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남해 연안에 출현하는 달고기(Zeus faber)의 위내용물 조성
Diet Composition of John Dory Zeus faber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South Sea,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4 no.4, 2021년, pp.526 - 531  

최유정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  김영혜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  이정훈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iet composition of john dory Zeus faber, was investigated using 266 specimens collected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South Sea, Korea. The specimens ranged in total length (TL) from 12.5 to 43.2 cm. The Z. faber fed mainly on Pisces and less often on Macrura. We further analyzed the data by div...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성능/효과

  • 1), 가장 작은 크기군인 <15.0 cm 크기군에서는 98.9%의 상 대중요도지수비를 나타낸 새우류가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이었다
  • 1% 이하로 그 양은 많지 않았다. 15.0-20.0 cm 크기군에서는 새우류가 88.8%의 상대중요도지수비를 보여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어류가 7.9%의 상대중요도지수비를 나타내 증가하였다. 그 외 두족류와 난바다곤쟁이류도 섭식하였으나 상대중요도지수비 2.
  • 2), 평균 먹이생물 개체수(mN/ST)는 20.0-25.0 cm 크기군을 제외하고 성장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모든 크기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oneway ANOVA, F=0.810, P>0.05)
  • 0% 이하로 그 양은 많지 않았다. 20.0-25.0 cm 크기군에서는 어류가 59.8%의 상대중요도지수 비로 증가하여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로 나타난 반면, 새우류는 47.3%의 상대중요도지수비를 보여 감소하였다. 그 외에 난바 다곤쟁이류와 두족류를 섭식하였지만 상대중요도지수비 2.
  • 0% 이하로 나타났다. 25.0-30.0 cm 크기군에서도 어류가 72.4%의 상대중요도지수비로 증가하여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새우류가 25.
  • 먹이를 섭식한 달고기 182개체의 위내용물을 분석한 결과이다(Table 1). 달고기의 주먹이 생물은 52.2%의 출현빈도, 19.0%의 개체수비, 70.2%의습중량비를 보였고 51.0%의 상대중요도지수비를 차지한 어류 (Pisces)로 나타났다. 어류 중에서는 샛돔(Psenopsis anomala) 이 9.
  • 달고기의 크기군별 먹이생물 중복도는 비슷한 크기군 사이에서 0.60 이상으로 유의하게 중복된 반면, 그 외 나머지 크기군 사이에서는 유의하게 중복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달고기가 성장함에 따라 먹이전환이 이루어졌기 때문인것으로 판단된다.
  • 달고기의 크기군별 먹이생물 중복도를 알아본 결과(Table 2), 15.0-20.0 cm 크기군과 20.0-25.0 cm 크기군은 0.69, 20.0-25.0 cm 크기군과 25.0-30.0 cm 크기군은 0.80, ≥30.0 cm 크기 군과 20.0-25.0 cm 크기군은 0.65, ≥30.0 cm 크기군과 25.0-30.0 cm 크기군은 0.78의 중복도를 보여 유의하게 중복되었다
  • 1% 이하로 그 양은 많지 않았다. 따라서 큰 크기군으로 갈수록 새우류의 상대중요도지수비는 감소한 반면, 어류의 상대 중요도 지수 비는 20.0-25.0 cm 크기군에서부터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 6%의 공복율을 나타내었다. 먹이를 섭식한 달고기 182개체의 위내용물을 분석한 결과이다(Table 1). 달고기의 주먹이 생물은 52.
  • 6%의 상대 중요도 지수 비를 나타낸 새우류(Macrura)였다. 새우류 중에서는 점박이꼬마도화새우(Plesionika izumiae)가 출현빈도 23.6%, 개체수비 21.2%, 습중량비 6.5%를 보여 가장 우점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출현빈도 14.3%, 개체수비 28.3%, 습중량비 10.5%를 나타낸 긴줄꼬마도화새우(Plesionika ortmanni)가 우점하였다. 그 외 두족류(Cephalopoda), 난바다곤쟁이류(Euphausiacea), 게류(Brachyura)를 섭식하였지만 1.
  • 0%의 상대중요도지수비를 차지한 어류 (Pisces)로 나타났다. 어류 중에서는 샛돔(Psenopsis anomala) 이 9.9%의 출현빈도, 4.2%의 개체수비, 24.5%의 습중량비를보여 가장 우점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출현빈도 4.9%, 개체수비 2.0%, 습중량비 10.5%를 나타낸 멸치가 우점하였다. 어류 다음으로 중요한 먹이생물은 49.
  • 이번 연구에 사용된 달고기는 총 266개체로 전장(total length, TL)은 12.5-43.2 cm의 범위를 보였는데, 15.0-20.0 cm의 전 장군이 전체 개체수의 33.1%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 이번 연구에서 채집된 달고기 266개체 중 공복인 개체는 84 개체로 31.6%의 공복율을 나타내었다. 먹이를 섭식한 달고기 182개체의 위내용물을 분석한 결과이다(Table 1).
  • 05). 평균먹이생물 습중량(mW/ST)은 가장 작은 크기군인 15 cm 이하의 크기군에서 가장 큰 크기군인 30 cm 이상의 크기군으로 갈수록 증가하여 성장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평균먹이생물 습중량은 모든 전 장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oneway ANOVA, F=1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n YS, Park JM, Ye SJ, Jeong JM and Baeck GW. 2012. Feeding habits of john dory, Zeus faber in the coastal waters of Geomun-do, Korea. Korean J Ichthyol 24, 20-26. 

