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치매 교육요구도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Educational Needs for Dementia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3, 2018년, pp.353 - 363  

하은호 (중원대학교 의교보건대학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간호대학생들의 치매 교육과 전문적인 접근은 졸업 후 치매전문간호인력으로 성장하기 위한 동력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들의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 교육요구도 정도를 조사하고 치매 교육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9~11월까지로 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일 개 지역에 위치한 3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213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등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교육요구도는 각각 $12.33{\pm}4.54$, $35.53{\pm}8.92$, $116.46{\pm}32.06$ 등 이었으며, 치매에 대한 태도와 교육요구도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79, p=<.01).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교육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태도(${\beta}=0.73$, p<.001)와 학년(${\beta}=0.19$, p=.001)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다양한 치매교육프로그램 개발은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초석이 될 수 있다. 간호대학생들의 치매에 대한 태도와 학년을 고려한 노인간호학 교육과정 개발 또한 치매에 대한 지식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level of knowledge, attitude, and educational needs toward dementia, as well as to understand factors influencing educational needs for dementia among nursing students. A total of 213 nursing students at three universities in C province were invited to thi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교육요구도 정도를 조사하고 치매 교육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태도를 강화할 수 있는 노인간호학 교육과정의 개선전략이 요구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교육요구도 등을 조사하고 간호대학생의 치매교육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 개 지역 간호대학생들의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 교육요구도 정도를 조사하고 치매 교육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노인간호학 교육과정을 재조명하고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상의 논의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 교육요구도 정도를 알아보고 교육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특히 연령과 학년에 따른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 교육요구도 간 모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므로 이를 고려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학년과 태도는 교육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임을 감한할 때 학년 맞춤형 치매 교육과정 프로그램과 태도강화 프로그램을 함께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한다.
  • 반면 학부과정에서부터 간호대학생의 교육적 요구도와 교육적 현실을 반영한 치매교육프로그램 적용은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5,18]. 이에 본 연구는 간호의 미래를 짊어질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 치매 교육요구도 정도를 알아보고 치매 교육요구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학생-중심 치매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으로 치매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긍정적 태도를 함양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대학생에게 치매에 대한 체계화된 조기교육을 실시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학부과정에서의 미비한 치매 교육은 치매에 대한 지식결핍과 부정적인 태도를 야기할 수 있으며[6,9], 잘못된 지식은 치매노인과의 대화 자체를 시간낭비로 생각하게 만들어 치매관련 임상실습에 바람직하지 못한 태도를 초래할 수 있다[17]. 그러나 체계화된 치매 교육은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풍부한 지식과 긍정적 태도를 촉진시켜 치매노인요양보호시설 실습기간 치매 간호의 질과 대상자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3,7,18], 치매에 대한 인식 제고 및 간호의 정체성을 확장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6]. 그러므로 간호사 대상 치매 최신지견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도 중요하지만 졸업 전 학부과정에서부터 간호대학생들이 치매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긍정적 태도를 함양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의 편성, 자원봉사활동 독려,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6,9,17,18] 등의 체계화된 조기교육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 학부과정에서의 미비한 치매 교육은 어떠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가? 학부과정에서의 미비한 치매 교육은 치매에 대한 지식결핍과 부정적인 태도를 야기할 수 있으며[6,9], 잘못된 지식은 치매노인과의 대화 자체를 시간낭비로 생각하게 만들어 치매관련 임상실습에 바람직하지 못한 태도를 초래할 수 있다[17]. 그러나 체계화된 치매 교육은 간호대학생의 치매에 대한 풍부한 지식과 긍정적 태도를 촉진시켜 치매노인요양보호시설 실습기간 치매 간호의 질과 대상자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3,7,18], 치매에 대한 인식 제고 및 간호의 정체성을 확장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6].
치매란 무엇인가? 치매는 기억력 및 실행 기능 감소를 동반한 인지기능의 점진적인 퇴화를 특징으로 하는 포괄적인 용어로[7-9], 치료가 어렵고 특수한 기술과 올바른 지식, 긍정적 태도를 겸비한 전문간호인력과 치매 환자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인간-중심 돌봄(Person-centered care, PCC)이 요구된다[1,10-14]. 그러나 치매 간호인력의 주축인 간호사들의 치매에 대한 관심, 이해 및 지식 정도는 부족한 실정이며[15], 치매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일수록 간호에 대한 부담감은 증가하는데[16], 미래 치매간호 인력인 졸업 전 간호대학생들의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 함양은 학부과정동안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L. Alushi, J. A. Hammond, J. H. Wood, "Evaluation of dementia education programs for pre-registration healthcare students-A review of the literature", Nurse Education Today, vol. 35, no. 9, pp. 992-998, 2015. DOI: https://doi.org/10.1016/j.nedt.2015.04.006 

  2. R. McCaffrey, R. M. Tappen, D. M. Lichtstein, M. Friedland,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 community-based Alzheimer's disease diagnosis and treatment", Journal of Interprofessional Care, vol. 27, no. 6, pp. 534-536, 2013. DOI: https://doi.org/10.3109/13561820.2013.817384 

  3. E. S. Tullo, T. J. Young, "Medical students'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dementia: An international investigation",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vol. 6, no. 1, pp. 165-171, 2014. DOI: https://doi.org/10.1017/S1041610213001737 

  4.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Korean Dementia Observatory 2016 [Internet]. Seoul: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cited 2017 October 1], Available from: https://www.nid.or.kr/info/dataroom_view.aspx?bid160 (assessed Nov., 9, 2017). 

