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학계열 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ore Competency Assessment Tools for Engineering Student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4 no.4, 2021년, pp.3 - 20  

김윤영 (인하대학교 공학교육혁신연구정보센터) ,  윤지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육혁신처)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we have become more interested in 'competency' that means ability to do something around the world, the competency of the best performers has also been introduced in the university curriculum as a concept of core competency. Research continues on why this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needed comp...

주제어

참고문헌 (51)

  1. 강순희 외(2002). 노동시장 변화와 직무요건의 변화에 따른 핵심역량 변화 (RR2002-19-08). [KEDI] 연구보고서, 1-109. 

  2. 권순구(2020). 혁신교육과정기반 핵심역량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공과대학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6(2), 129-152. 

  3. 고진영.정기수(2017). 대학생 핵심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H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양교육연구, 11(2), 475-504. 

  4. 권재기.정미경(2014). 공과대학생의 핵심역량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교육방법연구, 26(4), 687-716. 

  5. 김가현 외(2020). 과학기술특성화대학 핵심역량 검사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공학교육연구, 23(5), 76-85. 

  6. 김동일 외(2009). 대학 교수가 바라본 고등교육에서의 대학생 핵심역량. 아시아교육연구 (Asian Journal of Education), 10(2), 195-214. 

  7. 김안나 외(2002). 생애능력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고등교육체제의 질관리 현황과 과제 (RR2002-19-04). [KEDI] 연구보고서, 1-226. 

  8. 김안나 외(2003). 국가수준의 생애능력 표준설정 및 학습체제 질 관리 방안 연구(II).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9. 김안나.이병식(2003). 대학생들의 핵심능력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환경 요인 분석. 한국교육, 30(1), 367-392. 

  10. 김진모(2001). 기업의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개발. 직업교육연구, 20(2), 109-128. 

  11. 대려민(2013).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핵심역량에 대한 비교연구.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12. 박민정(2008). 대학교육의 기능과 역할 변화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담론: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교육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6(4), 173-197. 

  13. 박보영(2008). 역량기반 치의학교육의 개념과 교육철학적 의미에 대한 고찰-ADEA 의 역량 규정을 중심으로. 직업능력개발연구, 11(1), 215-235. 

  14. 박영신 외(2017). 대학생 핵심역량 자가진단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방법연구, 29(4), 567-595. 

  15. 소경희(2006). 학교지식의 변화요구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설계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4(3), 39-59. 

  16. 소경희(2007).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5(3), 1-21. 

  17. 손민호(2006). 실천적 지식의 일상적 속성에 비추어 본 역량의 의미: 지식기반사회.사회기반지식. 교육과정연구, 23(4), 1-25. 

  18. 오헌석(2007). 역량중심 인적자원개발의 비판과 쟁점 분석. 경영교육연구, 47(1), 191-213. 

  19. 오헌석.배진현.윤정이(2010). 자동차 영업사원의 핵심역량에 관한 연구.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12, 41-68. 

  20. 유현숙 외(2002). 국가수준의 생애능력 표준설정 및 학습체제 질 관리 방안 연구(I)(RR2002-19). [KEDI] 연구보고서, 1-321. 

  21. 유현숙 외(2004). 국가수준의 생애능력 표준설정 및 학습체제 질 관리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2. 이병식.최정윤(2008). 다층모형을 활용한 대학생 핵심능력 개발의 영향요인 분석: 대학교육 과정과 대학 특성 변인의 영향. 한국교육, 35(2), 243-266. 

  23. 이애화.최명숙(2014). 국내 대학생 핵심역량과 그 진단도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교육공학연구, 30(4), 561-588. 

  24. 이자희(2012). IT 전문가들이 인식하는 IT 전공 대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에 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25. 이장익.김주후(2012).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학업성취도 관계성에 대한 분석연구. 직업교육연구, 31(2), 227-246. 

  26. 임동욱 외(2004). 국회 사무처의 의정지원을 위한 핵심역량의 중요도 분석. 한국 정책과학학회보. 한국정책과학학회, 8(1), 107-126. 

  27. 정성휘(2004). 비서의 핵심역량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비서.사무경영연구, 13(1), 23-43. 

  28. 최욱(2002). 기업교육 체계수립 개발 사례: DACUM 과 CBC의 비교. 교육공학연구, 18(2), 91-121. 

  29. 최정윤.이병식(2009). 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대한 영향 요인 탐색: 대학의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27(1), 199-222. 

  30. 홍순정.장은정.서윤경(2004). 원격교육 교수자의 역량모델 규명.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0(2), 81-122. 

  31. Boyatzis, R.(1982). The Competen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 Publishing. 

  32. DeSeCo.(2005).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Executive Summary. Retrieved from http://www.oecd.org/pisa/35070367.pdf 

  33. Dubois & David D.(1998). The competency casebook: twelve studies in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HRD Press. 

  34. Hamel, G., & Prahalad, C. K.(1990). The core competence of the corpor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66, 79-90. 

  35. Holmes, G., & Hooper, N.(2000). Core competence and education. Higher Education, 40(3), 247-258. 

  36. Kaslow, N. J. et al.(2007). Guiding principles and recommendations for the assessment of competence.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8(5), 441. 

  37. Koeppen, K. et al.(2008). Current issues in competence modeling and assessment. Zeitschrift fur Psychologie/Journal of Psychology, 216(2), 61-73. 

  38. Le Deist, F. D., & Winterton, J.(2005). What is competence?.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ternational, 8(1), 27-46. 

  39. Lichtenberg, J. W. et al.(2007). Challenges to the assessment of competence and competencie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8(5), 474. 

  40. McClelland, D. C.(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41. McLagan, P. A.(1989). Models for HRD practice. Training & development journal, 43(9), 49-60. 

  42.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Staff.(2002). Education at a glance: OECD indicators 2002. Paris: OECD. 

  43. Porter, M. E.(1980). Industry structure and competitive strategy: Keys to profitability. Financial analysts journal, 36(4), 30-41. 

  44. Rychen, D. S., & Salganik, L. H. (Eds.)(2003).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well-functioning society. Hogrefe Publishing. 

  45. Saunders, M., & Machell, J.(2000). Understanding emerging trends in higher education curricula and work connections. Higher Education Policy, 13(3), 287-302. 

  46. Shavelson, R. J.(2010). On the measurement of competency. Empirical research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2(1), 41-63. 

  47. Spencer, L., & Spencer, S.(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work. New York: John Wily and Sons. 

  48. Sumsion, J., & Goodfellow, J.(2004). Identifying generic skills through curriculum mapping: a critical evaluation. Higher Education Research & Development, 23(3), 329-346. 

  49. Washer, P.(2007). Revisiting key skills: A practical framework for higher education. Quality in Higher education, 13(1), 57-67. 

  50. White, R. W.(1959). Motivation reconsidered: the concept of competence. Psychological Review, 66(5), 297-333. 

  51. Whitston, K.(1998). Key skills and curriculum reform. Studies in higher Education, 23(3), 307-3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