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치매지식, 연령주의, 휴머니즘이 치매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Dementia Knowledge, Ageism and Humanism on Attitude toward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8, 2021년, pp.629 - 639  

염은이 (청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치매지식, 연령주의, 휴머니즘이 치매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자료수집은 서울, 충청남도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226명을 대상으로, 2020년 9월 7일부터 12월 15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로 시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치매지식은 연령주의와 음의 상관관계, 연령주의는 치매노인에 대한 태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치매지식, 휴머니즘은 치매노인에 대한 태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대상자의 연령주의, 휴머니즘, 치매교육을 받은 경험, 치매노인 동거경험, 치매노인 자원봉사 경험이 치매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간호대학생의 치매노인에 대한 태도에 대해 약 26.5%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연령주의, 휴머니즘, 치매교육 및 치매노인 봉사 프로그램이 바람직한 치매노인에 대한 태도 형성을 위해 고려해야 할 주요한 요인임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effects of dementia knowledge, ageism and humanism on attitude toward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nursing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226 nursing student in S city and C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7 to December 12, 2020 through self reported structured que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치매지식, 연령주의, 휴머니즘, 치매노인에 대한 태도의 정도와 치매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바람직한 치매노인에 대한 태도를 촉진할 수 있는 중재방안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치매지식, 연령주의, 휴머니즘과 이들 변수가 치매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연령 주의, 휴머니즘, 치매 교육경험, 치매노인 동거경험, 치매노인 자원봉사 경험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치매지식, 연령주의, 휴머니즘이 치매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치매지식, 연령주의, 휴머니즘, 치매노인에 대한 태도의 수준과 이들 변수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치매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치매지식, 연령주의, 휴머니즘, 치매노인에 대한 태도 수준을 파악하고, 이들 변수가 치매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치매노인에 대한 긍정적 태도 함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보건복지부, 대한민국 치매현황 2019, 중앙치매센터, 2020. 

  2. 보건복지부, 제3차 치매관리 종합계획(2016-2020), 2016. 

  3. https://www.nid.or.kr/info/diction_list3.aspx?gubun0305, 

  4. 서은경, 김혜령, "치매노인을 돌보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경험," 노인간호학회지, 제21권, 제2호, pp.99-111, 2019. 

  5. 공은숙, 최미숙, "간호대학생의 치매노인 환자 간호체험 연구," 한국 노년학연구, 제23권, pp.9-36, 2014. 

  6. 공은숙, "시설치매노인의 문제행동에 대한 간호대학생 임상실습경험의 현상학적 연구," 지역사회연구, 제24권, 제3호, pp.99-118, 2016. 

  7. 하은호,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주관적 태도: Q방법론적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31권, 제1호, pp.107-118, 2020. 

  8. 고일선, 한은경, 김두리, "치매지원센터 간호사의 치매지식, 태도, 간호부담감 간의 상관관계,"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8권, 제9호, pp.67-75, 2017. 

  9. 이윤숙, 김화순, "요양병원 간호사의 치매에 대한 태도, 공감, 행동심리증상 부담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간호학회지, 제22권, 제3호, pp.205-215, 2020. 

  10. 강다해솜, "요양병원 간호사의 치매태도, 치매행동심리증상 부담감, 간호전문직관이 치매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제6권, 제4호, pp.301-309, 2020. 

  11. 김두리, 이서영, 이송희, 이예주, 이영재, 이원경, 이유정, "간호대학생의 치매노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치매지식 및 태도와 연령주의 중심으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10권, 제7호, pp.373-381, 2019. 

  12. 하은호, "간호대학생의 치매 교육요구도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9권, 제3호, pp.353-363, 2018. 

  13. 권말숙, 이정화, "간호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서비스 요구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권, 제9호, pp.177-185, 2017. 

  14. 제남주, 박미라, 양현주, 김수연, "치매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노인부양의식, 인지-정서적 공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20권, 제4호, pp.100-111, 2019. 

  15. 박수진, 박경숙, 김영지, "노인간호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치매정책 인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6권, 제7호, pp.4467-4477, 2015. 

