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한 산림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 분석
An Analysis of Social Perception on Forest Using News Big Data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10 no.3, 2021년, pp.462 - 477  

장윤선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휴먼서비스연구과) ,  이주은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휴먼서비스연구과) ,  나소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휴먼서비스연구과) ,  이정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휴먼서비스연구과) ,  서정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휴먼서비스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뉴스 기사와 사설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거시적 관점에서 국내 산림 정책의 변화와 산림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광복 이후인 1946년부터 2017년까지 7시기로 구분하여 중앙지와 경제지에 보도된 총 13,570건의 '산림'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키워드 및 구조등위성 분석(CONCOR: CONvergence of iterated CORrelation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산림' 키워드의 기사 및 사설의 연도별 보도 건수 비율은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다. 둘째, 보도 분야에 있어서 '산림' 관련 뉴스 데이터는 1기(1946~1966년)에는 사회면에 집중되었다가 2기(1967~1972년)부터 5기(1988~1997년)에는 사회면과 경제면으로, 6기(1998~2007년)에는 문화면까지, 7기(2008~2017년) 이후에는 정치면까지 보도 비율이 높아지는 등 산림 관련 이슈가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기별로 정책적 패러다임의 변화가 사회적 인식 또한 크게 변화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1~2기에 사회적으로는 산림녹화, 보호에 관한 정책보다 생계에 직접적으로 체감되는 문제를 우선적으로 인식하였고 3~6기에 걸쳐서 경제성장을 이룩하면서 산림정책에 대한 계획적·과학적 조림의 필요성 인식(3기), 환경보호에 대한 인식(4기), 국토 보전에 대한 인식(5기), 환경·생태적 관점에서의 인식(6~7기)으로 확장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산림에 관한 정책과 이에 대한 대중의 사회적 인식이 의미화되어 반영된 뉴스 빅데이터 자료를 활용하여 구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향후 사회적 이슈를 도출하는 수단으로서 사설뿐 아니라 블로그, 유튜브 등 다양한 사회관계망 서비스(SNS;Social Network Service)의 텍스트 빅데이터와 GDP와 같은 시대별 경제지표를 더불어 활용한다면 대중의 담론, 인식 등을 좀 더 깊이있게 분석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changes in domestic forest policy and social perception of forests from a macro perspective using big data analysis of news articles and editorials. A total of 13,570 'forest' related data were collected from metropolitan and economic journals from 1946-20...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22)

  1. Ahn, H.N., Ham, S.K. and Kim, Y.W. 2015. The construction of media coverag e on the Sewol Ferry disaster: The analysis of frames, news sources, and disaster reporting guidelines. Korean Review of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11(7): 51-77. 

  2. Bae, J.S. 2007. Establishing process of the 1st 10-year national greening project: At the turning point between the management-oriented approach and administration-oriented approach.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6(3): 269-282. 

  3. Byun, S.Y., Koo, J.C. and Seok, H.D. 2017. Evaluation of major projects of the 5th basic forest plan utilizing big data analysi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6(3): 340-352. 

  4. Chang, H.J. and Kim, D.N. 2016. A study on big data utilization for implementation of the resident participation type safe community planning of the smart city.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9(5): 478-495. 

  5. Chang, J.W. and Park, Y.S. 2015. A study on the policy convergence of forest policy: A paradigm sift to convergence between forest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6): 13-28. 

  6. Choi, Y.N. and Kim, L.S. 2019. A study on the effect of citizen participation on problem stream and policy stream in policy agenda setting: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government trust.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33(2): 277-298. 

  7. Chong, H.G., Park, S.H. and Seok, H.D. 2012. A survey of citizen and forest farmers about forest and forestry policies. Korean Journal of Forest Economics 19(1): 11-17. 

  8. Chung, J.S., Park, E.S. and Kim, K.H. 1996. An analysis on the national project to promote management of private forest management cooperatives: Actual state of its management and cognition of its member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5(3): 487-495. 

  9. Chung, Y.H. and Kahng, S.H. 2015. Unification policy toward N. Korea of Park government and changes in awareness of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the Roh government. Journal of Koreanology 55: 137-168. 

  10. IFS (Institute for the future of state). 2016. 2015 Public opinion survey on the 2040_Social awareness evaluation center, 2017.10.20. 

  11. Jung, S.C., Nam, S.H., Seo, Y.O., Koo, K.S. and Lee, S.Y. 2014. Research of climbers realization about forest fire prevention policy.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8(2): 39-50. 

  12. Cho, E.K., Han, S.Y and Lee, M.H. 2009. Perceptions of urban forest policy in Daegu. Paper presented in Korea Forest Recreation Conference, pp. 31-34. 

  13. Kim, K.H. and Byun, H.W. 2020. The analysis of fashion trend cycle using big dat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12): 113-123. 

  14. Kim, B. and Park, J. 2019. Study on Korea social perceptions on the forest fires of newspaper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8(1): 88-96. 

  15. KREI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6.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 fire 2016. 

  16. Lee, K.J. 2020. National Greening Project in Korea (1960s~1980s) Forest Culture Literature 13: 359-415. 

  17. Lee, J.Y. 2013. Evaluation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forest administration paradigm changes. The Journal of Korean Policy Studies 13(3): 261-279. 

  18. Lim, J.W., Kim, J.G., Ko, A. and Lee, S.G. 2019. A study on development factors of Boeun Jujube Industry: Focusing on Boeun-gun Policy and Big Data Analysis.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23(3): 1-28. 

  19. Nam, S.H., Kim, S.B., Kwon, K.W. and Jeon, H.S. 2008. A study of evaluation for reforestation and silviculture policy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7(1): 10-21. 

  20. Park, J.S. and Yeon, P.S. 2020. A network analysis on the forest healing issues using big data - Focused on Korean web news from 2005 to 2019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4(2): 63-71. 

  21. Shin, D.Y. The development and future of forest leisure sports for the change in forest polic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ort Policy 4(2): 105-118. 

  22. Yu, Y.L. 2017. Analysis of media coverage on 2015 revised curriculum policy using Big Data Analys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Education). Ph. D. diss.,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