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격진료 실시에 수반되는 법적 쟁점들에 대한 고찰
Legal Issues To Be Considered Before Implementing Telehealth in South Korea 원문보기

의료법학, v.22 no.1, 2021년, pp.57 - 90  

이원복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의료인이 직접 환자를 진료하는 형태의 원격진료가 현행 의료법에서 허용이 되는지 여부와 의료법상 허용을 떠나 정책적으로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의 문제가 오랫동안 논란이 되어 왔다. 그러다가 코비드19라는 인류가 드물게 겪는 팬데믹 상황으로 인하여 우리나라에서 한시적으로 허용이 되었고 외국에서도 이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다시 관심을 받고 있다. 원격진료의 허용 여부에 관하여는 이미 많은 논문이 존재하지만, 막상 원격진료가 실시될 경우 그에 수반되어 발생할 수 있는 부수적인 법적 쟁점들에 관하여는 논의가 부족했던 부분이 있어 이 글에서 다루었다. 필자는 국민건강보험의 수가정책, 환자 본인 확인, 의약품 비대면 구매, 진료장면 녹화에 관하여는 입법적으로 미리 정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고, 원격진료에 필요한 시설 기준은 오히려 법제화를 하면 현실에 뒤떨어지거나 변화에 대응하는 탄력성이 떨어지므로 법제화를 하지 않고 대신 의료인이 의료기기법상 승인을 받은 원격진료용 기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판단하였으며, 끝으로 원격진료의 맥락에서 발생한 의료사고의 책임이라든가 개인정보 보호는 기존의 민사법이나 개인정보 보호법으로 이미 충분한 대응이 되므로 별도의 특칙을 제정할 필요는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lehealth has been a hotly debated health policy issue in South Korea, mostly because the medical community - especially primary care practitioners - have strongly opposed it. As a result, telehealth has remained forbidden under law. However, the temporary permission of telehealth in Korea, as well...

주제어

참고문헌 (23)

  1. 김범준, "원격의료의 활성화를 위한 보험제도의 개선과제", 「법학논고」 제56권, 2016. 

  2. 김진숙.오수현, "원격의료 정책현황 비교 분석 연구: 미국, 일본, 한국을 중심으로",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제24권 1호, 2018. 

  3. 김진숙.오수현, "디지털 융복합시대에 원격의료 규제 완화에 관한 쟁점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8권 12호, 2020. 

  4. 김철주, "한국과 일본의 원격의료관련 법령 비교 분석 및 입법과제", 「시민사회와 NGO」 제14권 1호, 2016. 

  5. 김항중, "미국 원격의료에서 논의되는 법적 논쟁: 자격인증/특별인가와 의료과오책임을 중심으로", 「한국의료법학회지」 제22권 2호, 2014. 

  6. 류화신, "원격의료에서 의사의 책임원리", 「비교사법」 제12권 1호, 2005. 

  7. 박정연.이원복, "미국 행정청의 집행재량(enforcement discretion)에 관한 법리와 시사점-부집행(non-enforcement) 행정작용을 중심으로", 「공법연구」 제45권 3호, 2017. 

  8. 박지순.부종식, "건강보험 부당수급의 문제와 해결방안", 「사회보장법학」 제3권1호, 2014. 

  9. 백경희.박성진, "펜데믹(Pandemic) 기간 동안의 원격의료 허용 여부 및 그 범위에 관한 고찰", 「법학논총」 제48권, 2020. 

  10. 백경희, "미국의 원격의료에 관한 고찰- 코로나 19 대처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법학논고」 제70권, 2020. 

  11. 이원복, "의약품 온라인 판매 규제의 새로운 접근", 「생명윤리정책연구」 제9권 2호, 2015. 

  12. 이재경, "원격의료에서 손해배상책임", 「의생명과학과 법」 제12권, 2014. 

  13. 이한주, "개인정보보호법상 의료정보 적용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헌법연구」 제3권 2호, 2016. 

  14. 장연화.백경희, "의사의 대면진료의무와 의료법 제17조 제1항의 해석에 대한 소고", 「법학논집」 제17권 4호, 2013. 

  15. 주지홍, "원격의료 관련 의료법개정안에 대한 소고", 「한국의료법학회지」 제17 권 2호, 2009. 

  16. 최용전, "원격진료에 관한 의료법의 개정방안 연구- 의료법 제34조를 중심으로 -", 「공법연구」 제44권 1호, 2015. 

  17. 현두륜, "원격의료의 허용 여부와 그 한계", 「의료법학」 제21권 3호, 2020. 

  18. Adams, M.A.(2017). Covert Recording by Patients of Encounters With Gastroenterology Providers: Path to Empowerment or Breach of Trust?. Clinical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15(1):13-16 

  19. Federation of State Medical Boards.(2014). Model Policy for the Appropriate Use of Telemedicine Technologies in the Practice of Medicine 

  20. Kramer, G.M., Kinn, J.T. & Mishkind, M.C.(2015). Legal, Regulatory, and Risk Management Issues in the Use of Technology to Deliver Mental Health Care. Cognitive and Behavioral Practice. 22(3):258-268 

  21. Lonergan, Peter E., Samuel L. Washington III, Linda Branagan, Nathaniel Gleason, Raj S. Pruthi, Peter R. Carroll, & Anobel Y. Odisho (2020). Rapid Utilization of Telehealth in a Comprehensive Cancer Center as a Response to COVID-19: Cross-Sectional Analysis.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2(7):e19322 

  22. Nittari, Giulio, Ravjyot Khuman, Simone Baldoni, Graziano Pallotta, Gopi Battineni, Ascanio Sirignano, Francesco Amenta & Giovanna Ricci. (2020). Telemedicine Practice: Review of the Current Ethical and Legal Challenges. Telemedicine and e-Health. 26(12):1427-1437 

  23. Shachar, Carmel, Jaclyn Engel, and Glyn Elwyn.(2020). Implications for Telehealth in a Postpandemic Future: Regulatory and Privacy Issues. JAMA. 323(23):2375-2376.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