  2. Cha BY, Hong BQ, Jo HS, Sohn HS, Park YC, Yang WS and Choi OI. 1997. Food habits of the yellow goosefish, Lophius litulon. J Korean Fsih Soc 30, 95-104. 

  3. Choo HS and Kim DS. 1998. The effect of variations in the Tsushima warm currents on the egg and larval transport of anchovy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31, 226-244. 

  4. Cha HK, Lee JU, Park CS, Bai CI, Hong SY, Park JH, Lee DW, Choi YM, Hwang KS, Kim ZG, Choi KH, Sohn HS, Sohn MH, Kim DH and Choi JH. 2001. Shrimps of the Korean waters. Hanguel Graphics Press, Busan, Korea, 188. 

  5. Choi JH, Sung BJ, Lee DW, Kim JB, Oh TY and Kim JN. 2011. Feeding habits of yellow goose fish Lophius litulon and john dory Zeus faber in the South Sea of Korea. Fish Aquat Sci 14, 435-441. https://doi.org/10.5657/FAS.2011.0435. 

  6. Gerking SD. 1994. Feeding ecology of fish. Academic Press, Sandiego, CA, U.S.A., 416. 

  7. Hong SY, Park KY, Park CW, Han CH, Suh HL, Yun SG, Song CB, Jo SG, Lim HS, Kan YS, Kim KJ, Ma CW, Son MG, Cha HK, Kim KB, Choi SD, Park KY, Oh CW, Kim KN, Shon HS, Kim JN, Choi JH, Kim MH and Choi IY. 2006. Marine invertebrates in Korean coasts. Academybook, Seoul, Korea, 479. 

  8. Huh SH. 1986.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in abundance of fishes in eelgrass meadow. Korean J fish Aquat Sci 19, 509-517. 

  9. Huh SH. 1999. Feeding habits of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Korean J Ichthyol 11, 191-197. 

  10. Huh SH, Park JM and Baeck GW. 2006a. Feeding habits of john dory Zeus faber in the coastal waters off Gori,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39, 357-362. https://doi.org/10.5657/kfas.2006.39.4.357. 

  11. Huh SH, Park JM and Baeck GW. 2006b. Feeding habits of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39, 35-41. https://doi.org/10.5657/kfas.2006.39.1.035. 

  12. Huh SH, Nam KM, Choo HG and Baeck GW. 2008. Feeding habits of Sebastes thompsoni in the coastal waters off Busan,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1, 32-38. https://doi.org/10.5657/kfas.2008.41.1.032. 

  13. Huh SH, Park JM, Park SC, Jeong DS, Park CI and Baeck GW. 2009. Feeding habits of Lateolabrax japonicus in the Coastal Waters off Dolsan-do, Yeosu. Korean J Ichthyol 21, 23-27. 

  14. Huh SH, Park JM, Park SC, Kim JH and Baeck GW. 2010. Feeding habits of 6 shark specie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3, 254-261. https://doi.org/10.5657/kfas.2010.43.3.254. 

