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문화에 대한 가치인식이 한복에 대한 선호도와 장기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복체험 정도에 따른 집단비교-
The Effect of Value Recognition toward Traditional Culture on Preference and Long-term Relationship about Hanbok -Group Comparison according to Degree of Experience of Hanbok-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1 no.4, 2017년, pp.698 - 708  

전지현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  황복희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  이영선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ow consumers perceives Korean heritage is the most essential motivation to purchase traditional products. This study investigates if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value perception of traditional culture on preferences for and the long-term relationship of Hanboks. It also investigates differences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한복체험은 한복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며, 이렇게 형성된 선호도는 구매행동 및 장기적 관계지향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이러한 한복체험을 바탕으로 한 소비자의 한복선호도와 장기적 관계지향에 대한 연구를 실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전통문화 가치인식이 한복에 대한 선호도와 장기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한복체험 정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따라서 전통문화에 대한 다양한 가치인식 중 특히 한복과 관련된 가치인식의 하위차원을 밝히는 것은 한복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행동을 규명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계라 할 수 있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복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문화 가치인식의 차원을 밝히고 각각의 하위차원과 한복선호도, 장기적 관계지향에 대한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 전통문화상품은 모든 연령대에서 이용하고 있으나 설문조사 응답의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되는 10대 이하와 70대 이상은 설문조사에서 제외하고자 하였다. 이들 연령대를 제외한 20~60대의 서울 또는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소비자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전통문화에 대한 가치인식 변화와 국가 간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 수단으로의 문화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중요시되고 있는 시점에서 전통문화상품의 하나인 한복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전통문화상품이 체험을 통해 장기간에 걸쳐 인식과 기억이 축적되는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소비자의 한복체험 정도에 따라 전통문화에 대한 가치인식과 한복의 선호도, 장기적 관계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 판단하여 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최종 분석에 사용된 745명의 응답자료들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문화와 한복에 대하여 우리나라 대중의 일반적인 인식은? 유명 패션디자이너 칼 라거펠트(Karl Lagerfeld)만의 시각으로 재해석된 한복은 전 세계 패션계에서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Kim, 2016). 국내의 젊은층을 중심으로 한 관심과 세계 유명 디자이너 및 언론 보도의 뜨거운 반응과 관심에도 불구하고 전통문화와 한복에 대한 우리나라 대중의 일반적인 인식은 한복을 불편하고 관리와 입는 방법이 까다로운 대상이라고 인식하고 있다(Hanbok Advancement Center, 2014).
전통문화와 관련된 연구는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 그러나 지금까지의 전통문화와 관련된 연구는 한국전통문화에 대한 본질적인 연구보다는 전통문화상품의 외형적 이미지와 디자인 개발 위주의 단편적인 연구가 주를 이루어왔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역사적, 상징적, 사회적 총합의 산물인 전통문화를 소비자가 어떠한 가치로 인식하고 있는지에 따라 전통문화상품의 소비행동에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에(Hwang, 2015) 이를 기반으로 한 본질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전통문화상품은 체험을 통해 축적되는 기억으로 장기간에 걸쳐 형성되기 때문에 소비자의 체험 정도에 따라서 그 선호도 및 향후 소비행동도 달라질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전통문화를 소홀히 해서는 안되는 이유는? 그러나 전통문화의 중요성은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해지는 현대사회에 더욱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국가의 정체성을 표방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적극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소홀히 해서는 안 되는 분야임이 분명하다. 근래 국내의 전통문화에 대한 사회적 관심 확대로 인하여 학문적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전통문화를 문화콘텐츠와 연결한 체험프로그램, 한국적 이미지의 재해석을 통한 문화상품 및 콘텐츠 개발 등과 관련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Lee, 2002; Seo, 2009; Son, 2000), 그 필요성이 더욱 중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ae, Y. D. (2016). The handed down cultural logic, knowledge, and value in Korean dishes called Han-sig. 민속연구, 33, 7-42. 

  2. de Mooji, M. (1999). Global marketing advertising (Y. K. Kim & S. Y. Jun, Trans.). Paju: Nanam Publishing House. (Original work published 1997) 

  3. Foxall, G. R., & Bhate, S. (1993). Cognitive style and personal involvement as explicators of innovative purchasing of "healthy" food brands.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27(2), 5-16. doi:10.1108/03090569310026376 

  4. Hanbok Advancement Center. (2014, November 6). 한복진흥센터, 한복에 대한 인식 모바일 설문조사 실시 [Hanbok Advancement Center, Mobile Survey on Awareness of Hanbok]. Hanbok Advancement Center. Retrieved December 1, 2016, from http://www.hanbokcenter.kr/user/nd45944.do?View&boardNo00000030#attachdown 

  5. Holden, J. (2004). Capturing cultural value: How culture has become a tool of government policy. London: Demos. 

  6. Hwang, B. H. (2015). An effect on a consumption behaviors according to a value recognition toward traditional culture-focused on Hanbok, Hanok, and Korean foo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7. Joo, M. K. (2011).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lue recognition of tourism resources and the satisfaction-In case of the Jeon Ju Korean-style houses vill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Suwon. 

