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빈곤원인 인식, 정부신뢰, 복지의식의 관계 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of Poverty Cause, Trust in Government, and Welfare Perception : Moderating Effect of Trust in Governmen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7, 2021년, pp.271 - 280  

이진향 (창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주 목적은 빈곤원인 인식이 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빈곤원인 인식과 복지의식간의 관계에서 정부신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9 한국복지패널 1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부가조사를 최종 완료한 만 20세 이상 가구원 2,02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설명력(R2)의 변화량을 확인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원인 인식의 하위요인 중 개인책임론은 복지의식에 부적인 영향력을 보인 반면, 사회구조책임론과 운명론은 정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정부신뢰는 복지의식에 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셋째, 정부신뢰의 조절효과는 일부 검증되었다. 즉, 빈곤원인 인식의 하위 요인 중 개인책임론과 복지의식 간, 그리고 사회구조책임론과 복지인식 간의 영향 관계에서 정부신뢰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결과를 통해 사회구성원들의 복지의식 향상을 위해 빈곤원인에 대한 인식뿐 아니라 정부신뢰 등 사회적 자본의 강화가 매우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의점 및 의의, 제한점 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poverty cause on the welfare perception,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trust in govern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wareness of poverty cause and welfare perception. To this end, 2,027 members over the age of 20 who compl...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구성원들의 빈곤원인에 대한 인식과 복지의식의 영향관계를 확인하고, 복지 의식에 대한 정부신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국가의 복지정책에 중요한 사회구성원들의 복지의식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사회구성원들의 빈곤원인에 대한 인식(개인 책임론, 사회구조 책임론, 운명론)이 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정부신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분석은 2019년 한국 복지 패널 1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총 2,027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정부신뢰가 독립변수인 빈곤 원인 인식과 종속변수인 복지의식의 영향 관계에서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그림 1]과 같이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여유진, 오미애, 이병재, 최준영, 김근혜, 김선, 한겨레, 신재동, 박나영, 송지은, 정다운, 이봉주, 강상경, 박정민, 안상훈, 정원오, 백승호, 김화선, 신유미, 김정욱, 이주미, 2019년 한국복지패널 기초분석 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2. C. Brooks and J. Manza, "Why do welfare states persist?," The Journal of Politics, Vol.68, No.4, pp.816-827, 2006. 

  3. 이충환, "빈곤원인 인식과 불평등 인식이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7권, 제3호, pp.375-401, 2015. 

  4. 정현태,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의 복지의식에 관한 주관적 인식 연구," 복지상담교육연구, 제6권, 제1호, pp.241-246, 2017. 

  5. 강정희, 염동문, "소득이 복지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정치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논총, 제30권, 제2호, pp.319-351, 2014. 

  6. 이상록, 김형관, "한국사회 빈곤원인 인식의 실태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 제66권, 제1호, pp.163-189, 2014. 

  7. 강상준, 사회복지사의 빈곤원인 인식이 분배정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공정성 및 소득불평등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8. 이미선, "빈곤원인인식이 정부 복지정책 확대에 미치는 영향: 정치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8권, 제3호 pp.803-812, 2018. 

  9. 최고은, "복지지위가 복지인식에 미치는 영향-정부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제23권, 제1호, pp.125-150, 2016. 

  10. 김신영, "한국인의 복지의식 결정요인 연구: 국가의 공적 책임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조사연구, 제11권, 제1호, pp.87-105, 2010. 

  11. C. Mayer, H. Davis, and D. Schoorman, "An integrative model of organizational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0, No.3, pp.709-734, 1995. 

  12. E. Kim, "The role of trust in the modern administrative state an integrative model," Administration and Society, Vol.37, No.5, pp.611-635, 2005. 

  13. S. Svallfors, Political Trust and Support for the welfare state: Unpacking a supposed relationship, In B. Rothstein, and S. Steinmo.(eds). Restructuring the welfare state, political institutions and policy change, New York: Palgrave, 2002. 

  14. 이현우, "복지예산규모에 대한 태도결정에 미치는 요인분석," 국제정치논총, 제53권, 제2호, pp.249-280, 2013. 

  15. 최성락, 전별,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요인분석: 정부요소 및 개인적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2호, pp.238-248, 2019. 

  16. 노민정, "COVID-19시대 사회안전망 평가와 정부신뢰가 증세 수용에 미치는 영향: 소득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12호, pp.154-165, 2020. 

  17. 한국복지패널 14차년도 조사자료 user's guide. www.koweps.re.kr 

  18. 김욱진, "복지의식과 자원봉사활동의 관계에 관한 종단연구," 사회복지정책, 제44권, 제4호, pp.5-34, 2017. 

  19. 김화연, 김민길, 조민호, "일-가정갈등이 사회참여와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현대사회와 행정, 제28권, 제2호, pp.89-113, 2018. 

  20. J. Hetherington, "The political relevance of political trust,"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92, No.4, pp.791-801, 1998. 

  21. 이중섭, "한국인의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제36권, 제4호, pp.73-99, 2009. 

  22. 조돈문, "복지의식의 계급효과와 공사부문효과," 산업노동연구, 제7권, 제1호, pp.157-193, 2001. 

  23. 최유석, "한국인의 사회복지에 대한 인식과 분산: 정치적 성향과 지식의 역할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38권, 제1호, pp.57-83, 2011. 

  24. 허영만, "복지의식 이데올로기 정향분석: 서울시민의 복지의식 탐색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3권, 제2호, pp.99-118, 2009. 

  25. C. M. Federico, "When do welfare attitudes become racialised: the paradoxical effects of education,"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48, No.2, pp.374-391, 2004. 

  26. 오미옥, 이진향, "아동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차별가해 경험: 인권의식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8호, pp.494-502, 2018. 

  27. J. Cohen, P. Cohen, S. G. West, and L. S. Aiken, Applied Multiple Regression/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3rd Ed.), Mahwa, NJ: Erlbaum, 2003. 

  28. 오현주, 이상신, "한국인의 빈곤귀인과 복지태도: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의정연구, 제21권, 제2호, pp.165-200, 2015. 

  29. 조정하, 김성한,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신뢰, 수용, 소통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45, 제1호, pp.86-114, 2018. 

  30. 노대명, 전지현, 한국인의 복지의식에 대한 연구: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31. 염동문, 임채영, 정현태,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와 인권의식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사회과학연구, 제31권, 제4호, pp.401-423, 201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