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질환 진단이 노인의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 주요 5대 만성질환의 초기 진단기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ransition to Living with Chronic Diseases on Depressive Symptom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2 no.2, 2021년, pp.354 - 361  

박민경 (메릴랜드 주립대학교 노년학과) ,  조규영 (동아대학교 기초교양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른 만성질환자 증가 추이를 고려하여, 만성질환에 의한 정신건강 악화에 대해 다루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인의 사망원인 중에서 상위를 차지하는 5가지의 주요 만성질환(당뇨병, 암, 만성폐질환, 심장질환, 뇌혈관 질환)을 선정하였다. 1-2차년도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에 참여한 45세 이상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만성질환 진단자로의 전이와 우울 수준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SPSS 25.0을 사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만성질환자로 전이한 경우 및 5가지 각 질환별 전이한 경우가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만성질환 진단자로 전이는 우울수준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환별로 살펴보았을 때, 암, 만성 폐질환, 뇌혈관 질환이 진단된 중고령자는 우울 수준이 높아졌으나, 당뇨병과 심장질환이 진단된 경우는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만성질환자로의 전이와 우울관리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whether the transition to living with a chronic disease changes the level of depression symptoms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South Korea. We hypothesize that the transition to living with chronic disease leads to a higher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A nationally repre...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용하였다. 고령화연구패널조사는 고령자의 사회, 경제, 심리, 인구학적 형성 및 건강상태 등을 측정하고 파악하여 효과적인 사회경제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 조사되었다. 원표본은 2006년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만 45 세 이상자(1961년 이전 출생)중 임의 표집 된 10, 254명이고, 추적된 표본은 2차년도 8, 688명이다.
  • 아직까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인 상위 사망원인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5개 만성질환 (암, 심혈관 질환, 뇌혈관 질환, 당뇨병, 호흡기 질환)을중심으로, 만성질환 진단자로의 전이가 우울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만성질환 진단자로의 전이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인의 사망원인 중 과반수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5대 만성질환의 진단기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만성질환 진단자로 전이한 경우 우울 수준이 높아졌다.
  • 첫째, 노인 인구의 계속적인 증가는 만성질환자 규모의 증가를 동반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개인과 사회적 차원 모두에서 만성질환 관리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연구는 만성질환으로 동반되는 부정적 정신건강의 악화에 대한 관심을 재고할 수 있는 구체적인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우울증은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의 주요한 예측요인인 점[33, 34], 더 나아가 한국노인의 자살률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점[35]을 고려할 때 노인의 신체 건강 악화로 인한 정신건강의 문제를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Statistics Korea, "Cause of death statistics", 2017.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 (accessed Aug. 20, 2020) 

  2. M.. W. Kim, "Impact of depression, comorbid chronic diseases, and ADL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4, No. 5, pp. 190-198, 2014. DOI: https://doi.org/10.5392/JKCA.2014.14.05.190 

  3. J. E. Kim, J. W. Hwang, J. S. Park, D. S. Park, S. W. Park,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Treatment and Use of Chronic Diseases in South Korea", Health Industry Brief, Vol. 203, pp. 1-16, 2015. Available from: https://www.khiss.go.kr (accessed Aug. 20, 2020) 

  4. Y. H. Jung, Basic Analysis Report on the Korean Medical Pane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0. Available from: https://www.kihasa.re.kr (accessed Aug. 15, 2020) 

  5. Y. K. Lee, "Health and Care of Older Adults in Korea", Health and Welfare Forum, Vol. 2018, No. 10, pp. 19-30, 2018. Available from: https://www.kihasa.re.kr (accessed Aug. 15, 2020) 

  6.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Report on Cause of Death Statistics, 2018.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 (accessed Jul. 20, 2020) 

  7. G. Deimling, B. Kahana, K. Bowman, M. Schaefer, " Cancer survivorship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later life", Psycho-Oncology, Vol. 11, pp. 479-494, 2002. DOI: https://doi.org/10.1002/pon.614 

