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과 요구 분석 - 대전지역 공공도서관 이용자 및 비이용자를 중심으로 -
Citizens' Perception, Demands and Expectations of their Public Library Services in Daejeon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5 no.3, 2021년, pp.239 - 258  

정유경 (한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박성희 (한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권선영 (한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보일 (한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구정화 (한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시민들을 대상으로 대전 대표도서관과 공공도서관 시설 및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급변하는 사회 및 기술 환경의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대전지역 공공도서관 및 대표도서관의 중장기 발전계획을 세우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대전지역의 특성을 조사하고, 대전 시민들을 대상으로 도서관 인식 및 요구사항을 조사·분석하였다. 대전광역시의 권역별 인구비례 할당을 통한 오프라인 설문조사와 지역대표도서관의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1,383명의 응답을 수집하여 이를 통계 분석하였다. 대전지역 공공도서관에 대한 인식과 현단계 서비스 및 시설에 대한 만족 및 불만족 사항을 조사하고 이용행태를 분석하였고, 대표도서관인 한밭도서관의 서비스와 시설에 대한 평가와 개선 및 요구사항 또한 분석하였다. 기존 도서관에 대한 불만사항 또는 비이용 요인과 요구사항에 기반하여 향후 도서관의 발전 방향과 전략을 세우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개선 및 계획 방향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examined citizens' information needs, perception and expectations of their public library services in Daejeon. The study analyzed citizens' demands and satisfaction(or dissatisfaction) of library services and facilities to develop comprehensive library plans and detailed strategies to sati...

주제어

표/그림 (19)

참고문헌 (7)

  1. Koo, Joung Hwa & Cho, Yong Wan (2021). Trends in public library design and construction through reviewing the excellent cases of the awarded library buildings: Focusing on public libraries in North America.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5(1), 181-208. 

  2.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2021. 05. 20.) 출처: http://www.libsta.go.kr 

  3. 대전광역시 홈페이지 (2021. 05. 20.) 출처: http://www.daejeon.go.kr/index.do 

  4. 대전의 통계 (2021. 05. 20.) 출처: http://www.daejeon.go.kr/sta/index.do 

  5. Presidential Committee on Library & Information Policy of Korea (2019). The 3rd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d Plan 2019-2023. Sejong: Presidential Committee on Library & Information Policy of Korea. 

  6. Han, Hui-Jeong, Park, Tae-yeon, Suh, Jinwon, & Yang, Dongmin (2018). A study on establishment strategies toward the future librar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2(2), 73-102. 

  7.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2015). World Population Ageing 2015. United Nations, NY: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