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북한 산림복원의 생태계 서비스 기반 경제적 가치평가
Ecosystem service-based economic valuation of forest restoration in North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9 no.2, 2021년, pp.225 - 235  

임철희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  최현아 (한스자이델재단 한국사무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북한 산림복원을 생태계 서비스의 관점에서 비용-편익 기반 경제적 가치로 확인하였고, 산림복원 형태에 따른 경제성을 비교하였다. 특히 산림복원에 따른 편익을 탄소저장, 수자원공급, 토양유실방지, 재해저감 등 생태계 서비스로 분류하고 경제적 가치로 환산하여 종합적 편익을 산출하였다. 산림복원 시나리오에서는 최근의 북한 조림실적과 산림정책을 고려하여 '단독조림 시나리오'와 '산림협력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동일한 복원기간이나 조림의 양적 물량 차이를 시나리오로 도출하였다. 단독조림 시나리오에서는 향후 20년 동안 3조 8,294억원의 비용으로 80만 ha의 산림을 복원하여 6조 8,684억원의 편익이 발생할 것으로 산출되었다. 순현재가치로 경제성을 평가하였을 때, 3조 390억원으로, BCR은 1 이상이었다. 산림협력 시나리오에서는 10조 531억원의 비용으로 220만 ha의 산림을 복원하여 18조 8,909억원의 편익이 발생할 것으로 산출되었다. 마찬가지로 순현재가치로 경제성을 평가하였을 때, 8조 3,599억원이며, BCR은 1 이상이었다. 두 시나리오에서 모두 BCR은 1 이상으로 경제성을 갖는 것으로 도출되었으나, 예상되는 편익의 양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다만, 조림면적에 따른 단순화된 비용-편익 분석이므로, 경제성(BCR)이 유사하게 나타나는 한계가 있으며, 조림속도나 생물리적 차이를 고려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산림복원은 비용보다 편익이 높은 사업이 될 수 있으며, 산림협력을 통해 그 가치를 증진시킬 수 있다. 장기적으로 이러한 경제성이 근거가 되어 기업과 국제·민간기구 등의 협력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산림협력이 추진되길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attain the long-term benefits of forest restoration in North Korea, it is important to present the economic value of reforestation. This study as aimed to evaluate the economic value based on cost-benefit analysis from the ecosystem services perspective. The benefits of reforestation were classif...

Keyword

참고문헌 (23)

  1. Boardman AE, DH Greenberg, AR Vining and DL Weimer. 2014. Cost-Benefit Analysis: Concepts and Prac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2. Choi HA. 2018. Prospect and implementation strategy of the inter-Korean forest cooperation: A case study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 support project in DPRK. Unification Policy Stud. 27:1-20. 

  3. Costanza R, R De Groot, P Sutton, S Van der Ploeg, SJ Anderson, I Kubiszewski, S Farber and RK Turner. 2014. Changes in the global value of ecosystem services. Glob. Environ. Change 26:152-158. 

  4. Cui G, WK Lee, D Kim, EJ Lee, H Kwak, HA Choi, DA Kwak, SW Jeon and W Zhu. 2014. Estimation of forest carbon budget from land cover change in South and North Korea between 1981 and 2010. J Plant Biol. 57:225-238. 

  5. Dong Y, Z Ren, Z Wang, Q Yu, L Zhu, H Yu and G Bao. 2020. Spatiotemporal patterns of forest changes in Korean Peninsula using landsat images during 1990-2015: A comparative study of two neighboring countries. IEEE Access 8:73623-73633. 

  6. Jin Y, S Sung, DK Lee, GS Biging and SW Jeong. 2016. Mapping deforestation in North Korea using phenology-based multi-index and random forest. Remote Sens. 8:997. 

  7. Kim D, CH Lim, C Song, WK Lee, D Piao, S Heo and SW Jeon. 2016. Estimation of future carbon budget with climate change and reforestation scenario in North Korea. Adv. Space Res. 58:1002-1016. 

  8. Kim GS, CH Lim, SJ Kim, J Lee, Y Son and WK Lee. 2017. Effect of national-scale afforestation on forest water supply and soil loss in South Korea, 1971-2010. Sustainability 9:1017. 

  9. Kim JH, RH Kim, HJ Youn, SW Lee, HT Choi, JJ Kim, CR Park and KD Kim. 2012. Valuation of nonmarket forest resources. J. Korean Inst. For. Recreat. 16:9-18. 

  10. KAST. 2014. A study on the selection of planted tree species suitable for forest ecology and environmental changes in North Korea. Korea Forest Service, Korean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 Daejeon, Korea. 

  11. KIEP. 2012. Benefit-Cost Analysis of ODA Projects. ODA policy studies 12-08.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Sejong, Korea. 

  12. KOSIS. 2020. Consumer price index.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Statistics Korea. Daejeon, Korea. 

  13. Lee J, CH Lim, GS Kim, A Markandya, S Chowdhury, SJ Kim, WK Lee and Y Son. 2018. Economic viability of the national-scale forestation program: The case of success in the Republic of Korea. Ecosyst Serv. 29:40-46. 

  14. Lee SG, HA Choi, H Yoo, S Song, S Cha, SW Bae, Y Son and WK Lee. 2018. Restoration plan for degraded forest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considering suitable tree species and spatial distribution. Sustainability 10:856. 

  15. Lim CH, Y Choi, M Kim, SW Jeon and WK Lee. 2017. Impact of deforestation on agro-environmental variables in cropland, North Korea. Sustainability 9:1354. 

  16. Lim CH, C Song, Y Choi, SW Jeon and WK Lee. 2019. Decoupling of forest water supply and agricultural water demand attributable to deforestation in North Korea. J Environ. Manage. 248:109256. 

  17. Ministry of Unification. 2019. Environmental Policy under Kim Jung Un's Regime. Ministry of Unification. Seoul. 

  18. NIFoS. 2020. Results and Implications of Forestry Public Function Evaluation: 2018. Forest Policy Issue 137:1-29. 

  19. Oh YC. 2012. A study on the UNFCCC forestry mechanism in North Korea.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 Piao D, WK Lee, Y Zhu, M Kim and C Song. 2016. Assessment of Forest Degradation and Carbon Storage for REDD+ Project in North Korea. Korean J. Environ. Biol. 34:1-7. 

  21. Podolak K, D Edelson, S Kruse, B Aylward, M Zimring and N Wobbrock. 2015. Estimating the Water Supply Benefits from Forest Restoration in the Northern Sierra Nevada. An Unpublished Report of the Nature Conservancy Prepared with Ecosystem Economics. The Nature Conservancy. San Francisco, CA. 

  22. Song XP, PY Tan, P Edwards and D Richards. 2018. The economic benefits and costs of trees in urban forest stewardship: A systematic review. Urban For Urban Green 29:162-170. 

  23. US Government. 2016. Technical Support Document: Technical Update of the Social Cost of Carbon for Regulatory Impact Analysis. Interagency Working Group on Social Cost of Carbon, US Government.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