  5. E. H. Ha, J. Y. Cho, "Analysis of knowledge about, attitude toward, and educational needs for dementia in certified caregiver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1, no. 1, pp. 108-118, 2015.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1.108 

  6. O. H. Ahn, S. J. Chang, "Effects of dementia care voluntary program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17, no. 3, pp. 184-195, 2015. DOI: https://doi.org/10.17079/jkgn.2015.17.3.184 

  7. A. F. Jacinto, V. A. Citero, J. L Neto. Lima, PJFV. Boas, APD. Valle, AGR. Leite,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dementia among final-year medical students in Brazil", Revista da Associacao Medica Brasileira, vol. 63, no. 4, pp. 366-370, 2017. DOI: https://doi.org/10.1590/1806-9282.63.04.366 

  8. M. Jackson, F. Pelone, S. Reeves, A. M. Hassenkamp, C, Emery, K, Titmarsh, et al.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 the care of people diagnosed with dementia and their carers: a systematic review", BMJ Open, vol. 6, no. 8, pp. 1-10, 2016. DOI: https://doi.org/10.1136/bmjopen-2015-010948 

  9. A. Scerri, C. Scerri, "Nursing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dementia - A questionnaire survey", Nurse education Today, vol. 33, no. 9, pp. 962-968, 2013. DOI: https://doi.org/10.1016/j.nedt.2012.11.001 

  10. P. Clissett, D. Porock, R. H. Harwood, J. R. Gladman, "The challenges of achieving person-centred care in acute hospitals: a qualitative study of people with dementia and their famili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 50, no. 11, pp. 1495-1503, 2013. DOI: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3.03.001 

  11. J. H. Han, Y. H. Yom, "Social network analysis on mapping the knowledge structure of dementia research",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19, no. 2, pp. 69-80, 2017. DOI: https://doi.org/10.17079/jkgn.2017.19.2.69 

  12. A. Innes, F. Kelly, C. Scerri, S. Abela, "Living with dementia in hospital wards: a comparative study of staff perceptions of practice and observed patient exper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Older People Nursing, vol. 11, no. 2, pp. 94-106, 2016. DOI: https://doi.org/10.1111/opn.12102 

  13. M. Kimzey, B. Mastel-Smith, D. Alfred, "The impact of educational experiences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Alzheimer's disease: A mixed method study", Nurse Education Today, vol. 46, pp. 57-63, 2016. DOI: https://doi.org/10.1016/j.nedt.2016.08.031 

  14. C. A. Surr, S. J. Smith, J. Crossland, J. Robins, "Impact of a person-centred dementia care training programme on hospital staff attitudes, role efficacy and perceptions of caring for people with dementia: A repeated measures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 53, pp. 144-151, 2016. DOI: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5.09.009 

  15. Y. Kang, W. Moyle, M. Cooke, S. T. O'Dwyer, "An educational programme to improve acute care nurses' knowledge, attitudes and family caregiver involvement in care of people with cognitive impairment",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s, vol. 31, no. 3, pp. 631-640, 2017. DOI: https://doi.org/10.1111/scs.12377 

  16. H. Y. Kang, M. J. Chae, H. S. Seo, K. M. Yang, " The effect of dementia education program o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9, no. 1, pp. 69-77, 2013.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1.69 

  17. D. R. George, H. L. Stuckey, M. M. Whitehead, " An arts-based intervention at a nursing home to improve medical students'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dementia", Academic Medicine, vol. 88, no. 6, pp. 837-842, 2013. DOI: https://doi.org/10.1097/ACM.0b013e31828fa773 

  18. S. J. Park, K. S. Park, Y. J. Kim, "The effects of geriatric nursing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attitude, perception toward dementia and dementia polic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7, pp. 4467-4477, 2015. DOI: https://doi.org/10.5762/KAIS.2015.16.7.4467 

  19. M. Algoso, K. Peters, L. Ramjan, L. East, "Explori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working in aged care settings: A review of the literature", Nurse Education Today, vol. 36, pp. 275-280, 2016. DOI: https://doi.org/10.1016/j.nedt.2015.08.001 

  20. C. G. Kim, E. H. Kong, S. S. Kim, S. J. Kim, Y. H. Park, M. S. Song, et al. "Gerontological nursing education in BSN programs in South Korea: Present status and direction for improvement in the futur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 15, no. 3, pp. 185-191, 2013. 

  21. Korean Nurses Association. Educational institution situation [Internet].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cited 2017 Jun 6], Available from: http://www.koreanurse.or.kr/resources/nurse_edu.php?local충북 (assessed Oct., 1, 2017). 

  22. Seoul Metropolitan Center for Dementia. 2010 Seoul dementia management project guidelines, Korea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0. 

  23. H. O. Cho, "A study on public's knowledge of and attitude towards dement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999. 

  24. S. H. Kim, O. H. Ahn, D. H. Park, "Nursing students and social welfare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dementi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3, pp. 111-117, 2015. DOI: https://doi.org/10.15207/JKCS.2015.6.3.111 

  25. B. E. Karlin, D. Young, K. Dash, "Empowering the dementia care workforce to manage behavioral symptoms of dementia: Development and training outcomes from the VOICE dementia care program", Gerontology & Geriatrics Education, vol. 38, no. 4, pp. 375-391, 2017. DOI: https://doi.org/10.1080/02701960.2016.1209419 

  26. A. Robinson, K. Cubit, "Caring for older people with dementia in residential care: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59, no. 3, pp. 255-263, 2007. DOI: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4304.x 

  27. J. Cohen-Mansfield, B. Jensen, B. Resnick, M. Norris,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treatment of behavior symptoms associated with dementia: a comparison of physicians, psychologists, and nurse practitioners", The Gerontologist, vol. 52, no. 1, pp. 34-45, 2012. DOI: https://doi.org/10.1093/geront/gnr08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