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소비자 소비성향이 한국화장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nese Consumer The Propensity For Consumption Purchase Inten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7, 2021년, pp.413 - 426  

장 하이쿠어 (세종대학교 경제학과) ,  요금격 (세종대학교 경제학과) ,  배기형 (세종대학교 경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 실증분석을 통해 중국 소비자 소비성향이 한국화장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연구의 진행을 위해 수집된 설문지 414개에 대해 SPSS Statistics 24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국 소비자의 소비성향의 하위요인인 유행 추구성향, 브랜드 추구성향, 가격 추구성향, 품질추구성향이 모두 중국 소비자가 한국 화장품에 대한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하였다. 가격추구성향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다른 요인들이 3가지의 소비자 구매의도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소비자가 한국 화장품에 대한 신뢰는 구매의도에 유의한(+)영향을 미친다. 셋째, 신뢰가 유행추구성향과 구매의도 사이에 완전 매개효과가 있고 브랜드추구성향, 품질추구성향과 구매의도 사이에 부분 매개효과로 나타난 반면에 가격추구성향과 구매의도 사이에 매개효과가 없다. 넷째, 한국의 국가이미지가 신뢰와 구매의도의 관계에 조절효과가 없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s purpose is to analyze the effect of Chinese consumer propensity to Korean cosmetics purchase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 first, the sub-factors of Chinese consumers' consumption propensity, fashion-seeking propensity, brand-seeking propensity, price-seeking propensity, and q...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측정 도구를 기반으로 중국 소비자 소비성향이 한국화장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향후 중국 화장품 기업의 제품개발과 전략에 도움을 주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설문조사를 분석하기 위해 SPSS Statistics 24를 사용하였다.

가설 설정

  • H1: 소비성향은 신뢰에 유의한(+)영향을 미친다.
  • H1: 소비성향은 신뢰에 유의한(+)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신뢰는 구매의도에 유의한(+)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신뢰는 구매의도에 유의한(+)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1:유행추구성향은 구매의도에 유의한(+)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4:브랜드추구성향은 구매의도에 유의한(+)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소비성향은 구매의도에 유의한(+)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소비성향은 구매의도에 유의한(+)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신뢰는 중국 소비자의 화장품 소비성향과 구매 의도의 영향관계에 매개효과가 될 수 있다.
  • H4:신뢰는 중국 소비자의 화장품 소비성향과 구매 의도의 영향관계에 매개효과가 될 수 있다.
  • H5:국가이미지가 신뢰와 구매의도 관계를 조절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중국국가통계청:http://www.stats.gov.cn/tjsj/zxfb/202102/t20210227_1814154.html 

  2. 한국통계청: https://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3. 전망산업연구원: https://bg.qianzhan.com/report/detail/300/210303-42d80bb1.html 

  4. 김종섭, 이홍매, "국제경영 : 중국내 한류가 한국화장품의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제17권, 제1호, pp.195-217, 2013. 

  5. 徐照林, 牛昭昭, 樸鍾恩, "韓國化?品暢銷中國與韓流關係的分析," 湖北文理學院學報, 제36권, 제1호, pp.37-43, 2015. 

  6. 짜오윈위에, 김문영, "중국 소비자의 한국 화장품에 대한 평가, 한국 화장품에 대한 사회적지지,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服飾, 제68권, 제4호, pp.1-22, 2018. 

  7. 이철우, 상맹, 초연, "중국 소비자의 한류지각과 화장품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기업과 국가이미지를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 제12권, 제3호, pp.99-120, 2016. 

  8. 이세희, 강일낙, 최은영, "중국의 소비자 적대감이 국가이미지, 한국화장품의 구매의도 및 구매만족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9권, 제8호, pp.947-966, 2019. 

  9. 홍은실, 성수행, "성인여성의 소비성향에 따른 유형분류 및 유형별 화장품 구매의사결정 특성분석," 소비자 정책교육연구, 제11권, 제3호, pp.137-162, 2015. 

