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 대안교육의 교육철학으로서 비판교육학 논의
A Discussion on Critical Pedagogy as a Philosophy in Education for Alternative Education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7, 2021년, pp.477 - 487  

허창수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의 대안교육은 1990년대 이후 교육운동으로 성장해왔다. 최근에는 혁신학교, 자유학기제, 고교학점제 등 공교육 체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성장해왔다. 2021년에는 교육 기관으로 인정받고 지원받기 위해 제도적 기반도 만들어졌다. 20년간 대안교육운동을 성찰한 결과 후반 10년은 정체된 잃어버린 시간으로 이해하고 있다. 새로운 '대안'에 대한 고민으로 교육철학의 빈곤함도 쟁점으로 부각되었지만 특별한 논의가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이 연구는 그간 진행해온 대안교육의 이념들을 담을 수 있는 교육철학을 제안하고자 논의하였다. 비판교육학은 의식적인 해방을 통해 주체적이고, 자율적이며, 능동적이고, 자주적인 인간 양성이 목표이다. 최근에는 생태환경과 페미니즘에도 관심을 가지고 논의해왔다. 프레이리, 일리치 같은 학자들의 교육철학은 대안교육운동 초기 기초가 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점을 미루어 볼 때 한국의 대안교육운동은 비판교육학을 통해 이해할 수 있으며, 미래 새로운 대안을 위한 교육철학으로 타당함에 대한 가능성을 이 연구는 논의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ernative education in Korea has grown into an educational movement since the 1990s. The alternative education is affecting and growing the public education system such as innovative schools, free semester systems,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s. In 2021, an institutional foundation was also esta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 논의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대안 교육의 이념을 담을 수 있는 다양한 철학적 배경을 생각해볼 수 있지만, 특히 비판교육학을 선택하여 대안 교육이 가진 철학에 대한 고민을 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연 구가 가진 두 번째 목적은 교육 영역에서 다양한 교육을 위한 전통적인 근간을 가지고 있는 거대담론인 비판 교육학을 대안교육의 배경이 되는 거대담론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 대부분은 조금씩 방법을 찾아가고 있는데, 반해 교육철학의 경우 아직 그 논의가 상당히 미진하다. 이 논의는 교육철학의 부재와 그에 대한 다양한 논의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철학적 배경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한국 사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공교육의 진보화, 그리고 뉴노멀(new normal)로 표현되는 새로운 시대를 위한 시대정신에 타당한 이론으로 비판 교육학을 제안하고, 공교육과 대안교육의 관계에서 비판 교육학이 대안교육의 교육철학으로 가능한지에 대한 타당성을 논의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 분명 이념의 배경이 되는 다양한 교육철학은 존재했지만, 실천을 지나치게 강조하다 보니 교육철학에 대한 논의가 빈약했고, 그로 인해 새로운 상황, 환경, 맥락 등이 발생했을 때 이에 적응하고 교육 실천으로 전환할 수 있는 동력이 부족했다. 이 논의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대안 교육의 이념을 담을 수 있는 다양한 철학적 배경을 생각해볼 수 있지만, 특히 비판교육학을 선택하여 대안 교육이 가진 철학에 대한 고민을 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연 구가 가진 두 번째 목적은 교육 영역에서 다양한 교육을 위한 전통적인 근간을 가지고 있는 거대담론인 비판 교육학을 대안교육의 배경이 되는 거대담론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 이에 대한 빈약이 20년의 성찰에서 발견된 것이고, 논의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된 것이다. 이에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위기에 처한 대안교육운동을 위한 본질적인 교육철학을 제안하는 것이다.
  • 이 논의는 교육철학의 부재와 그에 대한 다양한 논의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철학적 배경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한국 사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공교육의 진보화, 그리고 뉴노멀(new normal)로 표현되는 새로운 시대를 위한 시대정신에 타당한 이론으로 비판 교육학을 제안하고, 공교육과 대안교육의 관계에서 비판 교육학이 대안교육의 교육철학으로 가능한지에 대한 타당성을 논의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민들레 편집실, 대안교육 20년을 말하다, 도서출판 민들레, 2021. 

