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질환에 대한 가족력의 유병률과 위험도에 관한 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2019)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evalence and Risk of Family History for Chronic Diseases: Finding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9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1 no.8, 2021년, pp.160 - 167  

이난초 (한림대학교 융합인재학부) ,  김민주 (한림대학교 융합인재학부) ,  최희진 (한림대학교 융합인재학부) ,  이종석 (한림대학교 융합인재학부) ,  정득 (한림대학교 융합인재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2019 자료를 이용하여 만성질환 가족력에 대한 만성질환의 유병률위험도를 실증적으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5,691명으로 만성질환 가족력과 관계있는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을 통제한 후, 만성질환 유병에 대한 만성질환 가족력의 위험도인 오즈비를 검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성별, 나이, 소득수준, 교육수준, 거주지역을 통제한 경우, 만성질환 가족력이 없는 집단 대비 가족력이 있는 집단에서 만성질환이 발병할 위험도인 오즈비는 고혈압 2.623, 이상지질혈증 1.868, 당뇨병 1.964, 관절염 1.435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력 검사에 대한 표준화 도구를 개발하고 보건의료의 예방의학 차원에서 가족력이 있는 구성원에 대한 건강과 질병 관리 시스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만성질환 유병률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통제하고, 만성질환에 대한 가족력의 위험도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여 보건의료 측면에서 실천방안을 제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prevalence and risk of chronic diseases in the family history of chronic diseases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9. Based on 5,691 people, after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at were re...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18)

  1. Statistics Korea. (2019). Estimates of future population. Daejeon : Statistics Korea. 

  2.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8). Survey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Elderly in 2017. Sejong :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3.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Studies. (2013). Compound Chronic Disease Analysis of the Elderly: Focusing on Outpatient Use. Sejong :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Studies. 

  4. WHO. (2015). Noncommunicable diseases fact sheet. WHO(Online).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noncommunicable-diseases 

  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1). Current Status and Status of Chronic Diseases in 2020. Cheongju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9). The Eigh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heongju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7. G. D. Go. (2019). Health News May 2019 Edition. Seoul : Korea Health Care Association. 

  8. N. Y. Kim. (2009).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Chronic Diseases of the Elderly. Master's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Jeollabuk-do. 

  9. Y. H. Oh. (2015. May). The Health Status of Older Koreans and Policy Considera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23(0), 29-39. 

  10. J. H. Lee. (2014). Family tree diseases: family history diseases. Medical Report, 38(8), 38-39. 

  11. L. J. Choi. K. W. Kim, S. G. Choi, S. M. Kim, S. M. Park & J. S. Son. (2019). The Influence of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on Hypertension Prevalence, Management and Healthy Behaviors among Korean Adults: Resul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9(1), 1-8. DOI : 10.15384/kjhp.2019.19.1.1 

  12. Lonzer MD. Imrie R, Rogers D, Worley D, Licata A & Secic M. (1996). Effects of heredity, age, weight, puberty, activity, and calcium intake on bone mineral density in children. Clin Pediatr (Phila), 35(4), 85-9. DOI : 10.1177/000992289603500402. 

  13. H. S. Kim, B. N. Yu & E. H. Lee. (2018). Evaluation of the national chronic diseases management policy: performance and future directions. Public Health Affairs, 2(1), 105-120. DOI : 10.29339/pha.2.1.105 

  14. Korea Institute for Health Promotion and Development. (2021). Development and pilot evaluation of patient experience evaluation tools for primary care chronic disease management. Seoul : Korea Institute for Health Promotion and Development. 

  15. Y. H. Jung, S. J. Go & E. J. Kim. (2013). A study on the effective chronic disease management. Sejong :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Studies. 

  16. M. H. Kim & D. H. Lee. (2011). Factors Related to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Chronic Diseases in the Elderly.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28(2), 99-107. 

  17. P. Yoon, M. T. Scheuner & M. J. Khoury. (2003). Research priorities for evaluating family history in the prevention of common chronic diseases. Am J Prev Med., 24, 128-35. DOI : 10.1016/s0749-3797(02)00585-8 

  18. Weir E. (2005). Using a family history tool to prevent chronic diseases.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journal de l'Association medicale canadienne, 172(5), 631. DOI : 10.1503/cmaj.0452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