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록과 기억의 재현 삼중의 미메시스로 실재읽기
Representation of Collective Memory and Records : Reality Reading Based on Triple Mimesis 원문보기

기록학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no.69, 2021년, pp.153 - 187  

문향기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  김익한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간 삶은 '서사'로 재현되기도 하고, 삶의 과정에서 인간 스스로 '서사'를 만들기도 한다. 따라서 '서사'는 삶과 시간을 이해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과거, 현재, 미래는 단절된 시간들이 아니다. 과거는 미래에 개방되어 있고, 미래는 과거의 의미를 규정하며, 과거는 현재의 삶의 지평으로 환원된다. '서사'는 이러한 열린 시간성을 전제로 형성된다. 기록은 그 자체로서 하나의 '서사'이며, 이 '서사'에 의해 과거의 시간이 재현된다. 또한 기록을 읽어내는 행위에 의해 기록의 '서사'가 아닌 새로운 '서사'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실재와 기록된 '서사'는 순환적이고 변증법적인 구조로 서로를 보완한다. 이글은 실재와 기록, 그리고 기억이 맺는 관계에 대해 현상학적 방법을 동원해 탐구한다. 탐구 도구로 폴 리쾨르의 해석학을 채택하여, 기록이 어떻게 실재와 관계 지워지고 해석되는지, 그리고 아카이브 정의에 복무하는 기억이 어떤 방식으로 형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rrative runs through the entire human life. 'Narrative' is a means of understanding and experiencing human life.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are not disconnected. The past is open to the future. The future defines the meaning of the past, and the past rreturn as the horizon of life. Past,...

주제어

표/그림 (1)

참고문헌 (45)

  1. 김응종 (2011). 피에르 노라의 '기억의 장소'에 나타난 '기억'의 개념. 「프랑스사연구」, 24, 113-128. 

  2. 노명환 (2011). 특집 : 서양역사 속의 공공성과 공론장 : 공론장으로서 기록보존소의 역할 : 그 역사와 현황, 패러다임 변화와 미래 발전방향. 「서양사론」, 110, 97-121. 

  3. 노명환 (2006). 19세기 독일의 역사주의 실증사학과 기록관리제도의 정립, 「기록학연구」, 14, 359-388. 

  4. 박수연 (2019). 자크 데리다의 「Archive Fever」 읽기 : 유령론과 차연에 주목하며 석사학위.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기록관리전공. 

  5. 박영욱 (2009). 「데리다&들뢰즈 : 의미와 무의미의 경계에서」. 서울 : 김영사. 

  6. 박이문 (2007). 「현상학과 분석철학」. 서울 : 和와 사랑. 

  7. 설문원 (2019). 기록이란 무엇인가? : 활동의 고정적 재현물로서의 개념 탐구. 「기록학연구」, 59, 131-159. 

  8. 신응철 (2001). 해석학과 문예비평 : 가다머와 야우스의 관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철학연구」, 54, 255-271. 

  9. 양호환 (2009). 집단기억, 역사의식, 역사교육. 「역사교육」, 109, 1-35. 

  10. 유기환 (2010). 미메시스에 대한 네 가지 시각 - 플라톤, 아리스토텔스, 벤야민, 리쾨르. 「세계문학비교연구」, 33, 375-406. 

  11. 윤성우 (2017). 「폴 리쾨르의 철학과 인문학적 변주」. 서울 :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12. 윤은하 (2016). 아키비스트의 객관성에 대한 재고찰 : 클리포드 기어츠(Clifford Geertz)의 인류학적 방법론을 통해, 「기록학연구」, 47, 5-46. 

  13. 이경래, 이광석 (2017). 동시대 '대항기억'의 기록화 : 용산참사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53, 45-77. 

  14. 이기언 (2009). 폴 리쾨르 : 해석학과 자기 이해. 「불어불문학연구」, 79, 401-439. 

  15. 이승억 (2013). 경계 밖의 수용 : 보존기록학과 포스트모더니즘. 「기록학연구」, 38, 189-223. 

  16. 이영남 (2014). 기록의 전회 : 를 전망하며. 「기록학연구」, 40, 225-277. 

  17. 이종흡 (2018). 서양 기록학계의 기록담론 : 아카이브 병을 전후로. 「역사와 경계」, 109, 453-487. 