  8. P. He, Y. Hu, C. Li, D. Wu, S. Ge, T. Liu, "Predictors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Mid-Aged and Older Men With Diabetes in China", Research and theory for nursing practice, Vol. 33, No. 1, pp. 6-22, 2019. DOI: https://doi.org/10.1891/1541-6577.33.1.6 

  9. C. Q. Huang, B. R. Dong, Z. C. Lu, J. R. Yue, Q. X. Liu, "Chronic disease and risk for depression in old age: A meta-analysis of published literature", Ageing Research Reviews, Vol. 9, pp. 131-141, 2010. DOI: https://doi.org/10.1016/j.arr.2009.05.005 

  10. M. J. Massi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ancer",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Monographs, Vol. 32, pp. 57-71, 2004. DOI: https://doi.org/10.1093/jncimonographs/lgh014 

  11. D. Polsky, J. Doshi, S. Marcus, D. Oslin, A. Rothbard, N. Thomas, C. L. Thompson, "Long-term risk for depressive symptoms after a medical diagnosi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Vol. 165, pp. 1260-1266, 2005. DOI: https://doi:10.1001/archinte.165.11.1260 

  12. F. Rotella, E. Mannucci, "Depression as a risk factor for diabetes: A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Vol. 74, pp. 31-37, 2013. DOI: https://doi.org/10.4088/JCP.12r07922 

  13. J. Schnittker, "Chronic illness and depressive symptoms in late life", Social Science & Medicine, Vol. 60, pp. 13-23, 2005. DOI: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4.04.020 

  14. A. L. Stanton, T. A. Revenson, H. Tennen, "Health psychology: Psychological adjustment to chronic diseas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 58, pp. 565-592, 2007. DOI: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58.110405.085615 

  15. F. Talbot, A. Nouwen, "A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diabetes in adults: is there a link?", Diabetes care, Vol. 23, No. 10, pp. 1556-1562, 2000. DOI: https://doi.org/10.2337/diacare.23.10.1556 

  16. M. Wilson-Genderson, A. R. Heid, R. Pruchno, "Onset of multiple chronic conditions and depressive symptoms: a life events perspective", Innovation in Aging, Vol. 1, No. 2, pp. 1-10, 2017. DOI: https://doi.org/10.1093/geroni/igx022 

  17. L. A. Palinkas, D. L. Wingard, E. Barrett-Connor, "Chronic illness and depressive symptoms in the elderly: a population-based study",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Vol. 43, No. 2, pp. 1131-1141, 1990. DOI: https://doi.org/10.1016/0895-4356(90)90014-G 

  18. S. A. Black, J. S. Goodwin, K. S. Markides, "The association between chronic diseases and depressive symptomatology in older Mexican American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Vol. 53, No. 3, pp. M188-M194, 1998. DOI: https://doi.org/10.1093/gerona/53A.3.M188 

  19. K. Shimoda, R. G. Robins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stroke depression and lesion location in long-term follow-up", Biological psychiatry, Vol. 45, No. 2, pp. 187-192, 1999. DOI: https://doi.org/10.1016/S0006-3223(98)00178-4 

  20. A. J. Zautra, M. H. Burleson, K. S. Matt, S. Roth, L. Burrows, "Interpersonal stress, depression, and disease activity in rheumatoid arthritis and osteoarthritis patients", Health Psychology, Vol. 13, No. 2, pp. 139-148, 1994. DOI: https://doi.org/10.1037/0278-6133.13.2.139 

  21. J. Friedland, M. McColl, "Disability and depression: some etiological considerations", Social Science & Medicine, Vol. 34, No. 4, pp. 395-403, 1992. DOI: https://doi.org/10.1016/0277-9536(92)90299-6 

  22. E. Greenglass, L. Fiksenbaum, J. Eat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ping, social support, functional disability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Anxiety, stress, and coping, Vol. 19, No. 1, pp. 15-31, 2006. DOI: https://doi.org/10.1080/14659890500436430 

  23. V. Valkanova, K. P. Ebmeier, "Vascular Risk Factors and Depression in Later Lif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iological Psychiatry, Vol. 73, No. 5, pp. 406-413, 2013. DOI: https://doi.org/10.1016/j.biopsych.2012.10.028 