  8. Kang, J. H. (2017, January 28). "우리 전통 옷 너무 예뻐요"...한복 입는 사람 급증 ["Our traditional clothes are very pretty"...Increasing people wear Hanbok]. YONHAP NEWS AGENCY. Retrieved April 28, 2017, from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1/26/0200000000AKR20170126178100030.HTML?input1195m 

  9. Kang, M. H., Jeong, H., & Joo, S. J. (2009). Analysis on the designing elements of the Korean traditional house for developing the living-Hanok model.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1(3), 99-106. 

  10. Kang, S. H. (2015). The roles of festival service quality affecting relation quality and visitors'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Korean Journal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29(4), 423-441. 

  11. Kim, E. Y., & Lee, Y. S. (2002). The effects of subjective knowledge on information search and evaluation rules for apparel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9/10), 1378-1389. 

  12. Kim, I., Kang, Y. S., & Choi, M. Y. (2011). The influence of the consumers value and experience quality on the effects of scarcity message typ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6), 1133-1149. 

  13. Kim, J. E. (2002). Trend of the art appreciation in the diverse lifesty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4. Kim, J. H. (2016, March 28). 청춘들, 한복과 사랑에 빠지다 [The youth, love and indulge in a hanbok]. MK News. Retrieved April 1, 2016, from http://news.mk.co.kr/newsRead.php?no228624&year2016 

  15. Kim, J. Y. (2006). A study on the long-term relationship intention process according to consumer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6(3), 91-106. 

  16. Kim, S., Kim, A. J., & Ko, E. (2010). The preference and purchasing intention of traditional design b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ulture values and preferred style image of traditional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7), 1053-1064. 

  17. Kim, Y. K. (2010). A study on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values of Hanbok shown in print media since 2000.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8. Ko, E., & Yun, S. (2004). Impact of fashion brand personality on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Comparison among formal, casual, sports brands-. Journal of Global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4, 59-80. doi:10.1080/12297119.2004.9707222 

  19. Lee, Y. K. (2011, November). A study on the cultural value of content industry.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Retrieved December 13, 2016, from http://kcti.re.kr/03_1.dmw?methodview&reportId1&reportSeq850 

  20. Lee, W. H. (2002).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ultural production development through Korean traditional cult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1. Lee, W. T. (2010, November). 전통문화산업 실태조사 및 종합육성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전통문화산업 분류기준연구-[Fundamental research for establishment of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and survey of actual condition of traditional culture industry-Study on classification criteria of traditional culture industr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Retrieved January 28, 2017, from http://www.mcst.go.kr/web/s_data/research/research-View.jsp?pSeq953 

  22. Lim, H. S. (1994). 한국의 사회변동과 가치관 [Social change and values in Korea]. Paju: Nanam Publishing House. 

  23. Lim, J. W., Kim, J. I., Hong, S. T., & Yi, Y. J. (2006). Consumer behavior (3rd ed.). Seoul: Kyungmoon Publishers. 

  24. Ma, H. Y. (2009). The influence of consumption value and service quality in traditional Japanese hotels on the consumer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5. Moorman, C., Zaltman, G., & Deshpande, R. (1992). Relationships between providers and users of market research: The dynamics of trust within and between organiz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9(3), 314-328. doi:10.2307/3172742 

  26. Park, I. C. (2013). Traditional cultural storytelling for the cultural archetype of industry development. A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6(1), 121-128. 

  27. Park, S. J. (2016, September 7). "한복 인식 변화...전통 옷에서 패션 아이템으로" ["Hanbok recognition change...From traditional clothes to fashion items"]. YTN. Retrieved April 24, 2017, from http://www.ytn.co.kr/_ln/0102_201609071828580283 

  28. Perkins, W. S., & Reyna, V. F. (1990). The effects of expertise on preference and typicality in investment decision making.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7(1), 355-360. 

  29. Seo, E. S. (2009). Necessity and direction of Korean culture contents developmen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9(1), 417-427. doi:10.5392/JKCA.2009.9.1.417 

  30. Shin, B. K. (2011). A study about the impacts of recognition (perception) of Korean food on image, attitude, loyalty, and globalization seeking tendency-Focused on Korean food globaliz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31. Shin, E. J. (2011). The conception structure of value cognition and benefits of the consumer on culture-art produc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lue cognition, benefits and attribut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32. Shin, S. T., & Lee, H. J. (2001). A study on the visual expression of Korean style character design through the visual analysis on traditional magic patter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14(3), 135-144. 

  33. Son, K. P. (200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applying traditional patterns-Focus the tourism produc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34. Throsby, D. (2013). Economics and culture (J. W. Sung, Trans.). Paju: Hanul Publishing Group. (Original work published 2001) 

  35. Tylor, E. B. (1958). The origins of culture: Part I of "Primitive culture". New York, NY: Harper & Row. 

  36. Yi, S. M. (2000). Glob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Korean Studies Quarterly, 23(4), 55-78. 

  37. Yoo, D. H. (2011, December). 전통문화산업육성 진흥방안 연구-육성진흥전략 요약 [Study on promotion of cultural industry promotion-Summary of fostering promotion strateg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Retrieved January 28, 2017, from http://www.mcst.go.kr/web/s_open/realnmPolicy/realnmPolicyView.jsp?pSeq13 

  38. Yoon, S., & Jung, H. (2012).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nstructs of flow experienc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Focused on visitors of temple stay-.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6(6), 227-246. 

  39. 전통 [Recognition]. (n.d.).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Retrieved February 17, 2017, from http://stdweb2.korean.go.kr/search/View.js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