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전보조원의 안전관리활동이 파견법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f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Safety Assistants on Dispatch Method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7 no.2 = no.52, 2021년, pp.306 - 318  

신승하 (Department of Construction Safety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  문유미 (General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  최병정 (General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원청의 안전보조원에 대한 지휘·명령관계라면 파견법이 적용됨에 따라 건설현장 안전관리에 있어서는 파견법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연구목적: 파견법에 따른 안전관리의 중요도 및 영향을 연구하여 안전보조원이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재해예방을 할 수 있도록 안전관리 방향을 제안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전문가와 근로자를 대상으로 AHP분석기법 활용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파견법이 적용될 수 있는 통합가중치를 분석한 결과, 교육(SkillUp교육), 관리(근태관리), 직접지시(피드백 지시) 순으로 중요도가 확인되었다. 로지스틱회귀분석에서 직접지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피드백이며 교육 관리에서는 소속회사 팀장만 업무 지시가 있을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하여 교육관리 비율이 3.42배 낮아졌다. 결론: 파견법 위반을 적용받지 않는 범위 안에서 피드백, 교육에 대한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최근 코로나(Covid-19) 영향으로 비대면 온라인 교육이 확대됨에 따라 안전교육대상자도 다양해지고 있어 안전보조원에 대한 비대면 온라인 교육 확대가 파견법 위반을 피해갈 수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ispatch law has a negative impact on safety management at construction sites as the command and command relationship to safety assistants of the original contractor are applied to the dispatch law. Purpose: The purpose is to study the importance and impact of safety management according to the ...

주제어

표/그림 (14)

참고문헌 (18)

  1. Choi, J.H. (2019). A Study on the Criteria of Distinction between Dispatch and Contract. M.S.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pp. 116-117. 

  2. Cox, D.R. (1958). "The regression analysis of binary sequences (with discussion)."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Vol. 20, pp. 215-242. 

  3. Hwang, H.T. (2017). A Study on the Criteria of Distinction between Contract and Dispatch. M.S.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pp. 112-114. 

  4. Kang, Y.T. (2005). "A study on the safety supervision team's efficient using at construction site."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ol. 7, No. 4, pp. 13-26. 

  5. Kim, J.K. (2015). A Study about the Improvement of Contracts and Diopatches : Focused on the Criteria of Distinction between Contracts and Dispatches. Ph.D.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p. i. 

  6. Kim, J.K. (2019). A Study on the Criteria about Distinction between Subcontracts and Dispatch of Workers. M.S.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pp. 89-91. 

  7. Kim, P.D. (2020).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disaster prevention and control system for underpasses by analytic hierarchy proces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6, No. 4, pp.734-746. 

  8. Lee, C.R. (2013). A Study on the Direct Employment Obligations of Business Owners under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Dispatched Workers. M.S.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pp. 119-122. 

  9. Lee, J.S. (2017). A Study on the Efficient Operation of Safety Patrol Manager at Construction Site. M.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 48 . 

  10. Lee, J.Y. (2020). "The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rmal diseases from the heatwave of construction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romation, Vol. 16, No. 4, pp. 747-737. 

  11. Lee, T.Y. (2006), "Understanding Analytical Stratification (AHP) Techniques." Evaluation Research Institute of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Vol, spring, pp. 64-65. 

  12.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1). Dispatch Act Manual. pp. 8-9. 

  13.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3). A Book of Inquiry Into Dispatching Laws. p. 20, 45. 

  14.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9). Explanation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Expens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pp. 19-20. 

  15.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9). Guidelines on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Dispatch of Workers. pp. 1-4. 

  16. Park, H.G. (2018).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Safety Monitoring Team in Construction Site. Ph.D.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p. 100. 

  17. Park, Y.K. (2020). A Study on the Distinction Criteria for Worker Dispatch and Contract. M.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p. ii. 

  18. Shin, S.H. (2020). The Impact on Incident by Hazard Warning characteristics of Safety Assistant at Mega Project. M.S.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pp. 27-28, 32-33, 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