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교수법 콘텐츠 수강 경험 및 요구
University Professor's Experience and Demands of Online Teaching Method Conten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6, 2021년, pp.744 - 758  

민혜리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온라인 교수법 콘텐츠 개발을 통한 교수 대상의 교수법 교육의 가능성과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온라인 교수법 콘텐츠를 수강한 교수자들의 온라인 교수법 콘텐츠 수강 경험과 요구 및 특성별 경험과 요구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지속될 온라인 교수법 콘텐츠 개발과 활용 전략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이다. A대학교에서 2015-2018년에 개발한 7개의 교수법 콘텐츠를, 2017-2019년에 걸쳐 수강한 83명의 교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교수들은 자기 계발 목적으로 온라인 교수법 콘텐츠를 수강하는 경우가 많았고, 콘텐츠 전반에 대해 만족하였으며, 개인 학습으로 교육에 대한 심리적 부담과 저항이 낮다는 점과 온라인으로 반복적 학습이 가능하다는 점을 온라인 콘텐츠의 장점으로 꼽았다. 내용구성에서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차이에 대한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는 영역은 명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전달, 적절하고 충분한 예시, 흥미와 동기 유발, 학습자 간 상호작용 촉진, 적절한 난이도, 최신 경향 반영, 적절한 분량, 적절한 제시 순서와 속도, 윤리적인 구성이었다. 해당 영역에서 모두 수강한 교수자가 인식하고 있는 중요도가 현재 콘텐츠의 실행도 보다 높았다. 결론적으로 온라인 교수법 콘텐츠를 수강하는 교수자들이 개선의견으로 제시한 것은, 내용구성 영역에서 적절하고 충분한 예시, 흥미와 동기 유발, 최신 경향 반영이었고, 사용편의성 영역에서는 안정적 재생, 이어보기 기능, 장소에 구애받지 않음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teaching methods education for professors through the development of online teaching content and providing important implications for future online teaching content development and utilization strategies by looking at the differ...

주제어

표/그림 (1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교수자들의 교육역량강화를 위한 교수법교육의 한 방법으로서 온라인교수법 콘텐츠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를 통해 교수법 콘텐츠 수강한 교수자들의 수강경험과 요구도에 대해 전반적인 평가가 이루어졌으며 이는 향후 온라인을 통한 교수교육의 새로운 방법과 이를 위한 콘텐츠 개발에 중요한 기준을 제공하였다는점에서 의미있다고 판단한다.
  • 이 연구는 교수자들의 온라인 교수법 콘텐츠 수강 경험과 콘텐츠에 대한 요구도를 알아보고, 교수자의 특성에 따른 수강 경험과 요구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으로 온라인콘텐츠를 수강한 교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콘텐츠 전반에 대한만족도와 콘텐츠 내용구성에 대한 요구, 화면설계와 시스템의 사용편의성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려 하였다.
  • 이 연구는 온라인 교수법 콘텐츠 개발을 통한 교수 대상의 교수법 교육의 가능성과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A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2015-2018년에 걸쳐 개발한 7개의 교수법 콘텐츠를 대상으로 2017년 교수법 콘텐츠 의무수강이 시작된 이후 2019년 까지 온라인 교수법콘텐츠를 수강한 학내외 교수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교수법 콘텐츠 수강 경험과 요구 및 특성별 경험과 요구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지속될 온라인 교수법 콘텐츠 개발과 활용 전략에 중요한 평가기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전제상,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따른 교원연수지원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pp.369-394, 2010. 

  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ICE 교수학습개발센터 콘텐츠 개발.운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05(1), 2005. 

  3. 길양숙, "대학교원의 수업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 및 지원활동의 조건," 교육학연구, 제39권, 제2호, pp.329-350, 2001. 

  4. 백순연, 엄우용, "대학 교원이 지각하는 교수 개발 지원 시비스에 대한 수용 및 활용 정도," 학습과학연구, 제9권, 제3호, pp.145-169, 2015. 

