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질환자의 건강동기 개념분석
Concept Analysis of Health Motiv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7, 2021년, pp.575 - 586  

정미정 (광주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이한나 (강릉원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질환자의 건강행동에 대한 건강동기 개념의 속성을 파악하여, 만성질환자를 위한 근거기반 간호에 기여하고자 함이다. Walker와 Avant의 개념분석 단계에 따라 만성질환자의 건강과 관련된 동기에 대해 연구한 14편의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선정하고, 추가적 문헌고찰을 통해 개념을 분석하였다. 만성질환자의 건강동기 속성으로 다음의 3가지가 도출되었다. 첫째, 건강행동을 위한 심리적 욕구, 둘째,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다차원적인 상태, 셋째, 변화 가능하고 행동변화를 유발하는 정서적 힘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선행요인, 속성, 결과를 고려하여 건강동기를 증진하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근거에 기반한 체계적 만성질환자 관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evidence-based nursing care for patients with chronic conditions by understanding the attributes of the health motivation concept for their health-related behaviors. Fourteen academic journals and research papers on the health-related motivation of chron...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질환자의 건강동기에 대한 개념을 분석하여 명확한 속성을 규명하고, 근거 기반 만성질환자 관리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김나영, "만성질환 유병 수와 사회경제적 조건관계 분석: 중고령자," 한국경제학보, 제22권, 제1호, pp.39-48, 2015. 

  2. 조경숙, "우리나라 만성질환의 발생과 관리 현황," 주간 건강과 질병, 제14권, 제4호, pp.166-177, 2021. 

  3. 정은경, 2020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 질병관리청, 2020. 

  4. Noncommunicable diseases, https://www.who.int/health-topics/noncommunicable-diseases#tabtab_1, 2021. 5. 20. 

  5. 이은옥, K. Hesook Suzie, 박영숙, 송미순, 이인숙, 박연환, "만성질환으로 인한 가족기능 변화 모형 : 완성된 확장기 가족을 대상으로," 대한간호학회지, 제29권, 제3호, pp.467-484, 1999. 

  6. 손연정, 박영례, "만성질환자의 가족지지, 자기효능감 및 자가간호수행간의 관계," 성인간호학회지, 제17권, 제5호, pp.793-801, 2005. 

  7. J. Zhang and P. N. Bennett, "The perception of people with chronic kidney disease towards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a literature review," Renal Society of Australasia Journal, Vol.15, No.3, pp.97-104, 2019. 

  8. 송미순, "건강증진개념을 적용한 만성질환 노인 자기관리 교육 모형 개발," 노인간호학회지, 제6권, 제2호, pp.228-242, 2004. 

  9. R. Amelia, "The Model of Self Care Behaviour and the Relationship with Quality Of Life, Metabolic Control and Lipid Control of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in Binjai City, Indonesia," Open Access Macedonian Journal of Medical Sciences, Vol.6, No.9, pp.1762-1767, 2018. 

  10. 김혜숙, 박종, 정은, "지역사회 건강관리담당자의 만성질환 관리실태," 농촌의학.지역보건, 제34권, 제3호, pp.334-345, 2009. 

  11. R. K. AlHadlaq, M. M. Swarelzahab, S. Z. AlSaad, A. K. AlHadlaq, S. M. Almasari, S. S. Alsuwayt, and N. A. Alomari, "Factors affecting self-management of hypertensive patients attending family medicine clinics in Riyadh, Saudi Arabia," Journal of Family Medicine and Primary Care, Vol.8, No.12, pp.4003-4009, 2019. 

  12. J. Reeve, 동기와 정서의 이해, 박학사, 2018. 

  13. E. L. Deci, "On the Nature and Functions of Motivation Theories," Psychological Science, Vol.3, No.3, pp.167-171, 1992. 

  14. T. Jowsey, C. Pearce-Brown, K. A. Douglas, and L. Yen, "What motivates Australian health service users with chronic illness to engage in self-management behaviour?," Health Expectations, Vol.17, No.2, pp.267-277, 2014. 

  15. A. H. T. Davis, "Exercise Adherenc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 Exploration of Motivation and Goals," Rehabilitation Nursing, Vol.32, No.3, pp.104-111, 2007. 

  16. O. Kahkonen, P. Kankkunen, T. Saaranen, H. Miettinen, H. Kyngas, and M. Lamidi, "Motivation is a crucial factor for adherence to a healthy lifestyle among people with coronary heart disease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71, No.10, pp.2364-2373, 2015. 

  17. M. Fishbein, "A reasoned action approach to health promotion," Medical Decision Making, Vol.28, No.6, pp.834-844, 2008. 

  18. I. Ajze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50, No.2, pp.179-211, 1991. 

  19. J. O. Prochaska and C. C. DiClemente, "Stages and Processes of Self-Change of Smoking : Toward An Integrative Model of Chang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51, No.3, pp.390-395, 1983. 

  20. K. Glanz, B. K. Rimer, and F. M. Lewis,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군자출판사, 2012. 

  21. T. Chang, Y. Zhang, Y. Shan, S. Liu, X. Song, Z. Li, L. Du, Y. Li, and D. Gao, "A study on the information-motivation-behavioural skills model among Chinese adults with peritoneal dialysi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27, No.9-10, pp.1884-1890, 2018. 

