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용해성 사이클로포스파젠 유도체를 이용한 면섬유의 내구성 방염가공
Durable Flame-Retardant Finish of Cotton Fabrics Using a Water-soluble Cyclophosphazene Derivative 원문보기

韓國染色加工學會誌 =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v.33 no.2, 2021년, pp.64 - 71  

김정환 (금오공과대학교 화학소재공학부 소재디자인공학전공) ,  장진호 (금오공과대학교 화학소재공학부 소재디자인공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rge amount of formaldehyde could be released inevitably during the flame-retardant (FR) treatments or from the finished fabrics using Provatex reagent and Proban polymers which have been used as durable FRs for cotton. A water-soluble cyclophosphazene derivative was synthesized as an ecofriendly p...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FT-IR (FT-IR 300E, JASCO, Japan) 분석은 KBr pellet을 사용하여 면 섬유의 작용기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FE-SEM (JSM 6500F, JEOL, Japan)을 사용하여 가공 전후 면직물의 표면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 HCCP의 치환반응을 통해 수용해성을 갖는 UV 경화성 방염가공제인 DCTDCP로 합성하였으며, 가교제와 단량체인 TAHT 와 AAm를 이용하여 가교구조를 도입하여 면직물의 내구성 방염 가공을 실현하였다. 사용한 첨가제와 관련하여 고정, 열적 거동 및 세탁 내구성을 조사하였다.
  • FT-IR (FT-IR 300E, JASCO, Japan) 분석은 KBr pellet을 사용하여 면 섬유의 작용기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FE-SEM (JSM 6500F, JEOL, Japan)을 사용하여 가공 전후 면직물의 표면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포름알데히드를 발생시키지 않는 반응성 유기인계 방염제로서 HCCP와 N-[3-(Diethylamino)propyl]meth- acrylamide를 반응시켜 수용해성을 갖는 DCTDCP를 합성하고, 열과 자외선 조사에 의해 DCTDCP의 치환반응과 광중합 반응을 통해 면직물을 방염가공하였다. 또한 가교제와 공 단량체를 첨가하여 가공함으로써 가교된 고분자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세탁내구성이 크게 향상시켰다. 방염가공된 면직물의 열분해 거동은 열중량분석기로 분석하였고, 연소 특성은 마이크로열량계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 또한 가교제와 공 단량체를 첨가하여 가공함으로써 가교된 고분자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세탁내구성이 크게 향상시켰다. 방염가공된 면직물의 열분해 거동은 열중량분석기로 분석하였고, 연소 특성은 마이크로열량계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방염가공된 직물의 세탁 내구성은 한계산소지수와 원소조성비 변화를 통해 확인하였다.
  • 방염가공된 면직물의 열분해 거동은 열중량분석기로 분석하였고, 연소 특성은 마이크로열량계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방염가공된 직물의 세탁 내구성은 한계산소지수와 원소조성비 변화를 통해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포름알데히드를 발생시키지 않는 반응성 유기인계 방염제로서 HCCP와 N-[3-(Diethylamino)propyl]meth- acrylamide를 반응시켜 수용해성을 갖는 DCTDCP를 합성하고, 열과 자외선 조사에 의해 DCTDCP의 치환반응과 광중합 반응을 통해 면직물을 방염가공하였다. 또한 가교제와 공 단량체를 첨가하여 가공함으로써 가교된 고분자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세탁내구성이 크게 향상시켰다.
  • HCCP의 치환반응을 통해 수용해성을 갖는 UV 경화성 방염가공제인 DCTDCP로 합성하였으며, 가교제와 단량체인 TAHT 와 AAm를 이용하여 가교구조를 도입하여 면직물의 내구성 방염 가공을 실현하였다. 사용한 첨가제와 관련하여 고정, 열적 거동 및 세탁 내구성을 조사하였다. DCTDCP만 단독 가공하면 LOI 26.

대상 데이터

  • 이 때 HCCP에 대한 DMAPMA의 당량비는 6 : 4로 고정하였다. 치환반응이 종료한 후 침전을 필터로 여과하고 용제를 증발시켜 제거한 후 수용해성 Dichloro Tetrakis{N-[3-(Di methylamino)propyl]-N-methacryloyl} cyclophosphazene (DCTDCP)을 제조하였다.

이론/모형

  • 가공된 직물의 방염성 측정 방법은 한계산소지수측정기 (Ysuda Seiki Sesakusho Ltd., Japan)를 이용하여 연소가 지속되기 위해 필요한 최소 산소부피 함량비인 한계산소지수 (LOI)를 ISO 4589:2000에 따라 측정하였다. 방염효율도(EFF) 는 FR 직물의 1% 인(P) 함량 당 LOI의 증가량이다.
  • 방염 가공된 직물의 세탁 내구성은 Launder-O-meter (Daelim, Korea)를 사용하여 AATCC TM 61-2006 2A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 Alongi and G. Malucelli, Cotton Flame Retardancy: State of the Art and Future Perspectives, RSC Adv., 5, 24239 (2015). 

  2. K. L. Mittal and T. Bahners, "Textile Finishing: Recent Developments and Future Trends", Scrivener Publishing, USA, pp.69-127, 2017. 

