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구상나무림의 종조성과 환경인자간 상관관계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Species Composi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Abies koreana Forest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4 no.2, 2021년, pp.144 - 155  

박병주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백두대간산림생물자원보전실) ,  김지동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백두대간산림생물자원보전실) ,  이준우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산림복원지원실) ,  조승완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백두대간산림생물자원보전실) ,  허태임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백두대간산림생물자원보전실) ,  이동혁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백두대간산림생물자원보전실) ,  변준기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백두대간산림생물자원보전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대표적인 구상나무 자생지인 덕유산, 지리산, 한라산 대상, 종조성과 토양이화학적성질과 경관지수를 이용하여 구상나무 분포와 환경요인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향후 구상나무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표본점 조사구는 총 121개소를 조사하였다. 토양이화학적 성질의 경우 대부분 한라산에서 높은 수치로 기록되었으며, 지형지수는 덕유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습윤지수는 한라산, 광량은 지리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ordination 결과 덕유산과 한라산의 구상나무림 종조성이 매우 이질적인 종조성으로 나타났다. 구상나무의 흉고단면적의 경우 한라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활엽수 흉고단면적은 적어 한라산의 구상나무림이 육지에 있는 구상나무림 보다 순림형태로 나타났다. 치수발생량은 덕유산에서 매우 저조하여 향후 후계목의 수가 적어 점차 쇠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치수발생수 뿐만아니라 향후 치수의 생장량에 대한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환경인자와 구상나무 식생요인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한라산 지역은 지형습윤지수와 큰 영향이 없었으며, 지리산 및 덕유산은 지형습윤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치수발생과 관련하여 지리산과 여러 환경인자간의 상관관계가 통계쩍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상나무림의 쇠퇴와 유지와 관련하여 국내 학계에서 여러가지 가설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단기간의 조사를 바탕으로 한 분석이라는 점에서 연속적이고 여러 지형상황에 따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해양성기후인 한라산 지역과 대륙성기후를 나타내는 덕유산, 지리산 지역의 구상나무림의 쇠퇴 및 유지와 관련한 환경인자는 지역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community structure and species composition of Abies koreana forest. Field survey was carried out from June, 2019 to 2020, September. 121 plots (20×20 m) were set up, 5 herb layer plots (3×3 m) were constructed for each plot, and there, Diameter at B...

Keyword

표/그림 (11)

참고문헌 (32)

  1. Baier, R. Ettl, R. Hahn and C. Gottlein A. 2006. Early development and nutrition of Norway spruce (Picea abies (L.) Karst.) seedlings on different seedbeds in the Bavarian limestone Alps - a bioassay. Ann. For. Sci. 63:339-348. 

  2.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fige der Vegetationskunde, 3rd ed., Springer, New York (USA). pp. 1- 865. 

  3. Brower, J.E. and J.H. Zar.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Iowa (USA). pp. 135-194. 

  4. Curtis, J.T. and R.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nsconsin. ESA 32(3):476-496. 

  5. Germino, M.J., W.K. Smith and A.C. Resor. 2002. Conifer seedling distribution and survival in an alpine-treeline ecotone. Plant Ecol. 162:157-168. 

  6. Golicher, D., L. Cayuela, R. Alkemade, M. Gonzlez-Espinosa and N. Ramirez-Marcial. 2008. Applying climatically associated species pools to the modeling of compositional change in tropica montane forests. Global Ecol. Biogeogr. 17:262-273. 

  7. Hasegawa, S.F. and A. Mori. 2007.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bies mariesii saplings in a snowy subalpine parkland in central Japan. Tree Physiol. 27(1):141-148. 

  8. Kent, M. and P. Coker. 1992. Vegetation Description and analysis: A practical approach, Belhaven Press, Florida (USA). pp. 22-363. 

  9. Kim, D.S. 1997. Vegetation Structure and Dynamics of Korean Fir Forest Edges in Mt. Halla. Department of Biology, MS Thesis, Jeju University, Korea. pp. 27-28 (in Korean). 

  10. Kim, G.T. and G.C. Choo. 2000. Comparison of growth condition of Abies koreana Wilson by Districts. J. Ecol. Environ. 14(1):80-87 (in Korean). 