  5. S. Carrell and J. West, "Does Professor Quality Matter? Evidence from Random Assignment of Students to Professor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118, No.3, pp.409-432, 2010. 

  6. 노혜란, 최미나,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교수 역량(teaching competency)모델개발," 직업능력개발연구, 제7권, pp.1-28, 2004. 

  7. F. P. Duarte, "Conceptions of good teaching by good teachers: Case studies from an australian university," Journal of University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 Vol.10, No.1, pp.1-15, 2013. 

  8. L. Shulman, "Those who understand: Knolw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Vol.15, No.2, pp.4-14, 1986. 

  9. M. Kunter, U. Klusmann, J. Baumert, D Richter, T. Voss, and A. Hachfeld, "Professional competence of teachers: Effects on instructional quality and student develop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105, No.3, pp.805-820, 2013. 

  10. 김민성, "대학생이 인식하는 '배려하는 교수자'의 특성 및 유형분석," 교육심리연구, 제25권, 제1호, pp.61-86, 2011. 

  11. D. E. Tigelaar, D. H. Dolmans, I. H. Wolfhagen, and C. P. Van der Vleute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ramework for teaching competencies in higher education," Higher Education, Vol.48, No.2, pp.253-268, 2004. 

  12. 정인호, 이은진, "교수역량강화를 위한 교수 직급별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HRD연구, 제7권, 제1호, pp.1-22, 2012. 

  13. 김종우, 이용환, "전문대학 교수의 교수능력과 수행기준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41권, 제1호, pp.111-138, 2009. 

  14. 김진희, "대학교 교수의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실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10호, pp.1283-1305, 2020. 

  15. J. S. Fairweather, "The mythologies of faculty productivity: Implications for institutional policy and decision making,"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Vol.73, No.1, pp.26-48, 2002. 

  16. 고은현, 박혜림, "대학교원 학습공동체의 상호 동료 코칭 가능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5616-5626, 2013. 

  17. 박명희, 김성훈, 박명숙, 박종호, 이성림, 이중권, "대학의 교수학습 개발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II: 동국대학교 학생들의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제17권, pp.5-36, 2006. 

  18. J. B. Biggs, Teaching for quality learning at university: What the student does. Buckingham, McGraw-Hill Education (UK), 2011. 

  19. 권영성, 대학의 강의식 수업에서 교수의 효율적인 교수행동 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20. 최영, 이무상, 송명섭,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수업 실행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사교육 요구," 과학교육연구지, 제34권, 제2호, pp.369-382, 2010. 

  21. 천세영, 이옥화, 전미애, "ICALT 관찰도구를 활용한 교사의 교실수업 전문성 분석 연구," 교육공학연구, 제33권, 제2호, pp.517-536, 2017. 

  22. 이옥화, 장순선, "교사 경력에 따른 수업전문성 발달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4권, 제4호, pp.755-777, 2018. 

  23. 박은숙, 이은실, 유정아, "대학 CTL의 지속 프로그램과 중단 프로그램 분석 및 성공적인 운영전략 연구," 평생학습사회, 제8권, 제3호, pp.153-174, 2012. 

  24. 민혜리, "교수개발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교수들의 인식 및 요구조사: S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pp.195-219, 2012. 

  25.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8 교육정보화백서, 대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8. 

  26. 안홍선, 박현주, 조상식, "원격연수 실태 및 교원의 인식 분석: 교원의 집단별 특성에 따른 연수 만족도, 참여도, 결과 활용도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제24권, 제5호, pp.215-239, 2018. 

  27. 김현숙, "사이버대학교에서의 강의평가 분석과 적용," 사이버사회문화, 제5권, 제2호, pp.133-168, 2011. 

  28. 최윤희, 윤린, "강의평가 문항 개발 및 타당도 연구-H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26권, 제1호, pp.25-49, 2020. 