  24. W. J. Katon, "Epidemiology and treatment of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hronic medical illness", Dialogues in Clinical Neuroscience, Vol. 13, pp. 7-23, 2011. Available from: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181964 (accessed Aug. 25, 2020) 

  25. I. Spoletini, W. Gianni, L. Repetto P. Bria, C. Caltagirone, P. Bossu, G. Spalletta, "Depression and cancer: An unexplored and unresolved emergent issue in elderly patients", Critical Reviews in Oncology/hematology, Vol. 65, pp. 143-155, 2008. DOI: https://doi.org/10.1016/j.critrevonc.2007.10.005 

  26. S. Y. Wong, J. Woo, H. S. Lynn, J. Leung, Y. N. Tang, P. C. Leung, "Risk of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hronic respiratory diseases: results from two large cohort studies in Chinese elderly from Hong Kong",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A Journal of the Psychiatry of Late Life and Allied Sciences, Vol. 21, No. 3, pp. 233-238, 2006. DOI: https://doi.org/10.1002/gps.1447 

  27. F. Gothe, D. Enache, L. O. Wahlund, B. Winblad, M. Crisby, J. Lokk, D. Aarsland, "Cerebrovascular diseases and depression: epidemiology, mechanisms and treatment", Panminerva Medica, Vol. 54, No. 3, pp. 161-170. 2012. Available from: https://www.researchgate.net/profile/F_Goethe/publication/229155613_Cerebrovascular_diseases_and_depression_Epidemiology_mechanisms_and_treatment/links/55959b8508ae5d8f3930fc53/Cerebrovascular-diseases-and-depression-Epidemiology-mechanisms-and-treatment.pdf (accessed Aug. 25, 2020) 

  28. S. Ali, M. A. Stone, J. L. Peters, M. J. Davies, K. Khunti, "The prevalence of co-morbid depression in adults with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Diabetic Medicine, Vol. 23, No. 11, pp. 1165-73, 2006. DOI: https://doi.org/10.1111/j.1464-5491.2006.01943.x 

  29. F. Rotella, E. Mannucci, "Diabetes mellitus as a risk factor for depression. A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 99, No. 2, pp. 98-104, 2013. DOI: https://doi.org/10.1016/j.diabres.2012.11.022 

  30. M. R. Carnethon, M. L. Biggs, J. I. Barzilay, N. L. Smith, V. Vaccarino, A. G. Bertoni, D. Siscovick, "Longitudinal associ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incident type 2 diabetes mellitus in older adults: the cardiovascular health study",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Vol. 167, No. 8, pp. 802-807, 2007. DOI: https://doi.org/10.1016/S0022-3999(02)00314-8 

  31. A. A. Ariyo, M. Haan, C. M. Tangen, J. C. Rutledge, M. Cushman, A. Dobs, C. D. Furberg, "Depressive symptoms and risks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mortality in elderly Americans". Circulation, Vol. 102, No. 15, pp. 1773-1779, 2000. DOI: https://doi.org/10.1161/01.CIR.102.15.1773 

  32. B. W. Pennix, A. T. Beekman, J. Ormel, D. M. Kriegsman, A. J. P. Boeke, J. T. M. Van Eijk, D. J. Deeg, "Pscychological status among elderly people with chronic diseases: does type of disease play a part?", Journal of psgchosomatic research, Vol. 40, No. 5, pp. 521-534, 1996. DOI: https://doi.org/10.1016/0022-3999(95)00620-6 

  33. Y. Conwell, P. R. Duberstein, E. D. Caine, "Risk factors for suicide in later life", Biological psychiatry, Vol. 52, No. 3, pp. 193-204, 2002. DOI: https://doi.org/10.1016/S0006-3223(02)01347-1 

  34. H. O'Connell, A. V. Chin, C. Cunningham, B. A. Lawlor, "Recent developments: suicide in older people", Bmj, Vol. 329, No. 7471, pp. 895-899, 2004. DOI: https://doi.org/10.1136/bmj.329.7471.895 

  35. OECD Data on Suicide Rates. Available From: https://data.oecd.org/healthstat/suicide-rates.htm (accessed Jul. 20, 202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