  2. 이병곤, "대안교육 현장의 교육철학," 민들레 편집실, 대안교육 20년을 말하다, 도서출판 민들레, pp.59-77, 2021. 

  3. 신현석, "교육개혁의 이념과 철학: 교육개혁 10년의 반성과 과제," 교육정치학연구, 제12집, 제1호, pp.19-50, 2005. 

  4. 이병곤, "위기와 재도약 사이," 민들레 편집실, 대안교육 20년을 말하다, 도서출판 민들레, pp.136-143, 2021. 

  5. 허창수, "시대정신을 위한 교육 담론으로서 비판교육학의 가능성 탐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6호, pp.80-91, 2019. 

  6. 최배근, 대한민국 대전환 100년의 조건: 디지털 생태계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위한 새로운 사회계약과 기본권에 대하여, 월요일의 꿈, 2021. 

  7. 강대중, 대안학교는 학교가 아니다, 박영률출판사, 2002. 

  8. 하태욱, 이종태, 이병곤, 곽현주, 김은영, 2018년도 아동인권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18. 

  9. 교육부, 2019년 대안학교 및 대안교육 특성화중고등학교 현황,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16&lev0&statusYNW&smoe&m0302&opTypeN&boardSeq77266, 2021.03.10. 

  10. 허창수, 임선희, 반재천, 이요바, 여은정, 공립형 대안교육기관 운영 모델 및 프로그램 개발 연구, 대전광역시교육청, 2015. 

  11. 이종태, 대안교육 이해하기, 민들레, 2007. 

  12. 권세진, 학부모들 반발 계속되자 '꼼수 지정'에 지역할당까지... 馬耳東風 밀어붙이기, Daily 월간조선, 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C&nNewsNumb202103100039, 2021.3.11. 

  13. 경기혁신교육, 혁신학교 찾기, https://more.goe.go.kr/school/subList/20000000773, 2021.03.11 

  14. 현영철, 한국 대안교육의 제도화 방향 모색: 정책의 제 설정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18. 

  15. P. Freire, Pedagogy of the Oppressed, The Continuum Publishing Company, 1970. 

  16. J. L. Kincheloe, P. McLaren, and S. Steinberg, "Critical Pedagogy and Qualitative Research," N. Denzin and Y. Lincoln (Eds. 4th Ed.), The Sage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Publications, pp.163-177, 2011. 

  17. P. McLaren, "Critical Pedagogy: A Look the Major Concepts," A. Darder, M. P. Baltodano, & R. D. Torres(Eds, 2nd Ed.), The Critical Pedagogy Reader, pp.61-83, Routledge, 2009. 

  18. 허창수, "비판교육학에 의한 세계시민교육의 이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9호, pp.225-234, 2017. 

  19. 양희찬, "행복한 학교, 자유로운 교육이었나," 민들레 편집실, 대안교육 20년을 말하다, 도서출판 민들레, pp.13-21, 2021. 

  20. S. W. Cho, Critical Pedagogy Social Change, 2013, 심성보.조시화 옮김, 비판적 페다고지는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가?, 살림터, 2014. 

  21. M. Apple and J. Beane, Democratic scholls: Lessons in Powerful Education, 강희룡 옮김, 마이클 애플의 민주학교: 혁신 교육의 방향을 묻는다, 살림터, 2015. 

  22. I. Illich, Deschooling Society, Marion Boyars Publishers LTD, 1970. 

  23. K. Horsthemke, "Non-Human Animals and Educational Policy: Philosophical Post-humanism, Critical Pedagogy, and Ecopedagogy,"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Vol.54, No.4, pp.900-915, 2020. 

  24. C. Luke J. Gore, Feminisms and Critical Pedagogy, Routledge, 1992. 

  25. K. Brunila, The power of critical feminist pedagogy in challenging "learnification" and the neoliberal ethos, S. Magaraggia, G. Mauerer, M. Schmidbaur Eds., Feminist Perspectives on Teaching Masculinities (1st ed.), Routledge. https://doi.org/10.4324/9780429201769, 2019. 

  26. 허창수, "한국 대학교육에 대한 비평: 헨리 지루 사상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20호, pp.447-456, 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