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양오염 우려기준과 토양 자연배경농도에 대한 위해성평가
Risk assessment for Soil Contamination Warning Standard and Soil Background Concentration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26 no.3, 2021년, pp.37 - 49  

신동 (전남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박성재 (전남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조영태 (전남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봉재은 (전남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박정훈 (전남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is domestic Soil Contamination Warning Standard (SCWS) as remediation standard concentration of contaminated soils. No risk should be observed at soil concentration less than SCWS. Therefore, SCWS was evaluated to confirm the risk assessment. Background Concentration of Soil (BGC) and target r...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를 통해 현재의 토양오염 우려기준과 자연 배경농도의 위해성을 판단하고, 이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또한 토양오염 우려기준 및 자연배경농도 수준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중금속별 인체노출량 및 위해도(발암 및 비발암) 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토양환경보전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중금속토양오염 우려기준과 토양 내 중금속 자연배경농도를 각각 토양 노출농도로 가정하여 위해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의 토양오염 우려기준과 자연 배경농도의 위해성을 판단하고, 이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 본 연구는 토양환경보전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중금속토양오염 우려기준과 토양 내 중금속 자연배경농도를 각각 토양 노출농도로 가정하여 위해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의 토양오염 우려기준과 자연 배경농도의 위해성을 판단하고, 이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또한 토양오염 우려기준 및 자연배경농도 수준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중금속별 인체노출량 및 위해도(발암 및 비발암) 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토양 위해성평가 지침상에서 토양 노출농도는 채취된 토양 시료(n개)의 오염농도 평균값과 여러 산출인자 등을 이용한 별도의 산출식이 존재한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위해성 평가 대상인 토양오염 우려기준(1지역)과 토양 자연 배경농도를 갖는 가상의 오염토양을 설정하고, 동시에 단일시료(n=1)로서 가정하여 노출농도로 하였다. 대체적으로 토양오염 우려기준은 토양 내 자연배경농도 보다 월등히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다(Table 7).
  • 본 연구는 국내의 중금속 토양오염 우려기준과 토양 내 중금속 자연배경농도를 토양 노출농도로 하고, 모든 노출 경로가 존재하는 상황을 가정하여 위해성평가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n, Y.J., Baek, Y.W., Lee, W.M., Jeong, S.W., and Kim, T.S., 2007, Comparative study of soil risk assessment models used in developed countries, J. Soil Groundwater Environ., 12(1), 53-63. 

  2. Choi, J.W., Yoo, K.J., Koo, M.S., and Park, J.H., 2012, Comparison of heavy metal pollutant exposure and risk assessments in an abandoned mine site, J. Korean Soc. Civil. Eng., 32(4), 261-266. 

  3. 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2, Supplemental Guidance for Developing Soil Screening Levels for Superfund Sites. 

  4. 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4, Risk Assessment Guidance for Superfund Volume I: Human Health Evaluation Manual (Part E, Supplemental Guidance for Dermal Risk Assessment). 

  5. Jeong, J.H., Seo, P.S., Kong, S.H., Seo, S.W., Kim, M.K., Lee, J.Y., and Lee, S.S., 2006, The biological treatment of soil washing water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 J. Korean Soc. Environ. Eng., 28(11), 1222-1227. 

  6. Lee, S.W., Kim, J.J., Park, M.J., Lee, S.H., and Kim, S.O., 2015, Human risk assessment of arsenic and heavy metal contamination and estimation of remediation concentration within abandoned metal mine area, J. Miner. Soc. Korea, 28(4), 309-323. 

  7. Lee, S.W., Lim, T.Y., Park, M.J., Lee, S.H., Cha, J.M., and Kim, S.O., 2015, Study on exposure factors and model specialized for human risk assessment of abandoned mine area, Korea, J. Korean Soc. Miner. Energy Resour. Eng., 52(5), 488-499. 

  8. Lim, T.Y., Lee, S.W., Cho, H.G., and Kim, S.O., 2016, Comparison of human health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from two abandoned metal mines using metal minespecific exposure parameters, J. Environ. Impact Assess., 25(6), 414-431. 

  9. Lim, T.Y., Lee, S.W., Park, M.J., Lee, S.H., and Kim, S.O., 2015, Comparative study on the human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between two abandoned metal mines in Korea, J. Korean Soc. Environ. Eng., 37(11), 619-630. 

  10.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Creating study of practical guidelines for risk assessment in conjunction with soil pollution standard. 

  11.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Korean exposure factors. 

  12. Park, S.J., Kim, J., Jo, Y.T., Shin, D., Nshizirungu, T., Moon, D.H., Ji, W.H., Ko, J.I., and Park, J.H., 2020, Risk assessment for Co-contaminated soil including As and Hg in the vicinity of abandoned metal mine, J. Korean Soc. Environ. Eng., 42(2), 75-87. 

  13.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2, History of Korean Agricultural Growth. 

  14. Sakong, J., 2007, Risks Associated with Contamination of Environment by Abandoned Mines, Yeungnam University. J. of Med., 24(2S), S212-220. 

  15. Seo, B.H., Lim, G.H., Kim, K.H., Kim, J.E., Hur, J.H., Kim, W.I., and Kim, K.R., 2013, Comparison of single extractions for evaluation of heavy metal phytoavailability in soil, Korean J. Environ. Agric., 32(3), 171-178. 

  16. Yoon, J.K., Kim, D.H., Kim, T.S., Park, J.G., Chung, I.R., Kim, J.H., and Kim, H., 2009, Evaluation on natural background of the soil heavy metals in Korea, J. Soil Groundwater Environ,, 14(3), 32-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