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를 활용한 고속도로 염화수소 가스 누출 시나리오 기반 리스크 평가
Risk Assessment Based on Highway Hydrogen Chloride Gas Leakage Scenario Using GI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7 no.3, 2021년, pp.591 - 601  

김구윤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이재준 (성균관대학교 방재안전공학협동과정) ,  윤홍식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의 화학 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화학물질의 취급량과 운송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도로 화물운송은 9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화학물질 운송도 대부분 도로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화학물질 운송차량들은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운송차량은 1차 피해인 교통사고뿐만 아니라 2차 피해인 환경 피해 요인들인 수질오염, 토양오염 등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반포IC와 서초IC 구간을 연구지역으로 설정하여 염화수소 가스 누출에 대한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ALOH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예측거리를 측정하고 거리에 따라 염화수소 가스가 도달한 시간을 분석하였다. 또한 GIS를 이용해 시간별로 발생한 피해 영역에 대해서 인구밀도를 이용한 리스크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피해 영역에 대해서 예방·대응 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domestic chemical industry continues to develop, handling and transportation of chemicals increases every year. Road freight in Korea accounts for more than 90%, and most of the chemical transportation is done through roads. These chemical vehicles can lead to major accidents if accidents occ...

주제어

표/그림 (17)

참고문헌 (24)

  1. Bae, M.S., 2016. Consequence Analysis and Safety Measures on Ammonia Release from Tank Container,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R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ang, H.S. and H.P. Jai, 2016. Improvement on Spill Risk of a Hazardous Chemical Transporting Vehicle,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Theory and Praxis, 12(8): 33-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i, Y.H., 2018. A Study on Frequency of Accidents in Hazardous Material Transporter and Analysis of Hazardous Material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Inha University, Inchon, KR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Fatemi, F., A. Ardalan, B. Aguirre, N. Mansouri, and I. Mohammadfam, 2017. Areal location of hazardous atmospheres simulation on toxic chemical release: A scenario-based case study from Ray, Iran, Electron Physician, 9(10): 5638-5645. 

  5. Jeon, B.H. and H.S, Kim, 2021.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Leak Hole Size, Leak Rate, and the Influence Range for Hydrochloric Acid Transport Vehicles,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47(2), 175-181. 

  6. Jiang, J., P. Wang, W. Lung, L. Guo, and M. Li, 2012. A GIS-based generic real-time risk assessment framework and decision tools for chemical spills in the river basi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227: 280-291. 

  7. Kim J.G. and H.S. Byun, 2014. Hazard Assessment on Chlorine Distribution Use of Chemical Transportation Risk Index,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52(6): 755-76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K.Y., 2019. A GIS-based Risk Assessment of Time-Varying Effects on Highway Chemical Release,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R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0. https://data.kma.go.kr/, Accessed on May, 2020. 

  10.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6. Technical Guidelines for Selection of Worst and Alternative Accident Scenarios, Ulsan, KR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20. https://sgis.kostat.go.kr/, Accessed on May, 2020. 

  12.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2015.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dangerous goods transport vehicle control center, Gimcheon, KR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J.J., 2016. Vulnerability assessment of Chemical Release accident Using Spatial Information in terms of Human, Sunkyunkwan University, Suwon, KR (in Korea with English abstract). 

  14.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2020. https://icis.me.go.kr/, Accessed on May, 2020. 

  15.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 ALOHA Technical Document, Seattle, WA, USA. 

  16.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0. https://response.restoration.noaa.gov/, Accessed on June, 2020. 

  17. National Transportation DB Center, 2019. National Traffic Statistics, Sejong, KR (in Korea with English abstract). 

  18. Oak, J.M., Y.M. Kwag, M.S. Hong, and S.H. Jung, 2017. Korea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5(1): 83-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Park, S.W. and S.C Hong, 2018. A Study on Leakage Accident of Hydrochloric Acid Tank Lorry on the Roa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8(1): 157-163 

  20.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2004. ALOHA Computer Code Application Guidance for Documented Safety Analysis Final Report, Washington, D.C., USA. 

  21.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9. Risk Management Program Guidance for Offsite Consequence Analysis, United Washington, D.C., USA. 

  22.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20. https://www.epa.gov/, Accessed on May, 2020. 

  23. Yun, H.Y., J.J. Cho, H.J. Choi., and J.S. Hwang, 2014. Disaster Risk Assessment Theory, Moonundang, Seoul, KR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ZHANG, J. and L. ZHAO, 2007. Risk Analysis of Dangerous Chemicals Transportation, Systems Engineering - Theory & Practice, 27(12): 117-1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