  3. H. J. Choi, D. J. Gong, C. Youn, and S. Y. Yeo, Preparation of Flammability Artificial Hair based on Super Engineering Plastic,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32, 103(2020). 

  4. A. Morgan, "Non-Halogenated Flame Retardant Handbook", Scrivener Publishing, USA, pp.50-55, 2014. 

  5. K. A. Salmeia, S. Gaan, and G. Malucelli, Recent Advances for Flame Retardancy of Textiles Based on Phosphorus Chemistry, Polymers, 8, 319(2016). 

  6. S. Lu and I. Hamerton, Recent Developments in the Chemistry of Halogen-free Flame Retardant Polymers, Prog. Polym. Sci., 27, 1661(2002). 

  7. D. H. Lee and J. Jang, Synergistic Flame-Retardant Finishing of Cotton Using Dichlorotriazinyl Phosphonate and Triethanolamine, Fibers and Polymers, 21, 343(2020). 

  8. S. H. Lee, 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Flame Retardant Fabric Developed by using Bicomponent Filament,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25, 110(2013). 

  9. M. Kim and H. D. Ghim, Radical Addition Reaction of Phosphorous based Flame Retardant with End Groups of PET (1) -Reaction of Bisphenol A bis(diphenyl phosphate)-,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24, 33(2012). 

  10. M. Kim, K. H. Sohn, and H. D. Ghim, Radical Addition Reaction of Phosphorous based Flame Retardant with End Groups of PET (2) -Reaction of Resorcinol Bis(diphenyl phosphate)-,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24, 39(2012). 

  11. S. J. Kim and J. Jang, Synergistic UV-Curable Flame-retar dant Finish of Cotton Using Comonomers of Vinylphosphonic Acid and Acrylamide, Fibers and Polymers, 18, 2328(2017). 

  12. J. H. Kim and J. Jang, Formaldehyde-Free Durable Flame- Retardant Finish of Cotton Using Hexachlorocyclophos phazene and Triethanolamine,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32(3), 150(2020). 

  13. G. Yanga, W. H. Wu, Y. H. Wang, Y. H. Jiao, L. Y. Lu, H. Q. Qua, and X. Y. Qin, Synthesis of a Novel Phosphazene-based Flame Retardant with Active Amine Groups and Its Application in Reducing the Fire Hazard of Epoxy Resin, J. Hazardous Mater., 366, 78(2019). 

  14. X. Zhang, Y. Zhong, and Z. Mao, The Flame Retardancy and Thermal Stability Properties of Poly(ethyleneterephthalate) /Hexakis(4-nitrophenoxy) Cyclotriphosphazene Systems, Polym. Degrad. Stabil., 97, 1504(2012). 

  15. T. Li, S. Li, T. Ma, Y. Zhong, L. Zhang, H. Xu, B. Wang, X. Feng, X. Sui, Z. Chen, and Z. Mao, Novel Organic-Inorganic Hybrid Polyphosphazene Modified Manganese Hypophosphite Shuttles towards the Fire Retardance and Anti-dripping of PET, Eur. Polym. J., 120, 109270(2019). 

  16. Z. Zhang, Z. Han, Y. T. Pan, D. Li, D. Y. Wang, and R. Yang, Dry Synthesis of Mesoporous Nanosheet Assembly Constructed by Cyclomatrix Polyphosphazene Frameworks and Its Application in Flame Retardant Polypropylene, Chem. Eng. J., 395, 125076(2020). 

  17. Y. J. Shin, M. J. Shin, and J. S. Shin, Flame Retardant Properties of Cyclotriphosphazene Derivatives for ABS, Polym. and Polym. Composites, 26, 309(2018). 

  18. L. Zhao, C. Zhao, M. Wu, Y. Li, H. Li, D. Xianga, and C. Guoa, Curing Kinetics of Phenolphthalein based Polyphosphazene towards Thermal Stability and Flame Retardancy of Polybenzoxazine, RSC Adv, 9, 31583(2020). 

  19. O. Dagdag, A. E. Harfi, A. Essamri, M. E. Gouri, S. Chraibi, M. Assouag, B. Benzidia, O. Hamed, H. Lgaz, and S. Jodeh, Phosphorous-based Epoxy Resin Composition as an Effective Anticorrosive Coating for Steel, Int. J. Ind. Chem, 9, 231(2018). 

  20. M. Lv, C. Yao, D. Yang, and H. Zeng, Synthesis of a Melamine-Cyclotriphosphazene Derivative and its Application as Flame Retardant on Cotton Gauze, J. Appl. Polym. Sci., 133, 43555(2016). 

  21. M. Dutkiewicz, M. Przybylak, R. Januszewski, and H. Maciejewski, Synthesis and Flame Retardant Efficacy of Hexakis(3-(triethoxysilyl)propyloxy)cyclotriphosphazene/Silica Coatings for Cotton Fabrics, Polym. Degrad. Stabil., 148, 10(2018). 

  22. T. M. Gall, D. Plohl, L. Derksen, D. Lauer, P. Neldner, W. Ali, S. Fuchs, J. S. Gutmann, and K. Opwis, A Green Water-Soluble Cyclophosphazene as a Flame Retardant Finish for Textiles, Molecules, 24, 3100(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