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의 한복 이미지, 선호 유형, 전통한복 인식 분석: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Hanbok Image, Perception and Preference Type of High School Students: Focused on Participation in Hanbok Classes and Gender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3 no.2, 2021년, pp.81 - 93  

김상미 (화명고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한복 이미지, 한복 선호 유형, 전통한복 인식을 알아보고 성별 및 한복수업 참여 여부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 지역 고등학생 438명의 자료를 수집한 후 SPSS를 사용하여 빈도 분석, 교차 분석, t-검정, F-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고등학생은 한복을 우아한 이미지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대중매체 및 온라인상에서 화려한 한복 디자인에 노출되어 한복에 대한 화려한 이미지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복 이미지는 성별,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고려한 집단에서 통계적 유의미성이 확인되었다. 촌스러운 이미지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고, 한복수업 미참여 남학생 집단이 수업 참여 남학생 집단에 비해 3배 이상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이 선호하고 있는 한복 유형은 전통한복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퓨전한복, 생활한복, 패션한복 순으로 나타났다. 한복 선호 유형은 성별,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고려한 집단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특히 패션한복에 대한 선호는 한복수업참여 집단이 미참여 집단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의 전통한복에 대한 인식도는 보통 이상이었고 하위요소별로 살펴보면 심미성, 지속가능성, 실용성 순으로 나타났다. 전통한복 인식은 한복수업 참여 여부, 성별,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고려한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그리고 한복수업 참여 학생이 미참여 학생에 비해 전통한복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age, perception, and preference type of high school students of Hanbok and examin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participation in Hanbok classe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38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Frequency analys...

주제어

참고문헌 (25)

  1. Bae, H.-Y., & Lee, H.-J. (2008). Home economics curriculu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lothing life culture area based on the interpretive perspective on educational curriculum. Journal of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20(3), 31-47. 

  2. Baek, M., & Shim, J. (2020). A study on the attitud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ward Hanbok: focusing on Hanbok images, types of traditional Hanbok choices, and the route to access Hanbok.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9(3), 397-406. doi:10.5934/kjhe.2020.29.3.397 

  3. Ban, Y.-J., Kim, N., & Lee, H. J. (201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chnology.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on clothing lifes to raise youth's awareness of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ication, 23(4), 1-17. 

  4. Cheongwadae. (2021). Request to stop broadcasting of historical distortion drama . Retrieved from https://www1.president.go.kr/petitions/597157 

  5. Cho, W.-H., & Kim, M. (2010). Research on consumer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Hanbo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2), 130-143. 

  6. Choi, Y. B., Kim, J. H., & Lee, H. H. (2016). A study on consumer perception of image dimensions in modernized Hanbok: focusing on consumers in twen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2(1), 411-422. 

  7. Hanbok Advancement Center. (2014). Mobile survey on Hanbok perception. Retrieved from http://www.hanbokcenter.kr/user/nd45944.do?View&uQ&itemCdTab 

  8. Hanbok Advancement Center. (2021). Notice. Retrieved from http://www.hanbokcenter.kr 

  9. Ha, Y. H., & Do, K. E. (201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and awareness of the package design.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8(3), 51-64. 

  10. Huffpost. (2018). Worries of Jongno-gu office about 'free viewing of Hanbok wearer'. Retrieved from https://www.huffingtonpost.kr/entry/story_kr_5b95fde1e4b0cf7b00413d00?utm 

  11. Jeon, S.-Y., & Sung, J.-S. (2017). Characteristics of places to visit and Hanbok-trip class as a landscape prosumer: focused on Gyeongbokgung pala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5(3), 80-91. doi:10.9715/KILA.2017.45.3.080 

  12.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7). Promotion plan of Jeonju Hanbok culture industry. Jeonju: Author. 

  13. Joo, D. K. (2017). Individual practice of tradition and the maintenance of traditionality through the medium of Hanbok: a case study of a Hanbok club. Korean Journal of Folk Studies, 41, 199-230. doi:10.35638/kjfs..41.201712.008 

  14. Jung, I. H., Choi, S. H., & Kang, S. J. (1977). The conciousness of korean urban women for wearing Hanbok, the korean traditional dr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35, 253-264. 

  15. Jung, S.-E., & Lee, S. Y. (2017). A study on the activation method of wearing Hanbok.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9(4), 139-155. 

  16. Kim, E. Y. (2018, September 23). Crisis of Hanbok, fusion Hanbok with a ribbon. The Chosunilbo. Retrieved from http://www.chosun.com 

  17. Kim, S. M. (202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eaching-learning plan for Hanbok education in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2(2), 1-17. doi:10.19031/jkheea.2020.06.32.2.1 

  18. Ko, S.-H., Hwang, B.-H., & Rhee, Y.-S. (2020). Effects of Hanbok experience on consumer recognition and consumer behavior towards Hanbok.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25(2). 59-68. 

  19. Lee, E. H. (2018).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Hanbok rental experience of millennial gener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20. Lee, J. E. (2017). A Study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appeared in modern Hanbok.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1.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9). Improvement of free viewing guideline for palace.tomb Hanbok wearer. Retrieved from https://www.korea.kr 

  22. Newsis. (2021). Investigate Mugunghwa's color preference. Retrieved from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302_000135549 

  23. Shim, J. (2019). Recognizing hanbok in youth through text mining.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7(3), 239-250. doi:10.29049/rjcc.2019.27.3.239 

  24. Snapp. (2020). Controversy about Chinese game 'Shining Nicky'. Retrieved from https://zine.istyle24.com/Feature/FeatureView.aspx?Idx51100 

  25. Yang, J. W. (2008). A study on secondary and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Hanbok.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wangju, Korea.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