  11. Kim, G.T., G.C. Choo and T.W. Um. 2007. Studies on the structure of Abies koreana community at subalpine zone in Hallasan. J. Ecol. Environ. 21(2):161-167 (in Korean). 

  12. Kim, J.D., J.H. Lim and C.W. Yun. 2019. Dynamics of Abies nephrolepis seedlings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factors in Seorak Mountain, South Korea. Forests 10(702):1-14. 

  13. Kim, J.W. and Y.K. Lee. 2006.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World Science, Seoul, Korea. pp. 2-240 (in Korean). 

  14. Kong, W.S. 1998. The distributional patterns of alpine plants of Mt. Halla, Cheju Island, Korea. J. Korean Geogr. Soc. 33(2): 191-208 (in Korean). 

  15. Kong, W.S. 2002.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Korean Alpine Plants. J. Korean Geogr. Soc. 37:357-370 (in Korean). 

  16. Kong, W.S. 2006. Biogeography of Native Korean Pinaceae. J. Korean Geogr. Soc. 41(1):73-93 (in Korean). 

  17. Koo, K.A. and D.B. Kim. 2020. Review forty-year studies of Korean fir (Abies koreana Wilson). J. Ecol. Environ. 34(5):358-371 (in Korean). 

  18.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1. http://www.kma.go.kr (2021. 1). 

  19. Kullmann, L. 2002. Rapid recent range-margins rise of tree and shrub species in the Swedish Scandes. J. Ecol. 90(1):68-77. 

  20. Lee, D.K. and J.U. Kim. 2007. Vulnerability assessment of sub-alpine vegetations by climate change in Korea.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10(6):110-119. 

  21. Leith, H. and D.H. Aston. 1961. The light compensation point of some herbaceous plants inside and outside deciduous woods in Germany. Can. J. Botany 39:1255-1259. 

  22. Lim, J.H., S.Y. Woo, M.J. Kwon, J.H. Chun and J.H. Shin. 2006. Photosynthetic capacity and water use efficiency under different temperature regimes on healthy and declining Korean fir in Mt. Halla. J. Korean For. Soc. 19(4):415-425. 

  23. McCune, B. and J.B. Grace. 2002. Analysis of Ecological Communities.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egon (USA). pp. 11-300. 

  24. McCune, B. and M.J. Mefford. 2006.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5. 17.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egon (USA). pp. 10-237. 

  25. Meshinev, T., I. Apostolova and E.S. Koleva. 2000. Influence of warming on timberling rising: A case study on Pinus peuce Griseb. in Bulgaria. Phytocoenologia 30(3):431-438. 

  26. Mori, A., E. Mizumachi, T. Osono and Y. Doi. 2004. Substrateassociated seedling recruitment and establishment of major conifer species in an old-growth subalpine forest in central Japan. For. Ecol. Manag. 196(2-3):287-297. 

  27. Park, C., Y. Choi, J.Y. Moon and W.T. Yun. 2009. Classification of Climate Zones in South Korea Considering both Air Temperature and Rainfall. J. Korean Geogr. Soc. 44(1):1-16 (in Korean). 

  28. Park, P.J., J.G. Byeon and K. Cheon. 2019. Study of ecological niche and indicator species by landforms and altitude of forest vegetation in Mt. Myeonbong. Korean J. Plant Res. 32(4):325-337 (in Korean). 

  29. Peterson, L.K., K.M. Bergen, D.G. Brown, L. Vashchuk and Y. Blam. 2009. Forested land-cover patterns and trends over changing forest management eras in the Siberian Baikal region. Forest Ecol. Manag. 257(3):911-922. 

  30. Petroselli, A., F. Vessella, C. Lucia, G. Piovesan and B. Schirone. 2013. Ecological behavior of Quercus suber and Quercus ilex inferred by topographic wetness index (TWI). Trees. 27:1201-1215. 

  31. Song, K.M., C.S. Kim, J.G. Koh, C.H. Kang and M.H. Kim. 2010. Vegetation Structure and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Abies koreana Forests in Mt. Halla. J. Ecol. Environ. 19(4):415-425 (in Korean). 

  32. Wilson, E.P. 1992. The Diversity of Li\fe.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USA. pp. 35-424.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