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HP 분석을 통한 공동주택 안전 및 안심생활 수준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Safety and Safe Living Standards of Apartment Houses through AHP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7 no.2 = no.52, 2021년, pp.289 - 305  

지영일 (Department of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  신승하 (Department of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  최병정 (General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AHP 분석을 통한 공동주택 입주민의 안전 및 안심생활 수준 향상"을 위하여 상위계층과 sub 상위계층, 하위대안 요소의 중요도 및 안심생활을 위한 요인을 확인하며, 종합우선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유지보수 및 제도에 관한 선행연구와 전문가 자문을 토대로 안전관리 평가요소 및 대안을 계층 구조화하였다. 연구 모형은 전문가를 상대로 쌍대비교 구성의 설문에 활용하고, 대체안 순위 결정 등을 위해 AHP분석 기법을 사용 하였다. 연구결과: 설문조사 응답 결과는 일관성을 확보하였고, 연구의 최종 목표 달성을 위해 sub상위계층 그리고 대안을 상대적 가중치 비교 등을 분석한 결과 상위계층은 공동주택 전기설비 안전점검, sub 상위계층은 안전점검/정밀점검/진단평가, 대안은 급·배수시설이 최우선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공동주택관리 전문가의 관리자적 시각으로 볼 때 급·배수시설, 방범안전, 전기안전이 최우선적인 대안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활안전사고의 중요성을 확보하고 안심생활의 수준 향상이 가능한 것으로 의사 결정되어 사전 예방 및 관리 강화의 대안임을 보여 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importance of higher level, sub higher level and lower alternative factor and the factor for relieved life and also check the comprehensive priority in executed "Safety and relieved life level improvement of apartment house residents by AHP analysis...

주제어

표/그림 (19)

참고문헌 (17)

  1. Ha, S.K., Lee, T.B., Kim, D.H. (2020). Apartment House Safety Management. Pakyoungsa, p.3, 121,177. 

  2. Han, K.H. (2018). Influence of Social Safety Net Construction using Smart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on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Doctor of Engineering , University of Ho Seo. 

  3. Hong, S.H. (2019). "Basic direction and implementation strategy for facility safety and maintenance in the maintenance era."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Construction Policy, Vol. 35, p. 11. 

  4. Ji, Y.I. (2020). "Factors affecting potential disaster damage and perceptible stress influencing evacuation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6, No. 3, pp. 594-601. 

  5. Kim, C.H. (2019). Measuring the Importance of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by Group. Ph.D Thesis, University of Kang Won. 

  6. Kim, P.D. (2020).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disaster prevention and control system for underpasses by analytic hierarchy proces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6, No. 4, pp.734-746. 

  7. Korea Consumer Agency (2016). Online Shopping Mall's Shipping Service Survey. p. 2. 

  8. Korea Consumer Agency (2020). Analysis of Child Safety Accident Trends in 2019, p. 7. 

  9. Korea Elevator Safety Agency (2020). Elevator Accident Casebook in 2019, p. 6. 

  10.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2020). 2019 A Statistical Analysis on the Electrical Accident, Vol. 29, p. 54. 

  11.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2020). Rental Housing Safety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Basic Plan Establishment in 2020. 

  12.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8). Apartment House Management Act, Special Act on Safety and Maintenance of Facilities 

  13. Lee, T.Y. (2006). "Understanding Analytical Stratification (AHP) Techniques." Accounting Audit, Vol. spring, p. 64, p. 65. 

  14. National Fire Agency (2020). 2019 Fire Statistical Yearbook. 11-1661000-000011-10, p. 24, 35. 

  15. National Police Agency (2020). Korean Police Crime Statistics in 2019. p. 20. 

  16. Park, K.D. (2012). A Study on Enactment of Legislation for the Prevention and Response of Life Safety Accident. Research report 2012-11, Korea Legislative Research Institute, pp. 96-97. 

  17. Yoon, H.J. (2019).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apartment housing maintenance system."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Construction Policy, Vol. 35, p. 30-3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