  18. 장대환, 김익한 (2019). 기억, 기록, 아카이브 정의(正義). 「기록학연구」, 59, 227-320. 

  19. 정근식 (2013). 한국에서의 사회적 기억 연구의 궤적 : 다중적 이행과 지구사적 맥락에서. 「민주주의와 인권」, 13(2), 347-394. 

  20. 채 윤 (2009). 「재현이란 무엇인가」. 서울: 그린비. 

  21. 이현정 (2014). 기록학 실천주의(Archival Activism)의 과제와 전망 : 월가점령운동 기록화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42, 213-243. 

  22. 정기철 (2016). 「폴리쾨르의 철학」. 서울 : 시와 진실. 

  23. 조민지 (2011). 기억의 재현과 기록 기술(archival description) 담론의 새로운 방향. 「기록학연구」, 27, 89-118. 

  24. 한용희 (2019). 「롤랑 바르트의 비평에 내재하는 정신분석적 사유. 한국프랑스학논집」, 105, 271-295. 

  25. 황설중 (2009). 「인식론 : 우리가 정말로 세계를 알 수 있을까」. 서울 : 민음인. 

  26. Cook, Terry (2001). Archival Science and Postmodernism : New Formulations for Old Concepts. Archival Science, 1(1), 3-24. 

  27. Caswell, Michelle (2010). Khmer Rouge Archives : Accountability, Truth, and Memory in Cambodia. Archival Science, 10(1), 25-44. 

  28. Derrida, Jacques (1996). Archives Fever : A Freudian Im pression. Trans. Prenowitz, Eric.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9. Harris, Verne (2002), "The Archival Sliver: Power, Memory, and Archives in South Africa". Archival Science, 2(2002), 63-86. 

  30. Jacobson, Trond, Punzalan, Ricardo L, Hedstrom, Margaret (2013). Invoking "Collective Memory" : Mapping the Emergence of a Concept in Archival Science. Archival Science, 13(2-3), 217-251. 

  31. Ketelaar, Eric (2001). Tacit Narratives : The Meaning of Archives. Archival Science, 1(2), 131-141. 

  32. Ketelaar, Eric (2005). Sharing : Collected Memories in Communities of Records. Archives and Manuscripts, 33(1), 44-61. 

  33. Ketelaar, Eric (2012). Cultivating Archives : Meaning and Identities. Archival Science, 12(1), 19-33. 

  34. Kyogoku, Natsuhiko (2012). Teihon Hyakki yako - yo. Bungeishunju (김소연 역. 2013. 「백귀야행 : 양」. 서울 : 손안의책). 

  35. Nannelli, Elizabeth (2009). Memory, Records, History : The Records of the Commission for Reception, Truth, and Reconciliations in Tomor-Leste. Archival Science, 9(1-2), 29-41. 

  36. Nora, Pierre (1992). Les Lieux de memoire, quarto Gallimard (김인중, 유희수 외 역. 2010. 기억의 장소 1-5권, 서울: 나남). 

  37. Millar, Laura (2006). Touchstone :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mory and Archives. Archivaria, 61, 105-126. 

  38. Ricoeur, Paul (1983). Temps et recit 1, Le Seuil (김한식, 이경래 역. 1999. 시간과 이야기1, 서울: 문학과 지성). 

  39. Ricoeur, Paul (1984). Temps et recit 2, Le Seuil (김한식, 이경래 역. 1999. 시간과 이야기2, 서울: 문학과 지성). 

  40. Ricoeur, Paul (1985). Temps et recit 3, Le Seuil (김한식, 이경래 역. 1999. 시간과 이야기3, 서울: 문학과 지성). 

  41. Ricoeur, Paul (2000). La memorire l'historie, l'oubli, Le Seuil. 

  42. Yeo, Geoffrey (2007). Concepts of record (1) : Evidence, information, and persistent representations. The American Archivist 70, (Fall/Winter 2007), 315-343. 

  43. Yeo, Geoffrey (2018). Records, Information and Data : Exploring the Role of Record-Keeping in an Information Culture. Facet Publishing. 

  44. ISO 15489-1 (2016).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Records Management-Part 1 : Concepts and Principles. 

  45. 정미경, 김예지 (2018). 5.18 때 피를 나눈 '황금동 여성들'은 왜 잊혔나. 오마이뉴스. 검색일자: 2019. 8. 29. from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4343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