  29. 김경언, 우혜정, 김지영, 김우철, "대학 강의평가 도구 개선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 제36권, 제4호, pp.1-26, 2018. 

  30. 민혜리, "서울대 강의현황 분석과 강의개선 방안 탐색," 가르침과 배움, 제28권, pp.25-34, 2014. 

  31. Y. Levy, Assessing the value of e-learning system, PA: Information Science Publishing, 2005. 

  32. Mayer, R. E. Multimedia learning (2nd e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 

  33. 정인성, 최성희, "온라인 열린 원격교육의 효과 요인분석," 교육학연구, 제37권, 제1호, pp.78-91, 1999. 

  34. 황석, "멀티미디어 콘텐츠기반의 공과대학 이러닝 교수법 연구: K대학 사례," 한국공학교육학회, 제13권, 제6호, pp.14-23, 2010. 

  35. J. C. Witt, B. K. Martens, and S. N. Elliott, "Factors affecting teachers' judgements of the acceptability of behavioral interventions: Time involvement, behavior problem severity, and type of intervention," Behavior Therapy, Vol.15, pp.204-209, 1984. 

  36. 이상수, 강정찬, 이유나, 오영범, 체계적 수업분석을 통한 수업 컨설팅, 서울: 학지사, 2012. 

  37. https://www.kaoce.org:9227/new/cm/02.asp 

  38. 고은미, 이희경, 한은옥, "전문대학 수업유형별 강의 평가도구 개발 연구," 인문학논총, Vol.31, pp.365-394, 2013. 

  39. 염시창, "대학 강의평가 도구의 타당화 및 관련 변인의 다층분석," 교육평가연구, Vol.21, No.2, pp.25-52, 2008. 

  40. https://ibus.hanyang.ac.kr/front/graduatesch ool/notice-2/file-load?id212&fileId813 

  41. 임철일,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기업의 이러닝 학습관리체제의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교육공학연구, 제21권, 제4호, pp.77-100, 2005. 

  42. 조대연,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 제35권, 제35호, pp.165-187, 2009. 

  43. 송상호, 김세리, 홍영일, "원격대학 평가지표 개발연구," 교육공학연구, 제23권, 제4호, pp.79-111, 2007. 

  44. G. Borich,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31, No.1, pp.39-42, 1980. 

  45. 김동일, 이혜정, 손지영, "대학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Blended e-Learning 체제 정착방안 연구: S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제6권, 제4호, pp.7-123, 2005. 

  46. 이혜정, 이지현, "대학 '교수(teaching)'의 질 제고를 위한 대학교육평가지표 개선 방안연구," 아시아교육연구, Vol.9, No.3, pp.173-204, 2008. 

  47. 이혜정, 홍영일, "대학 수업의 질 제고를 위한 이러닝 교수법 온라인 콘텐츠 개발," 아시아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pp.67-90, 2010. 

  48. R. E. Mayer and R. Moreno, "Nine ways to reduce cognitive load in multimedia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Vol.38, No.1, pp.43-52, 2003. 

  49. Rah, Instructional contents delivery through SPAT format in mobile environment: Introduction to gglearn system, Global Knowledge Alliance International Forum. Retrieved from http://www.slidechare.net. 2015. 

  50. 박종선, 이영민, "사이버대학 성인 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와 학습활동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3권, 제4호, pp.51-59, 2010. 

  51. 김정원, 강민석, 신성욱, "성인학습자의 이러닝 준비도 측정도구 개발," 교육방법연구, 제24권, 제2호, pp.427-445, 2012. 

  52. E. J. Burge, Students' perceptions of learning in computer conferencing: a qualitative analys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oronto, Canada, 1993. 

  53. D. V. Eastmond, Adult learning of distance students through computer conferenc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ew York: Syracuse University. 1993. 

  54. A. Paivio, Mental representation: A dual coding approach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