  15. Huh SH, Baeck GW, Choo HG and Park JM. 2013. Feeding habits of spearnose grenadier, Coelorinchus multispinulosus in the Coastal Waters off Gori, Korea. Korean J Ichthyol 25, 157-162. 

  16. Ismen A, Arslan M, Yigin CC and Bozbay N. 2013. Age, growth, reproduction and feeding of John Dory, Zeus faber (Pisces: Zeidae), in the Saros Bay (North Aegean Sea). J Appl Ichthyol 29, 125-231. https://doi.org/10.1111/jai.12005. 

  17. Jeong JM, Kim HJ, Baeck GW, Ye SJ and Huh SH. 2015. Feeding habits of ocellate spot skate, Okamejei kenojei in the coastal waters of Gadoek-do, Korea. J Kor Soc Fish Technol 51, 265-271. https://doi.org/10.3796/KSFT.2015.51.2.265. 

  18. Jeong JM, Choi JH, Im YJ and Kim JN. 2017. Feeding habits of dolphinfish Coryphaena hippurus in the South Sea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50, 541-546. https://doi.org/10.5657/KFAS.2017.0541. 

  19. Kim CK and Kang YJ. 1999. Feeding ecology of black rockfish Sebastes inermis. J Korean Fish Soc 32, 637-641. 

  20. Kim HJ, Kim HG and Oh CW. 2020. Diet composition and feeding strategy of john dory Zeus faber,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 J Ecol Environ 44, 8. https://doi.org/10.1186/s41610-020-00153-y. 

  21. Kim IS, Choi Y, Lee CL, Kim BJ and Kim JH.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ublication, Seoul, Korea, 615. 

  22. Kim JN. 2012. Invertebrates fauna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173. 

  23. Kim MJ, Youn SH, Kim JY and Oh CW. 2013. Feeding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a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n the coastal waters of Southern Korea. Korean J Environ Biol 31, 275-287. https://doi.org/10.11626/KJEB.2013.31.4.275. 

  24. Kim YS, Han KH, Kang CB and Kim JB. 2004. Commercial fishes of the coastal and offshore waters in Korea. Natinoal Fisheries Research Devlopment Institute, Busan, Korea, 333. 

  25. Langton RW. 1982. Diet overlap between atlantic cod, Gadus morhua, silver hake Merluccius bilinearis and fifteen other northwest Atlantic finfish. Fish Bull 80, 745-759. 

  26. Moon DY, Jeong HG, Myoung JG, Choi JH, Kwun HJ, Back JW, Hong SY and Kim SY. 2015. Fish species collected by the fish collection project from the Southern Sea of Korea during 2010-2012. Korean J Fish Aquat Sci 48, 507-528. https://doi.org/10.5657/KFAS.2015.0507. 

  27.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2001. Shrimps of Korean waters. Hangul Graphics Co., Busan, Korea, 188. 

  28. Pinkas L, Oliphant MS and Iverson ILK. 1971. Food habits of albacore, bluefin tuna and bonito in California waters. Fish Bull 152, 1-105. 

  29. Schoener TW. 1970. Non-synchronous spatial overlap of lizards in patchy habitats. Ecology 51, 408-418. https://doi.org/10.2307/1935376. 

  30. Seong GC, Kim DG, Jin SY, Soh HY and Baeck GW. 2021. Diet composition of the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as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South Sea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54, 73-79. https://doi.org/10.5657/KFAS.2021.0073. 

  31. Silva A. 1999. Feeding habits of john dory Zeus faber, off the portuguese continental coast. J Mar Biol Assoc UK 79, 333-340. https://doi.org/10.1017/S002531549800037X. 

  32. Stergiou KI and Fourtouni H. 1991. Food habits, ontogenetic diet shift and selectivity in Zeus faber Linnaeus, 1785. J Fish Biol 39, 589-603. https://doi.org/10.1111/j.1095-8649.1991.tb04389.x. 

  33. Wainwright PC and Richard BA. 1995. Scaling the feeding mechanism of the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Motor pattern. J Exp Biol 198, 1161-1171. https://doi.org/10.1242/jeb.198.5.1161. 

  34. Wallace RK. 1981. An assesment of diet-overlap indexes. Trans Am Fish Soc 110, 72-76. https://doi.org/10.1577/1548-8659(1981)110 2.0.CO;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