emi-selective agar medium was developed for detecting and enumerating Colletotrichum scovillei in chili (Capsicum annum) plant material. Potato-dextrose-agar(PDA) was used as the basic medium. The composition of the semi-selective agar medium was established after several attempts to favor the de...

주제어

참고문헌 (20)

  1. Baek D and HT Kim. 2021. Resistance to SDHI fungicide of?Botrytis cinerea causing gray mold in various crops. Korean J.?Pestic. Sci. 25:237-245. 

  2. Damm U, PF Cannon, JHC Woundenberg and PW Crous. 2021.?The Colletotrichum acutatum species complex. Stud. Mycol.?73:37-113. 

  3. Ekefan EJ, SA Simons, AO Nwankiti and JC Peters 2000. Semiselective medium for isolation of Colletotrichum gtoeosporioides from soil. Exp. Agric. 36:313-321. 

  4. Gama AB, LG Cordova, CS Rebello and NA Peres. 2021. Validation of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 blueberry anthracnose?and fungicide sensitivity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Isolates. Plant Dis. 105:1806-1813. 

  5. Haack SE, KL Ivors, GJ Holmes, H Forster and JE Adaskaveg.?2018. Natamycin, a new biofungicide for managing crown?rot of strawberry caused by QoI-resistant Colletotrichum?acutatum. Plant Dis. 102:1687-1695. 

  6. Jayawardena RS, CS Bhunjun, KD Hyde, E Gentekaki and P?Itthayakorn. 2021. Colletotrichum: Lifestyles, biology, morphospecies, species complexes and accepted species. Mycosphere 12:519-669. 

  7. Kang BK, JY Min, YS Kim, SW Park, NV Bach and HT Kim. 2005.?Semi-selective medium for monitoring Colletotrichum acutatum causing pepper anthracnose in the field. Res. Plant?Dis. 11:21-27. 

  8. Kim AH, SB Kim, KD Han and HT Kim. 2014. Monitoring for the?resistance of strobilurin fungicide against Botrytis cinerea?causing gray mold disease. Korean J. Pestic. Sci. 18:161-167. 

  9. Manandhar JB, GL Hartman and TC wang. 1995. Semiselective?medium for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and occurrence?of three Colletotrichum spp. on pepper plants. Plant Dis.?79:376-379. 

  10. Mongkolporn O and PWJ Taylor. 2018. Chili anthracnose: Colletotrichum taxonomy and pathogenicity. Plant Pathol. 67:1255-1263. 

  11. Oo MM, GT Lim, HA Jang and SK Oh. 2017. Characterization and?pathogenicity of new record of anthracnose on various chili?varieties caused by Colletotrichum scovillei in Korea. Mycobiology 45:184-191. 

  12. Oo MM, MR Kim, DG Kim, TS Kwak and SK Oh. 2021. First?report of Colletotrichum siamense causing anthracnose of?chili pepper fruit in Korea. Plant Dis. 105:1567. 

  13. Oo MM and SK Oh. 2020. First report of anthracnose of chili?pepper fruit caused by Colletotrichum truncatum in Korea.?Plant Dis. 104:564. 

  14. Park KS and CH Kim. 1992. Identification, distribution and et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thracnose of red pepper in Korea.?Korean J. Plant Pathol. 8:61-69. 

  15. RDA. 2020. Handbook to Agricultural Technology 115: Chili pepper.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eonju, Korea. 

  16. RDA. 2021. Pesticide Safety Information System.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eonju, Korea. http://psis.rda.go.kr. 

  17. Silva DD, JZ Groenewald, PW Crous, PK Ades, A Nasruddin, O?Mongkoloporn and PWJ Taylor. 2019. Identification prevalence and pathogenicity of Colletotrichum species causing?anthracnose of Capsicum annuum in Asia. 2019. IMA Fungus?10:8. 

  18. Silva LL, HLA Moreno, HLN Correia, MF Santana and MV Queiroz.?2020. Colletotrichum: Species complexes, lifestyle, and peculiarities of some sources of genetic variability. Appl. Microbiol.?Biotechnol. 104:1891-1904. 

  19. Takagaki M, S Kataoka, K Kida, I Miura, S Fukumoto and R Tamai.?2010. Disease-controlling effect of a novel fungicide pyribencarb against Botrytis cinerea. J. Pestic. Sci. 35:10-14. 

  20. Umetsu N and Y Shirai. 2020. Development of novel pesticides?in the 21st century. J. Pestic. Sci. 45:54-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