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기술·가정과 한복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의 개발 및 효과 분석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eaching-Learning Plan for Hanbok Education in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2 no.2, 2020년, pp.1 - 17  

김상미 (화명고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복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한 후 적용하여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학습 과정안의 학습주제는 이해하기, 탐색하기, 실천하기 관련 내용으로 선정하였고 점진적 변화를 도모하여 학습목표가 달성되도록 하였다. 이론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은 학생들의 탐구활동 및 사고과정에 중점을 두었고, 만들기 실습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은 학생들이 한복의 특징과 이미지를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협업하면서 모둠작품을 제작하도록 하였다. 둘째, 수업의 효과는 학생들의 한복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 면에서의 사전-사후검사 결과를 비교한 값과 학생들이 작성한 수업소감문 및 수업자의 관찰일지에 대한 내용분석으로 확인되었다. 수업소감문 및 관찰일지 내용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수업을 통해 한복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습득하여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 및 협업을 통한 만들기 활동은 자기주도적이고 책임감 있는 학습자, 창의적으로 행동하는 학습자로 변화·성장하는 데 도움을 준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 of a teaching-learning plan for teaching about Hanbok to high school student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arning themes in the teaching-learning plan were selected so that the learning objectives could be achieved by...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복식이란? 전통복식이란 특정 국가나 민족이 오랜 세월을 두고 독자 적으로 발전시켜 온 그들의 고유한 복식(Lee & Han, 2006)을 의미한다. 우리 고유의 의복인 한복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전통복식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한복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그렇다면 한복에 대한 우리나라 사람들의 인식은 어떠한 가?. 한복에 대한 인식을 살펴 본 2010년까지의 연구내용을 종합하면 한복은 일상생활에서 분리된 의례용 의복으로서 품 위 있고 아름답지만 활동 시 불편하고 디자인이 다양하지 못 하다는 부정적인 인식도 있다(Shim, 2019). 우리나라 중고 등학교 남학생은 한복에 대해 우리 민족의 의상이다변화 가 있었으면 좋겠다 활동하기 불편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여학생은 아름다운 의상이다, 색채 배합이 아름답다, 독특 한 구성으로 자랑스럽다 등으로 인식하고 있다(Yang, 2008).
한복의 대중화 및 세계화를 위한 정책의 긍정적인면과 부정적인면은 무엇인가? 2010년 이후 한복의 대중화 및 세계화를 위한 정책이 추진 되어 왔다. 2013년 10월 문화재청이 4대 궁, 조선왕릉, 종묘에 서의 한복 착용자에 한해 무료관람을 허용한 결과, 외국인과 청소년들이 한복 착용 사진을 SNS에 업로드하면서 한복 놀이 문화가 형성된 긍정적인 측면도 있으나 짧은 치마, 원피스형 한복, 레이스나 리본 등 과도한 장식의 한복이 전통 한복으로 인식되는 부정적인 측면도 우려되고 있다. 한복에 대한 올바 른 이해 없이 타인의 시선을 끌기 위한, 유행에 편승하기 위한 목적으로 한복을 착용하는 것은 한복에 대한 일시적 관심일 뿐만 아니라 한복에 대한 잘못된 정보의 습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e, H. Y., & Lee, H. J. (2008). Home economics curriculu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lothing life culture area based on the interpretive perspective on educational curriculum. Journal of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20(3), 31-47. 

  2. Ban, Y. J., Kim, N. E., & Lee, H. J. (201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chnology?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on clothing lifes to raise youth’s awareness of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Journal of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23(4), 1-17. 

  3. Chae, K. S. (2012). 전통한복과 한스타일 [Traditional Hanbok and Han-style]. Paju: Jigu Publishing Co. 

  4. Eum, J. S., & Chae, G. S. (2006). Comparison study on traditional perceived meaning of color and clothing color of Korea and Jap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6(6), 16-32. 

  5. Han, K. J. (2009).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raditional living culture education, traditional costume culture and school adjustment for middle school girls: A case of Gwangju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wangju, Korea. 

  6. Hwang, B. H. (2007). A consideration of the ways to make Hanbok upscale for its globaliz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7. Kang, Z. Y. (2008). A study on airline cabin crews' uniform design applied with Hanbok.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8. Kim, E. K., & Kim, Y. I. (2006). The Korean symbolic meaning of whit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20(4), 25-39. 

  9. Kim, S. B. (2019).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ome economics maker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contents of 'Hanbok and creative cloth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10. Kim, S. M., & Kwon, Y, S. (2019). Effectiveness of a sewing practice class for cultivation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Journal of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31(1), 151-168. 

  11. Kim, Y. K. (2003). The study on dual structure in Korea sense of color. Journal of Korean Art Education, (22), 35-56. 

  12. Kwon, Y. G., Lee, J. Y., Ahn, M. S., & Sung, H. J. (2005). A study on the signification and symbol of RED in Korea, China, Japa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19(3), 51-63. 

  13. Lee, H. N., & Han, S. H. (2006).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of their traditional costu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4), 623-632. 

  14. Moon, E. B., & Kim, G. R. (2012). A study on the coexistent relations colors and incompatible relations colors in the traditional colors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26(3), 25-32. 

  15. Mun, K. H. (2004). Sensitive cognition about aesthetic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Journal of Korean Basic Design & Art, 5(2), 97-108. 

  16. Park, H. S., & Lee, H. J. (2008). The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making class of natural dyeing and Jogakbo. Journal of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20(2), 61-73. 

  17. Park, S. J., & Yoo, J. Y. (20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plan using persimmon juice dyeing on the traditional clothing life-culture education. Journal of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25(1), 79-94. 

  18. Ryu, H. G., Kim, M. J., & Choi, E. S. (2001). 우리 옷 이천 년 [Two thousand years of Korean fashion]. Goyang: Misulmunhwa. 

  19. Shim, J. Y. (2019). Recognizing Hanbok in youth through text mining.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7(3), 239-250. 

  20. Sun, M. J. (2010).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f traditional costume culture for high school stud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wangju, Korea. 

  21. Wang, S. S., Kim, J. H., Jun, M. K., Lee, M. A., Kim, S. J., Moon, J. Y.,...Kim, B. S. (2018). 기술.가정 [High school textbook of technology.home economics]. Ansan: Dongapublishing. 

  22. Yang, J. W. (2008). A study on secondary and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Hanbok.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Korea. 

  23. Yoon, Y. N. (2019). Analysis of policies and strategies for development of Hanbok culture on K-5.0.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2(3), 159-171.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