  10. D. L. Hawkins, R. J. Beas, and K. A. Colony, ConsumerBehavior(4th ed), Homewood, Irwin. 1989. 

  11. 이순희, 김은실, 주영주, "직장여성의 외모관리행동이 화장품 쇼핑성향 및 화장품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3권, 제4호, pp.629-641, 2017. 

  12. 주영주, "한국 여성 소비자의 화장품 소비성향이 제품선택속성과 정보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61-74, 2019. 

  13. 김한나, 이인희, "소비자의 소비성형이 맞춤형화장품의 선택속성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제26권, 제2호, pp.340-348, 2020. 

  14. 남미우, "남.녀 화장품 소비자의 쇼핑성향과 판촉유형이 소매점 선택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4권, 제3호, pp.375-390, 2014. 

  15. 임유선, 김미숙, "쇼핑성향에 따른 서울 패션상권의 선호요인과 상권 이용도," 服飾文化硏究, 제21권, 제2호, pp.167-182, 2013. 

  16. 이은숙, 서정희, "대학생의 경제적 불안과 유행추구적 소비태도," 울산대학교 생활과학 논문집, 제1권, 제1호, pp.79-92, 1999. 

  17. J. C. Olson and J. Jacoby, "Cue utilization in the Quality Perception Process. In M. Venkatesan, College park(Ed.), Proceedings of the Third Annual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MD: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pp.167-179, 1972. 

  18. J. Jacoby, "A Model of Multi-Brand Loyalty,"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제11권, pp.25-30, 1971. 

  19. 김경미, "비관련 제품 가격의 정박 효과,"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제1권, 제11호, 2007. 

  20. 하종경, "저가 화장품 소비자의 가격민감도에 따른 위험지각과 쇼핑행동에 대한 연구- 부산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미용학회지, 제23권, 제6호, pp.1179-1188, 2017. 

  21. 이숙희, "인터넷 화장품 소비자의 쇼핑성향에 따른 점포속성 중요도 및 구매의도,"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제6권, 제3호, pp.330-343, 2004. 

  22. 안광호, 이재환, "소비자 자아-브랜드개성 일치성과 지각된 품질이 브랜드 사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소비자학연구, 제24권, 제4호, pp.125-146, 2013. 

  23. 김민수, 김문숙,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품질평가기준," 服飾文化?究, 제11권, 제1호, pp.47-65, 2003. 

  24. 안광호, 이재환, "소비자 자아-브랜드개성 일치성과 지각된 품질이 브랜드 사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소비자학연구, 제24권, 제4호, pp.125-146, 2013. 

  25. 강이주, 신자빈, "소비성향에 따른 화장품 소비자의 구매결정요인 분석," 소비문화연구, Vol.9, No.4, pp.83-103, 2006. 

  26. 주영주, "한국 여성 소비자의 화장품 소비성향이 제품선택속성과 정보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3, No.7, pp.61-74, 2019. 

  27. Robert M. Morgan and Shelby D. Hunt, "The Commitment-Trust Theary of Relationship Marketing," Jaurnal of Marketing, Vol.58, No.3, pp.20-38, 1994. 

  28. L. L. Cummings and P. Bromiley, "Transactions Costs In Organization With Trust," Research on Negotiation in Organizations, Vol.5, pp.219-247, 1989. 

  29. 김영호, "창업초기 인터넷쇼핑몰의 신뢰형성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10호, pp.221-228, 2007. 

  30. 방기위, 요금격, 배기형, "중국온라인 쇼핑 라이브 방송과 왕홍 앵커 특성이 소비자의 신뢰와 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통경영학회지, 제24권, 제1호, pp.129-145, 2021. 

  31. 조휘형, 홍일유, "오픈마켓에서 개인특성이 신뢰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12권, 제3호, pp.49-73, 2010. 

  32. M. Fishbein and I, Ajzen,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1975. 

  33. 오만호, 박현정, 이상환, 박수용, "웰빙 라이프스타일이 자연주의 화장품의 지각된 가치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피부미용학회지, 제8권, 제3호, pp.175-190, 2010. 

  34. R. D. Schooler, "Product Bias in the Central Common Marke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9(September), pp.287-300, 1982. 

