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캠페인 콘텐츠에 대한 공감 반응 효과 연구
The Effect of Empathy in Responses to Persuasive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Cont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6, 2021년, pp.128 - 137  

신경아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 ,  차경심 (서울예술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  김지윤 (한양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초록

본 연구는 건강캠페인을 위해 제작된 공익광고 영상 메시지에 대한 공감 반응 효과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공감반응척도를 바탕으로 금연, 결핵, 자살을 주제로 한 9개의 건강캠페인 영상에 대한 공감반응이 건강 위험에 대한 공포심 유발과 건강행위(정보추구,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공감 반응요인 중 메시지 크리에이티브의 현실성, 영상 속 등장인물에 대한 감정일치, 동일시가 각각 공포심을 높이는 역할을 하였으며, 건강캠페인 영상을 통해 건강 문제를 일으키는 상황을 논리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오히려 공포나 건강정보추구 행위를 줄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건강캠페인에 대한 공감반응요인 중 영상 속 등장인물에 대한 동정과 같은 관심도가 높아질수록 건강 위험을 줄이기 위한 예방 행동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ympathetic reactions to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video messages produced for health campaigns. To this end, based on the empathy response scale proposed by Campbell & Babrow (2004), the empathy response to the images of nine health campaigns...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캠페인으로부터 유발된 공감 반응이 수용자에 대한 설득 기제로서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데 있다. 특히, 효과적인 건강 캠페인 전략을 기획하기 위해, 건강캠페인의 스토리텔링에 대한 ‘공감’이 실질적인 수용자의 건강 행동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를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국내에서 논의되지 않았던 건강캠페인에 대한 공감 반응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의의가 있다. 구체적으로 건강캠페인에 있어서 공감 반응요인이 공포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보고, 건강캠페인의 공감 반응요인이 정보 추구 행동과 위험 예방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 특히, 효과적인 건강 캠페인 전략을 기획하기 위해, 건강캠페인의 스토리텔링에 대한 ‘공감’이 실질적인 수용자의 건강 행동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를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금연캠페인의 중요성과 효과," 금연이슈리포트, 제43권, 제3호, pp.8-13, 2017. 

  2. R. Campbell and A. Babrow, "The role of empathy in responses to persuasive risk communications: Overcoming resistance to HIV prevention messages," Health Communication, Vol.16, No.2, pp.159-182, 2004. 

  3. 김성훈, "감정적 반응이 공익광고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제16권, 제1호, pp.163-181, 2005. 

  4. J. P. Dillard and E. Peck, "Affect and Persuasion Emotional Responses to Public Service Announcements," Communication Research, Vol.27, No.4, pp.461-495. 2001. 

  5. R. S. Lazarus, "Progress on a cognitive-motivarional-relational theory of emotion," American psychologist, Vol.46, No.8, pp.819-834, 1991. 

  6. 소현진, "소비자 공감반응 척도 개발: 이야기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133-142, 2014. 

  7. 김항중, 허순향, 남승규, "설득커뮤니케이션과 공감커뮤니케이션," 한국심리학회지, 제16권, 제4호, pp.673-690, 2015. 

  8. 조희숙, 김춘배, 이희원, 정헌재, "건강신념 모형을 적용한 한국인 건강관련행동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9권, 제1호, pp.69-84, 2004. 

  9. J. L. Aaker and W. Patti, "Empathy versus Pride: The Influence of Emotional Appeals across Cultur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5(December), pp.241-261, 1998. 

  10. 조재현, "유명인 모델에 대한 호감도 및 공감정도가 금연캠페인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0권, 제3호, pp.295-317, 2008. 

  11. 소현진, "금연공익광고 메시지에 대한 반응 탐구: 호감, 공감, 심리적 저항을 중심으로," 문화기술의 융합, 제5권, 제1호, pp.99-105, 2019. 

  12. 정의철, 이창호, "청소년 대상 인터넷 중독 예방 PR 캠페인효과 연구: 수용자 반응을 중심으로," 미래청소년학회지, 제5권, 제3호, pp.131-153, 2008. 

  13. R. W. Rogers, "A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of fear appeals and attitude change1," The Journal of Psychology, Vol.91, No.1, pp.93-114, 1975. 

  14. 이진희, 도선재, "위협소구 강도에 따른 공익광고의 효과: 낙관적 편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0권, 제1호, pp.243-257, 2009. 

  15. Witte, "Fear control and danger ccontrolA test of the extended parallel process model (EPPM)," Communication Monographs, Vol.61, No.2, pp.113-134, 1994. 

  16. D. Shen, "The Influence of Behavioral Inhibition/ Approach Systems and Message Framing on the Processing of Persuasive Health Messages," Communication Research, Vol.34, No.4, pp.433-467, 2007. 

  17. 박진우, 이형민, 한동석, "위기 상황에 관한 뉴스 노출과 위험인식, 건강 염려 인식이 위험에 대한 정보 추구 및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사고를 중심으로," 한국소통학보, 제27권, pp.165-201, 2015. 

  18. Bob Heyman, Mette Henriksen, and Karen Maughan, "Probabilities and health risks: a qualitative approach," Social Science & Medicine, Vol.47, No.9, pp.1295-1306, 1998. 

  19. 김수정,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대학생들의 건강정보 요구와 추구형태에 관한 탐험적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제23권, 제4호, pp.239-260, 2012. 

  20. 차동필, "공포 소구 메시지의 위협과 효능감 수준에 따른 설득 효과: 공포 소구 모델 EPPM의 적용," 한국언론학보, 제50권, 제4호, pp.411-436, 2006. 

  21. 전승우 외, "공포 소구에서 공포와 위협, 효능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제17권, 제4호, pp.645-664, 2016. 

  22. 선혜진, "자살예방 캠페인 메시지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관한 연구: 메시지 특성과 개인차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3호, pp.183-195, 2018. 

  23. 최원주,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공익 캠페인에 관한 연구: 건강 캠페인에 대한 수용자 선호를 중심으로," 주관성연구, 제30호, pp.47-63, 2015. 

  24. 박동진, 권명순, 최정화, "개인의 건강정보지향,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태도, e-헬스 리터러시 수준과 건강 관련 행위의 관계," 홍보학연구, 제17권, 제3호, pp.379-413, 2013. 

  25. 홍종필, "공공커뮤니케이션 캠페인 설계의 과학적 접근: 미디어 효과, 설득 및 행동변화 이론의 통합화 모형의 활용,"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제7권, 제2호, pp.249-276, 2006. 

  26. 소현진, "광고효과모형에 관한 문헌연구: 모형의 검토와 제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986-994, 201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