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 학부모의 소프트웨어 사교육 참여동기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Private Software Education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5 no.2, 2021년, pp.239 - 247  

이재호 (경인교육대학교) ,  김갑수 (서울교육대학교) ,  김종우 (제주대학교) ,  김종훈 (제주대학교) ,  김홍래 (춘천교육대학교) ,  마대성 (광주교육대학교) ,  박선주 (광주교육대학교) ,  손원성 (경인교육대학교) ,  안성훈 (경인교육대학교) ,  허경 (경인교육대학교) ,  심재권 (고려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초등학교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이 필수화되고 인공지능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소프트웨어 사교육 시장이 성장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공교육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교육 이외에 추가적으로 소프트웨어 사교육을 학부모가 참여하는 동기와 인식에 대한 기초적인 조사와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사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초등학교 자녀를 두고 있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사교육에 참여하게 된 동기와 필요성,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인식을 설문하였다. 연구결과, 소프트웨어 사교육에 참여하는 가장 큰 동기는 초등학교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제공하는 시간과 환경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나타났고, 소프트웨어 사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별도의 정식과목에 대한 요구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elementary schools, software education became essential and the import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was emphasized. The software private education market is gradually growing, but related research is insufficient. In addition to the software education provided by public education, a b...

주제어

참고문헌 (16)

  1. Chosunedu(2017). "My child's "copoja" is not allowed" The private coding education market is' excited', http://edu.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0/10/2017101001329.html 

  2. Gwan, H.S., Kim, S.H.(2015). Analysis on the Parents Aware of the Need for the Elementary SW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9(2), 187-196. 

  3. Han, K.S., Park, Y.J.(2013). Why Gifted Students Participate in Private Education?: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Key Factors of the Attendance in Private Education.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3(4), 505-521. 

  4. Kim, K.S.(2021). A survey of gifted parents' perception of information subjec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5(1), 49-58. 

  5. Kim, M.R.(2009). Korean Household Expenditure on Private Tutoring: Its Value and Tobit Analysis.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18(2), 1-26. 

  6. Lee, C.J., Lee, H.S.(2008). An Analysis on International Tendency of Shadow Education - Focusing on the Demand Mechanism of Shadow Education. Asian Journal of Education, 9(2), 203-228. 

  7. Lee, E.K.(2016).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er Education and Economic Growth: Focused on Korea and Japan.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25(2), 129-150. 

  8. Lee, K.H., Kwon, Y.J.(2019). Effect of planning to enter special-purposed/independent private high schools on the shadow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29(3), 93-116. 

  9. MOE(2014). Reduction of private education and measures to normalize public education. 

  10. MOE(2016). Basic plan for activation of Software Education. 

  11. MOE(2020). Special Act on Promotion of Public Education Normalization and Regulation on Prior Education. 

  12. Nam, M.S.(2010). Parents' perceptions of private English education and determinants of expenditures for pricatte English education.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15(2), 80-107. 

  13. Park, C.S.(2011). Public Education and Demand for Private Tutoring for the Child. Journal of Korean Economic Analysis, 17(1), 73-132. 

  14. Ryu, M.Y, Gwan, H.S.(2016).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Factors Affecting the Parent Willingness on Child's Softwar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0(5), 443-450. 

  15. Statistics Korea(2010). 2009 Private Education Expense Survey Results. 

  16. Statistics Korea(2021). 2020 Private Education Expense Survey Result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