  35. C. Crawford and B. C. Garland, "East-WestTrading Relationship: The Importance ofPolitical Freedom," Journal of Global Marketing, Vol.1, pp.105-112, 1987. 

  36. 류미현, 이승신, "대학생소비자의 즉석섭취식품 안전 만족도에 따른 재구매의도 및 추천의도," 소비문화연구, 제16권, 제2호, pp.91-115, 2013. 

  37. 신봉섭, "국가 이미지가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동남아시아 3개국과 중국의 비교," 東南亞硏究, 제21권, 제2호, pp.217-239, 2011. 

  38. 김민지, 박은준, "피부관리실의 소비성향이 가치만족의 관계에서 신뢰감의 매개효과,"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0권, 제4호, pp.219-237, 2019. 

  39. 간볼드간둘람, 장형유, "몽골 소비자의 한국화장품 선택속성이 브랜드 신뢰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매체와 판촉유형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10호, pp.134-145, 2020. 

  40. 이사일, 박민정, "패션 공유 플랫폼의 품질 특성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중국 여성 소비자를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17권, 제3호, pp.133-144, 2019. 

  41. 원성빈, 손증군, "소비자의 쇼핑 동기가 온라인 쇼핑에 대한 신뢰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8호, pp.71-80, 2016. 

  42. Pang Qiwei, Yao Jinge, 배기형, "중국 온라인 쇼핑 라이브 방송과 왕홍 앵커 특성이 소비자의 신뢰와 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통경영학회지, 제24권, 제1호, pp.129-145, 2021. 

  43. 김민정, 양소교, 이형재, "중국 여성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의 한국 고급 화장품의 지각된 가치와 구매의 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객만족경영연구, 제21권, 제2호, pp.15-39, 2019. 

  44. 진양호, 김예영, 안상훈, "고급레스토랑 이용고객의 체면민감성이 과시소비성향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제31권, 제2호, pp.170-177, 2016. 

  45. 정민지, 진병호, 양희순, "한류 및 제품이미지가 한국화장품의 온라인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베트남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비문화연구, 제20권, 제2호, pp.163-181, 2017. 

  46. 이현지, "국내 저가 화장품 브랜드의 컬러 아이덴티티가 브랜드 인지도 및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제27권, 제4호, pp.712-720, 2017. 

  47. M. Manfredo and A. Bright, "A model for assessing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on recreationist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23, pp.1-20, 1991. 

  48. R. C. Mayer, J. H. Davis, and F. D. Shoorman, "An intergration model of organization trust,"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0, No.3, pp.709-410, 1995. 

  49. 조성순, 장경호, 김진강, "예비창업자의 프랜차이즈 기업브랜드 선택속성과 브랜드 선택의도의 관계에서 신뢰의 매개효과," Tourism Research, 제41권, 제3호, pp.131-153, 2016. 

  50. Xiayu Chen, Qian Huang, Robert M. Davison, Zhongsheng Hua, "What Drives Trust Transfer? The Moderating Roles of Seller-Specific and GeneralInstitutional Mechanisms,"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Vol.20, No.2, pp.261-289, 2015. 

  51. X. Wang and Z. Yang, "Does country-of-origin mat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personality and purchase intention in emerging economies?: Evidence from China's auto industry," International marketing review, Vol.25, No.4, pp.458-474, 2008. 

  52. 남미우, "남 녀 화장품 소비자의 쇼핑성향과 판촉유형이 소매점 선택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4권, 제3호, pp.375-390, 2014. 

  53. 김호영, 김진우, "모바일 인터넷의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제12권, 제3호, pp.89-113, 2002. 

  54. 박지선, 김찬주, 유해경, "베트남 여성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한국 화장품 브랜드," 제14권, 제3호, pp.375-390, 2016. 

  55. 강은미, 오경숙, "화장품 해외직접구매시 소비자 특성이 소비자 만족 및 추천/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4권, 제2호, pp.11-23, 2018. 

  56. 이효람, 신세영,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을 활용한 체험마케팅이 중년여성의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0권, 제1호, pp.197-209, 2019. 

  57. Reuben M. Baron and Davi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 No.6, pp.1173-1182, 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