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업군별 좌식시간과 고위험음주에 따른 고요산혈증의 유병률과 위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valence and Risk of Hyperuricemia according to Sitting time and High-Risk Drinking by Occupational group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1 no.7, 2021년, pp.278 - 287  

전영은 (한림대학교 융합인재학부) ,  강민주 (한림대학교 융합인재학부) ,  최정민 (한림대학교 융합인재학부) ,  정득 (한림대학교 융합인재학부) ,  이종석 (한림대학교 융합인재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직업군별 좌식시간과 고위험음주가 고요산혈증유병률위험도에 차이가 있는지 성별 분석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으로 16,366명을 선정하였다. 분석방법으로 카이제곱 독립성 검정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남성은 여성보다 좌식시간과 고위험음주에 따른 고요산혈증 유병률이 각각 22.2%와 25.2%로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위험도는 1.274와 1.310으로 유의하였다. 고요산혈증에 대한 좌식시간의 유병률과 위험도는 남성에서만 '농림어업종사자' 직업군에서 유의하였다. 반면, 고위험음주의 유병률과 위험도는 남녀 모두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 '사무종사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여성에서만 '서비스 및 판매종사자', '기능원, 장치 및 기계조립 종사자', '무직'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남성에서 고요산혈증의 유병률과 위험도가 높다는 것을 알릴뿐만 아니라 직업군별로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보건의료정책과 의료서비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with a focus on gender whether the prevalence of hyperuricemia varies depending on sitting time and high-risk drinking by occupational group. For this study,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were used, and 16,366 people were selected...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19)

  1. M. R. Son, B. G. Lee & S. W. Lee. (2020). Gout, 92.3% of all patients in 2019 were men. Wonju, Gangwon :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 Asan Medical Center. (n.d.). Gout. Disease Encyclopedia(Online).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832) 

  3. D. I. Feig. (2009). Uric acid: a novel mediator and marker of risk in chronic kidney disease?. Current opinion in nephrology and hypertension, 18(6), 526-530. DOI : 10.1097/MNH.0b013e328330d9d0 

  4. J. W. Lee & J. P. Im. (2015). Hyperuricemia as a novel risk factor for colorectal adenomatous polyp.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66(4), 183-185. DOI : 10.4166/kjg.2015.66.4.183 

  5. D. H. Kang. (2011). Does hyperuricemia play a causative role in the development and/or aggravation of renal, cardiovascular and metabolic disease?.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80(5), 524-528. 

  6. S. H. Kweon et al. (2021). The trends of food and nutrient intakes in Korean: findings from the 1998-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Epidemiology and Health, e2021027. DOI : 10.4178/epih.e2021027 

  7. H. K. Choi, K. Atkinson, E. W. Karlson, W. Willett & G. Curhan, (2004). Alcohol intake and risk of incident gout in men: a prospective study. The Lancet, 363(9417), 1277-1281. DOI : 10.1016/S0140-6736(04)16000-5 

  8. S. Y. Min. (2020). The association between sedentary time and insulin resistance.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9. H. Y. Sung, J. J. Lim, J. B. Mun & Y. S. Kim. (2020). Objectively measured sedentary behavior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The Kore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38(3), 143-150. DOI : 10.5763/kjsm.2020.38.3.143 

  10. J. M. Choo et al. (2020). Associations of physical activity and sitting time with serum vitamin D status in Korean adults: results from the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10(2), 123-128. DOI : 10.21215/kjfp.2020.10.2.123 

  11. A. A. Thorp, N. Owen, M. Neuhaus & D. W. Dunstan. (2011). Sedentary behaviors and subsequent health outcomes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of longitudinal studies, 1996- 2011.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41(2), 207-215. DOI : 10.1016/j.amepre.2011.05.004 

  12. J. Y. Kim et al. (2020). Association between sitting time and hyperuricemia in Korean adults: results from the 2016-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2020, 10(6), 469-473. DOI : 10.21215/kjfp.2020.10.6.469 

  13. P. van Dommelen, J. K. Coffeng, H. P. van der Ploeg, A. J. van der Beek, C. R. L. Boot & I. J. M. Hendriksen. (2016). Objectively measured total and occupational sedentary time in three work settings. PLoS One, 11(3), e0149951. DOI : 10.1371/journal.pone.0149951 

  14. S. Lee, J. S. Kim, J. G. Jung, M. K. Oh, T. H. Chung & J. Kim. (2019). Korean alcohol guidelines for moderate drinking based on facial flushing.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40(4), 204. 

  15. K. Chizynski & M. Rozycka. (2005). [Hyperuricemia]. Organ Polskiego Towarzystwa Lekarskiego: Polski Merkuriusz Lekarski. 19(113), 693-696. DOI : 10.4082/kjfm.19.0059 

  16. S. Raja, A. Kumar, R. D. Aahooja, U. Thakuria, S. Ochani & F. Shaukat. (2019). Frequency of hyperuricemia and its risk factors in the adult population. Cureus, 11(3), e4198. DOI : 10.7759/cureus.4198 

  17. D. H. Park, E. R. Lee & J. Y. Ju. (2017). Association study between serum uric acid level and metabolic syndrom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2), 38-46. DOI : 10.3961/jpmph.2012.45.3.181 

  18. H. A. Kim. (2011). [Men's Disease] Gout. Ajou University Hospital. (Online). http://hosp.ajoumc.or.kr/HealthInfo/DiseaseView.aspx?ai) 

  19.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21). Health Plan 2030, 2021-2030. Seoul :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