  16. E. Palmore, Ageism: Negative and Positive,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99. 

  17. 오혜인, 주경희, 김주현, "노인의료전문가 집단의 연령주의 및 연렵통합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61호, pp.59-91, 2018. 

  18. 김주현, 오혜인, 주경희, "노인차별 경험과 자기연령주의(self-ageism)," 한국노년학, 제40권, 제4호, pp.659-689, 2020. 

  19. 정순둘, 정주희, 김미리, "연령주의와 연령통합이 세대갈등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제68권, 제4호, pp.5-24, 2016. 

  20. 이지은, 장윤정, "치매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연령군별 비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1호, pp.233-260, 2016. 

  21. M. S. Fagermoen, Humanism in nursing theory: A focus on caring. Nursing theories: Conceptual and philosophical foundations,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06. 

  22. 문숙자, 안숙희, "간호실무 영역 개념으로서 도덕적 용기에 대한 설명모델," 한국의료윤리학회지, 제22권, 제4호, pp.341~358, 2019. 

  23. 노명숙, "휴머니즘과 노인돌봄복지," 한국생활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119-125, 2015. 

  24. 왕석순, "휴머니즘과 노인돌봄복지에 대한 토론의 글," 한국생활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126-129, 2015. 

  25. 윤미진,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와 노인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7권, 제11호, pp.419-426, 2019. 

  26. F. Faul, E. Erdfelder, A. G. Lang, and A. Buchner,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39, No.2, pp.175-191, 2007. 

  27. 서울특별시 광역 치매관리센터, 치매시설종사자의 치매 관련지식 및 태도에 대한 연구: 치매전문교육생을 중심으로, 2010. 

  28. 김주현, "연령주의(Ageism) 척도의 개발 및 타당성 연구," 한국인구학, 제35권, 제1호, pp.53-75, 2012. 

  29. A. Nilsson, "Humanism and Normativism facet scales and short scales," Lund Psychological Reports, Vol.15, No.1, pp.1-16, 2015. 

  30. M. L. O'Connor, S. H. McFadden,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Validation of the Dementia Attitudes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Vol.2010, pp.1-10, 2010. 

  31. 최정용, 정현, 박재영, 김태희, 이동영, 유승호, 김신겸, 윤종철, 주진형, 김정란, 이석범, 이정재, 곽경필, 김봉조, 문석오, 배재남, 박준혁, 김기웅, 한지원, "지역사회 치매 조호자들의 치매에 대한 태도의 연관 인자 연구," 노인정신의학, 제19권, 제1호, pp.24-31, 2015. 

  32. 이기선, 이정화, "노인관련 경험이 대학생의 노인이미지와 노인차별주의에 미치는 영향: 노인의 성-연령 집단별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40권, 제6호, pp.1267-1286, 2020. 

  33. 장현숙,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노인차별의식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34. P. Uhlenberg, "Introduction: why study age integration?," The Gerontologist, Vol.40, No.3, pp.261-308, 2000. 

  35. U. Makris, R. Higashi, G. Marks, L. Fraenkel, M. Sale, M. Gill, and M. Reid, "Ageism, negative attitudes, and competing comorbidities-why older adults may not seek care for restricting back pain: a qualitative study," BMC Geriatrics, Vol.15, No.39, pp.1-9. 2015. 

  36. F. Augustin, and B. Freshman, "The effects of service-learning on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Gerontology & Geriatrics Education, Vol.37, No.2, pp.123-144, 2016. 

  37. J. Neils-Strunjas, K. J. Crandall, J. Shackelford, K. Dispennette, L. R. Stevens, and A. Glascock, "Students report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following an interprofessional service-learning course," Gerontology & Geriatrics Education, Vol.41, No.2, pp.175-185, 2020. 

  38. 양정남, 최은정, 김화선, "대학생의 노인접촉경험과 노화지식이 공감능력을 매개변수로 노인차별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8권, 제1호, pp.59-71, 2020. 

  39. K. B. Heijkenskjold, M. Ekstedt, and L. Lindwall, "The patient's dignity from the nurse's perspective," Nursing Ethics, Vol.17, No.3, pp.313-324, 2010. 

  40. S. Kleiman, "Discourse on humanism in nursing," International Journal for Human Caring, Vol.9, No.1, pp.9-15,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