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감에 대한 개념분석
Concept Analysis of Empathy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6 no.3, 2019년, pp.145 - 154  

최선엽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이대목동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analyze and clarify the concept of empathy in nursing. Methods: Using the concept analysis framework of Walker & Avant 68 articles about empathy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Results: Defining attributes of empathy included recognizing others' perspective and though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Walker와 Avant [10]의 개념분석방법을 적용하여 공감 개념의 속성, 선행요인, 결과요인을 도출하는 개념분석 연구이다. 구체적 과정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공감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고 이해함으로써 공감 능력을 갖춘 간호사의 육성과 공감 개념측정도구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Walker와 Avant [10]의 단계에 따라 개념선정, 분석의 목적 결정, 개념의 사용범위 확인,개념의 속성판단, 모델 사례 확인, 추가사례 검토, 선행요인과 결과확인, 경험적 준거 확인 과정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공감에 대한 개념분석 연구로 문헌 조사의 범위는 공감의 사전적 정의와 타 학문에서의 공감 개념을 포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공감에 대한 개념분석을 통해 개념의 명확한 속성을 밝히고, 선행요인, 결과요인을 파악하여 공감 능력을 갖춘 간호사의 육성과 공감측정도구 개발에 기여하고자 시도되었다.
  • Walker와 Avant [10]의 개념분석방법은 이론적 정의규명, 도구 개발, 간호진단에 응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Walker와 Avant [10]의 방법에 근거하여 공감 개념을 분석하고자 한다.
  • 또한, 간호영역에서 공감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공감의 전제조건에 대해서는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으며[9], 타분야와 달리 주로 이론적 관점에서 공감의 정의가 이루어지고 있다[4]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간호영역에서의 공감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명확화된 개념은 현상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며, 개념에 대한 속성과 정의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공감의 개념과 속성을 어떤 세 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는가? 본 연구자는 학자들이 시대별로 정의한 공감의 개념과 속성을 인지적(①), 정서적(②), 표현적(③) 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Table 2).
공감 개념의 속성, 선행요인, 결과요인을 도출하는 개념분석 연구로써의 본 연구의 구체적 과정은 어떠한가? • 개념을 선정한다. • 개념분석의 목적을 정한다. • 개념의 사용범위를 확인한다. • 개념의 속성을 확인한다. • 개념의 모델 사례를 제시한다. • 개념의 추가사례(경계 사례, 반대 사례, 연관 사례, 창안된 사례)를 제시한다. • 개념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을 확인한다. • 개념의 경험적 준거를 확인한다.
광고학에서 공감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광고학에서 공감은 “소비자가 광고에 나타난 상황을 이해하고, 광고상황에 자신을 투사하여 그 의미를 경험하고 공유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는 “광고상황에 대한 동일시, 광고상황에 대한 공감적 이해, 광고상황에 대한 대리적 감정반응으로 구성된 다차원 개념이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Reynolds 24 2000 

  2. Wiseman, Theresa. Toward a Holistic Conceptualization of Empathy for Nursing Practice. AN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vol.30, no.3, E61-E72.

  3. Kirk, Timothy W.. Beyond empathy: clinical intimacy in nursing practice. Nursing philosophy : an international journal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vol.8, no.4, 233-243.

  4. Alligood 299 2005 

  5. Empathy: a review of the concept Benjamin 144 2014 

  6. Lee 1 2014 

  7. A study on the empathy Kim 1 2015 

  8. Hojat, Mohammadreza, Gonnella, Joseph S, Mangione, Salvatore, Nasca, Thomas J, Magee, Mike. Physician empathy in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 experience with the Jefferson scale of physician empathy. Seminars in integrative medicine, vol.1, no.1, 25-41.

  9. McKinnon, John. In their shoes: An ontological perspective on empathy in nursing practic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27, no.21, 3882-3893.

  10. Walker 63 2004 

  11.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Internet] 2019 

  12. University of Oxford. [Internet] 2019 

  13.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of therapeutic personality change Rogers 95 1957 

  14. Hoffman 29 2000 

  15. 소현진. 소비자 공감반응 척도 개발: 이야기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4, no.11, 133-142.

  16. Gallese, Vittorio. The Roots of Empathy: The Shared Manifold Hypothesis and the Neural Basis of Intersubjectivity. Psychopathology, vol.36, no.4, 171-180.

  17. Lee, Byung Kuk, Bahn, Geon Ho, Lee, Won Hye, Park, Jun Heon, Yoon, Tai Young, Baek, Sang B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Medical Education System, Grades, and Personality in Medical College Students and Medical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 KJME, vol.21, no.2, 117-124.

  18. Monica, Elaine L. La. Construct validity of an empathy instrument. Research in nursing & health, vol.4, no.4, 389-400.

  19. Olson, Joanne, Hanchett, Effie. Nurse‐Expressed Empathy, Patient Outcomes, and Development of a Middle‐Range Theory. Image--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29, no.1, 71-76.

  20. Barrett-lennard, G. T.. Empathy in human relationships: Significance, nature and measurement. Australian psychologist, vol.11, no.2, 173-184.

  21. Davis, Mark H..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Evidence for a multidimensional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4, no.1, 113-126.

  22. Pelligra, Vittorio. Empathy, guilt-aversion, and patterns of reciprocity.. Journal of neuroscience, psychology, and economics, vol.4, no.3, 161-173.

  23. Buie, Dan H.. Empathy: Its Nature and Limita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Psychoanalytic Association, vol.29, no.2, 281-307.

  24. Putnam 32 1953 

  25. King Jr., Steve H.. The Structure of Empathy in Social Work Practice. Journal of human behavior in the social environment, vol.21, no.6, 679-695.

  26. Scott, P. Anne. Emotion, moral perception, and nursing practice. Nursing philosophy : an international journal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vol.1, no.2, 123-133.

  27. Hupcey, Judith E., Penrod, Janice, Morse, Janice M., Mitcham, Carl. An exploration and advancement of the concept of trus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36, no.2, 282-293.

  28. Yu, Juping, Kirk, Maggie. Evaluation of empathy measurement tools in nursing: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5, no.9, 1790-1806.

  29. Brunero, Scott, Lamont, Scott, Coates, Melissa. A review of empathy education in nursing. Nursing inquiry, vol.17, no.1, 65-74.

  30. Von Dietze, Erich, Orb, Angelica. Compassionate care: a moral dimension of nursing *. Nursing inquiry, vol.7, no.3, 166-17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