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변 공원녹지의 마운딩 유형 및 규모산정 연구
A Study of Mounding Classification Analysis & Scale Calculation in Waterside Parks and Green Areas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0 no.4, 2017년, pp.77 - 87  

안병철 (원광대학교 산림.조경학과) ,  반권수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hysical form of planting foundation of the parks and green spaces in the waterside of Korea and classified them into groups showing common features. It was clssified into 7 kinds of parks and green spaces of 27 waterside parks in Korea including landscape, ecolog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한국조경학회에서 제시하고 있는 조경설계기준(2013)의 흙쌓기 기법 즉 마운딩 조성의 목적에 대한 개괄적 기준과 Choi & Lee(2014)의 정지설계의 기능적 목적과 미적 목적에 대한 내용을 제외하면, 수목생육의 생태적 안정성 이외에 수변 공원녹지의 기능에 따른 물리적 형태, 즉 녹지 경관적 측면에서의 식재기반의 다양성을 위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진행되어온 수변 식재기반의 수직적 구조의 생육안정을 전제로, 녹지의 기능적 측면에서 식재기반의 물리적 구조와 유형에 대해 분석하였다. 식재기반의 물리적 형태는 공원녹지 계획·설계시 대상지에 대한 정지설계의 결과로 표현될 수 있으며, 그 지역의 지형, 지질, 기후적 환경과 공원녹지의 목적 및 기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계획될 수 있다(Choi & Lee, 2014).
  • 연구에서는 수변 공원녹지의 경관생태형 마운딩에 대한 물리적 규모의 범위를 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의하는 녹지란 무엇인가?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의하는 녹지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따른 녹지로서, 도시지역에서 자연환경을 보전하거나 개선하고, 공해나 재해를 방지함으로써 도시경관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같은 법 제30조에 따른 도시․군 관리계획으로 결정된 것을 말한다. 또한 동 법률에서 정의하는 ‘공원녹지’라 함은 쾌적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고 시민의 휴식과 정서 함양에 이바지하는 도시공원, 녹지, 유원지, 공공공지(公共空地) 및 저수지와 나무, 잔디, 꽃, 지피식물 등의 식생이 자라는 공간 등을 의미한다(www.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의하는 공원녹지란 무엇인가?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의하는 녹지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에 따른 녹지로서, 도시지역에서 자연환경을 보전하거나 개선하고, 공해나 재해를 방지함으로써 도시경관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같은 법 제30조에 따른 도시․군 관리계획으로 결정된 것을 말한다. 또한 동 법률에서 정의하는 ‘공원녹지’라 함은 쾌적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고 시민의 휴식과 정서 함양에 이바지하는 도시공원, 녹지, 유원지, 공공공지(公共空地) 및 저수지와 나무, 잔디, 꽃, 지피식물 등의 식생이 자라는 공간 등을 의미한다(www.moleg.
공원녹지의 일반적 공간구성 중 식생을 위한 공간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공원녹지의 일반적 공간구성은 크게 식생을 위한 공간과 시설물 설치를 위한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식생을 위한 공간은 대부분 잔디를 비롯한 초본류와 관목, 교목의 목본류 식재로 구성되며, 식생에 관련되는 식재 기반의 수직적 구조는 수목 생육 안정을 위한 이․화학적 토양 특성의 지반구조와 생육의 안정을 전제로 한 녹지의 다양한 형태, 즉 기능적 측면에서의 물리적 구조로 구분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Ban SH and Oh CH. 2010. A Development of Landscape Ecological Model for Priority Setting Green Space on Riparian Zone.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2): 113-11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 Choi KS and Lee SS. 2014. Landscape Structural Design & Construction: Ilchokak. pp. 109-11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 Housing Research Institute. 2000. A Guideline for Planting Design and Construction in the Reclaimed Seaside Areas: Korea National Housing Corporation.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 Jo HK and Ahn TW. 2012. Landscape Preferences for Greenspace Structures. Journal of Forest Science. 28(1): 56-62. 

  5. Jun HS. 2011. The Analysis of Physical and Chemistry Properties on the Reclaimed Area for Replantation-A Case Study on the YOULCHON 1'st Industrial Complex.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4(6):87-9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6. Nam BH et al. 2008. Plant Distribution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opsoil on the Reclaimed Dredging A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3): 52-6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7. Son YH and Yoon MY. 2011. Types of Green Landscapes in a Suburban City Perceptions of Local Residen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5): 101-11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8.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16. Landscape architecture planting design: Munundang.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9.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14. Landscape Architecture Construction Standard Specification.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0.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13. Landscpae Architecture Design Criteria pp 83-88, 112-12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1. www.moleg.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