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교육 프로그램 학습성과 간접측정도구의 활용을 위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the Use of Program Outcome Indirect Measurement Tool in Korean Nursing Baccalaureate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8, 2021년, pp.608 - 618  

송미옥 (남부대학교 간호학과) ,  김희영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 학습성과 간접측정도구의 활용을 위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연구이다. 대상자는 국내 5개 간호학과의 재학생 396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9년 11월 22일부터 12월 10일까지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IBM Statistics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항분석,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항분석 결과 79개 문항이 모두 요인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탐색적 요인 분석결과 다른 요인과 함께 부하하는 5개의 문항이 삭제되었고 최종 요인부하량의 범위는 .37부터 .86이었으며, 12개 요인에 대한 총 분산은 71.71%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삭제된 문항은 없었으며, 최종 척도는 74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척도의 평균 점수는 3.78점, Cronbach' α는 .98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교육 프로그램 학습성과 간접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성이 검증되었으므로 간호대학생을 위해 보다 표준화된 측정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gram outcome indirect measurement tool developed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in Korean. 396 nursing students from 5 nursing colleg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2 to December 10, 2019. D...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교육 프로그램 학습성과 간접측정 도구의 활용을 위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http://www.kabone.or.kr/kabon02/index.php 

  2. 김복남, 김순옥,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발 사례: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간호행정학회지, 제20권, 제2호, pp.154-166, 2014. 

  3. 이영미, 윤태영, 김석용, 노혜린, 박소연, 박지영, 박창신, 정은경, 채수진, 의학교육 평가인증에서 성과측정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2018. 

  4. 이주희, 이태화, 이현경, 김상희, 배주연, 한지희, 이경은, "학습성과기반 단계적 통합간호실습교육 매트릭스 개발,"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1권, 제4호, pp.528-539, 2014. 

  5. 남성미, "Course Embedded Assessment 기반 간호교육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체계 개발,"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3권, 제2호, pp.135-145, 2017. 

  6. 송주은, 박지원, 서은지, 유문숙, "간호과정 적용능력 평가를 위한 간호교육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발,"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40권, 제3호, pp.100-116, 2015. 

  7. 장금성, 김복남, 정석희, 김윤민, 김정숙, "간호학 학사학위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발 사례: 간호리더십 능력 향상을 중심으로," 간호행정학회지, 제22권, 제5호, pp.540-552, 2016. 

  8. 이향련, 오가실, 안양희, 이숙자, 김인자, "간호교육 성과 측정 도구의 탐색," 동서간호학연구지, 제16권, 제1호, pp.53-60, 2010. 

  9. 김현경, "간호학 프로그램 학습성과 간접측정 도구개발,"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1권, 제2호, pp.215-226, 2015. 

  10. 박수진, 권창미, 이은영,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를 측정하기 위한 학습성과 평가도구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8권, 제23호, pp.387-410, 2018. 

  11. 김지미, 홍성경, "간호대학생의 간호리더십 측정을 위한 학습성과 평가도구 개발," 한국간호연구학회지, 제3권, 제4호, pp.11-21, 2019. 

  12. 김해진, 천의영, 김은경, "기본간호학실습에서 학습성과 평가도구의 적용 사례: 의사소통능력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지, 제21권, 제4호, pp.173-180, 2020. 

  13. 임경춘, "간호학생의 학습성과 달성과 연계된 시뮬레이션 실습 설계와 운영,"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1권, 제3호, pp.393-405, 2015. 

  14. 양희모, 황선영, "학습성과 기반 성인간호 임상실습 운영을 위한 임상시나리오 및 루브릭 개발," 한국성인간호학회지, 제26권, 제6호, pp.653-667, 2014. 

  15. 황윤영, 김성희, 주민선, "졸업성과 달성을 위한 교과목 학습성과 개발: Hauenstein의 교육목표분류체계적용,"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1권, 제2호, pp.155-167, 2015. 

  16. S. F. Beasley, S. Farmer, N. Ard, and K. Nunn-Ellison. "Systematic Plan of Evaluation Part I: Assessment of End-of-Program Student Learning Outcomes." Teaching and Learning in Nursing, Vol.13, No.1, pp.3-8, 2018. 

  17. A. B. Costello and J. W. Osborne, "Best Practice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ur Recommendations for Getting the Most From Your Analysis,"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and Evaluation, Vol.10, No.7, pp.1-9, 2005. 

  18. D. L. Jackson, "Revisiting Sample Size and Number of Parameter Estimates: Some Support for the N:q Hypothe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10, No.1, pp.128-141, 2003. 

  19. D. F. Polit and C. T. Beck, Nursing Research: Generating and assessing evidence for nursing practice. 9th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2. 

  20. 배병렬,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청람, 2014. 

  21. 엄명용, 조성우, 사회복지실천과 척도개발, 학지사, 2005. 

  22. B. Williams, A. Onsman, and T. Brow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five-step guide for novices," Journal of Emergency Primary Health Care, Vol.8, No.3, pp.1-13, 2010. 

  23. L. R. Fabrigar, D. T. Wegener, R. C. MacCallum, and E. J. Strahan, "Evaluating the use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psychological research," Psychological Methods. Vol.4, No.3, pp.272-299, 1999. 

  24. 배수현, 박정숙,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학습성과 성취도와 중요도 인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2호, pp.203-214, 2013. 

  25. 범경철, "간호사의 법적 책임에 관한 연구," 의료법학, 제15권, 제2호, pp.285-316,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