  22. 이은남, 공경란,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재활동기에 대한 개념분석," 근관절건강학회지, 제25권, 제3호, pp.240-249, 2018. 

  23. 이은옥, 임난영, 박현애, 이인숙, 김종임, 배정이, 이선미, 간호연구와 통계분석, 수문사, 2009. 

  24. L. O. Walker and K. C. Avant, 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 Prentice Hall, 2010. 

  25.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2021. 4. 20. 

  26. D. L. Huber, Leadership, nursing care management (3rd ed), Saunders Elsevier, 2006. 

  27. Merriam-Webster dictionary [Internet], https://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motivation, 2021. 4. 21. 

  28. C. Moorman and E. Matulich, "A model of consumers' preventive health behaviors: The role of health motivation and health ability,"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0, No.2, pp.208-228, 1993. 

  29. 차명화, 김유경, "건강기능식품 소비가치와 구매의도의 관계에 대한 건강동기, 건강염려, 식품몰입의 조절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37권, 제11호, pp.1435-1442, 2008. 

  30. 김연주, 동기유발을 이용한 치료적 중재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31. 최희수, 가상현실 기반 재활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재활동기에 미치는 효과,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32. R. E. Franken, 인간의 동기, 시그마프레스, 2007. 

  33. D. J. Bem, Self-perception theory, Elsevier, 1972. 

  34. A. Bandura, "Social cognitive theory of self-regulatio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50, No.2, pp.248-287, 1991. 

  35. E. L. Deci and R. M. Ryan, Self-determination theory, Sage publications ltd, 2012. 

  36. 강경자, 송미순, "관상동맥질환자를 위한 동기증진 교육.상담 프로그램이 건강행위변화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제16권, 제2호, pp.5-16, 2010. 

  37. 김미옥, "동기강화면담이 공복혈당장애 환자의 건강증진생활양식, 행동변화단계, 당화혈색소값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1호, pp.338-346, 2015. 

  38. A. Grimaldi, "How to help the patient motivate himself?," Diabetes & Metabolism, Vol.38, No.3, pp.S59-S64, 2012. 

  39. B. Tanisha Jowsey, "What motivates Australian health service users with chronic illness to engage in self-management behaviour?," Health Expectations, Vol.17, No.2, pp.267-277, 2011. 

  40. S. Notaras and J. Conti, "A qualitative analysis of eating behaviour change for patients with diabetes and non-dialysis dependent chronic kidney disease stages 4-5," Journal of Renal Care, Vol.44, No.4, pp.219-228, 2018. 

  41. P. S. Jansons, L. Robins, T. P. Haines, and L. O'Brien, "Barriers and enablers to ongoing exercise for people with chronic health conditions: Participants' perspectives following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wo intervention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76, No.15, pp.92-99, 2018. 

  42. C. Sarfo-Walters and E. A. Boateng, "Perceptions of patients with end-stage kidney disease (ESKD) and their informal caregivers on palliative care as a treatment option: a qualitative study," BMC Palliative Care, Vol.19, No.1, pp.1-8, 2020. 

  43. K. Resnicow, P. J. Teixeira, and G. C. Williams, "Efficient allocation of public health and behavior change resources: The "Difficulty by Motivation" matrix," AJPH PUBLIC HEALTH OF CONSEQUENCE, Vol.107, No.1, pp.55-57, 2017. 

  44. S. C. Parham, D. J. Kavanagh, M. Shimada, J. May, and J. Andrade, "Qualitative analysis of feedback on functional imagery training: A novel motivational intervention for type 2 diabetes," Psychology & Health, Vol.33, No.3, pp.416-429, 2018. 

  45. K. F. Willis, A. Robinson, R. Wood-Baker, P. Turner, and E. H. Walters, "Participating in research: exploring participation and engagement in a study of self-management for people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Qualitative Health Research, Vol.21, No.9, pp.1273-1282, 2011. 

  46. J. Hunt, "Motivational interviewing and people with diabetes," European Diabetes Nursing, Vol.8, No.2, pp.68-73b, 2011. 

  47. J. Warren, B. Smalley, and N. Barefoot, "Higher Motivation for Weight Loss in African American than Caucasian Rural Patients with Hypertension and/or Diabetes," Ethnicity & Disease, Vol.26, No.1, pp.77-84, 2016. 

  48. C. L. Murphy, B. J. Sheane, and G. Cunnane, "Attitudes towards exercise in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the influence of comorbid factors on motivation and ability to exercise," Postgraduate Medical Journal, Vol.87, No.1024, pp.96-100, 2011. 

  49. 정대근, "건강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호흡운동의 효과 비교분석: 만성폐쇄성폐질환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0권, 제2호, pp.105-112, 2016. 

  50. X. Xu, M. Millar, and D. Mellor, "Examining the structural validity of health motivation scale in physical activity," Anthropology, Vol.2, No.3, pp.234-236, 2014. 

  51. K. Lukaschek, N. Schneider, M. Schelle, U. B. Kirk, T. Eriksson, I. Kunnamo, A. Rochfort, C. Collins, and J. Gensichen, "Applicability of Motivational Interviewing for Chronic Disease Management in Primary Care Following a Web-Based E-Learning Course: Cross-Sectional Study," JMIR Mental Health, Vol.6, No.4, pp.1-9, 2019.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