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산림 휴양 활동의 변화 요인
Factors Affecting Changes in Forest Recreational Activ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10 no.4, 2021년, pp.711 - 723  

장주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정책연구과) ,  박소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정책연구과) ,  설아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정책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코로나19 발생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 등 제재로 인해 일상과 여가생활이 변화되면서 산림 휴양 활동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국내 산림 휴양 활동의 참여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파악하고 그 변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표본 추출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상호작용항을 포함하는 이항 로짓 모형을 이용하여 코로나19에 따른 산림 휴양 활동 참여의 변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이후 산림 휴양 활동으로서 녹지공간 방문, 숲 야외활동, 산촌 여행에의 참여가 모두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세 유형의 산림 휴양 활동에서 20대보다 40~60대의 참여가 더 크게 감소하여 코로나19 이후 산림 휴양 활동 변화에서 연령이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이 높을수록 코로나19 이후 숲 야외활동 참여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수도권 거주자들은 비수도권 거주자보다 산촌 여행 참여가 덜 감소하였다. 이것으로 볼 때 코로나19 이후 산림 정책은 2030세대의 새로운 산림 휴양 수요에 대응하고 안전한 야외 활동의 공간으로서의 산림과 산촌의 기능을 확대시키기 위한 정보의 제공과 공간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ocial distancing affected daily life and leisure activities, including forest recreational activities. This study identified changes in people's participation in forest recreational activities and factors affecting their participation. It collected data from 1,000 samp...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산림 휴양 활동의 빈도가 전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으로 인해 녹지공간 방문보다 숲 야외활동과 산촌 여행이 더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이 연구는 이러한 산림 휴양 활동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위한 산림 휴양 정책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이 연구는 코로나19 발생 직후 단기간의 산림 휴양 활동의 변화를 조사하여 분석한 연구이다. 그러나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국민들의 스트레스 수준과 여가활동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고, 2021년 2월 말부터 백신 접종이 시작되면서 산림 휴양 활동에 대한 참여 패턴에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이상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해 일상생활과 여가생활이 변화되는 과정에서 산림 휴양 활동의 패턴은 어떻게 달라졌으며, 코로나19 이후 사람들이 산림 휴양 활동 참여 행위를 결정하는 데 어떤 영향 요인이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 따라서 주기적인 감염병 발생으로 일상과 여가생활의 패턴이 바뀌고 있는 상황에서 이에 대비하여 기존의 산림 정책을 점검하고,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이용 수요에 대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이후 국내 산림 휴양의 이용 패턴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파악하고 그 변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산림 이용 수요에 맞는 산림정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S.E., Oh, C.O. and Yoon, T.K. 2021. A synthetic analysis of public survey on awareness of Korean towards the environ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 29(1): 47-75. 

  2. Consumer Insight. 2020. Travel behavior and planning study. http://www.consumerinsight.co.kr/travel/file/(CI)Travel%20Behavior%20and%20Planning%20Study%202020.pdf 

  3. Derks, J., Giessen, L. and Winkel, G. 2020. COVID-19-induced visitor boom reveals the importance of forests as critical infrastructure. Forest Policy and Economics 118: 102253. 

  4. Hwang, K.H. and Kim, H.C. 2020. The effect of dietary trend changed by COVID-19 consumption value on behavioral intention. Tourism Research 45(4): 705-727. 

  5. Hwang et al. 2020. Impact of COVID-19 on agriculture and rural area and its countermeasure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Naju, Korea. pp. 246. 

  6. Jang, S. and Sohn, A. 2020. Understanding public perception of COVID-19 and preventive behaviors based on a semantic network analysi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7(4): 41-58. 

  7. Jang, Y.S., Yoo, R.H. and Lee, J.H. 2020. The characteristics of forest leisure activities and demographic factors influencing visitor preferen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9(2): 231-242. 

  8. Jung, Y.S. and Choi, M.J. 2014. Why the elderly choose downtown parks as daily leisure place?: Focusing on scale and distance effect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9(1): 51-62. 

  9. Kim, Y.J. and Cho, J.H. 2020. Correlation between preventive health behaviors and psycho-social health based on the leisure activities of South Koreans in the COVID-19 crisi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7(11): 4066. 

  10. Koo, Y. 2020. COVID-19 and changes in global value chains of Korea.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23(3): 209-228. 

  11.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20. Untact society and changes in tourism behavior after the COVID-19 using big data. https://datalab.visitkorea.or.kr/site/portal/ex/bbs/View.do;ksessionidLb4Zvr9orxRgiE-ABXF1sx253vkHyLRS49zMFPoX.wiws02?cbIdx1129&bcIdx14624&cateConttlt02&searchKey&searchKey2&tgtTypeCd (2020.06.15). 

  12. Korean National Park Service. 2020. Increases in visitors to three national parks in the urban area. https://www.me.go.kr/home/web/board/read.do;jsessionidkCDHizGNmduJd+Rx7ke99SKH.mehome1?pagerOffset1000&maxPageItems10&maxIndexPages10&searchKey&searchValue&menuId&orgCd&boardId1387440&boardMasterId1&boardCategoryId&decorator(2020.07.27). 

  13. Kwon, Y. and Kim, E. 2013. Analysis of determinants on tourist demand of accommodat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6(4): 151-169. 

  14. Lee, D.G., Jeoung, Y.M., Lee, M.M., Shin, W.S. and Yoon, Y.K. 2020. The effect of socio-psychological stress on mental well-being mediated by perceived restorativeness-focusing on visitors whose motive for visiting the forest is 'COVID-19'.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4(3): 99-108. 

  15. Lee, S.H. 2020. COVID-19 spread and changes in the income and expense of households. Monthly Labor Review 189: 7-20.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1. Coronavirus disease-19 cases in Korea. http://ncov.mohw.go.kr (2021.06.10). 

  17. Noh, J.H. and Han, E.J. 2012. Market segmentation or recreation forest visitors by choice attributes.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24(4): 421-440. 

  18. Parady, G., Taniguchi, A. and Takami, K. 2020. Travel behavior chang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Japan: Analyzing the effects of risk perception and social influence on going-out self-restriction. Transportation Research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7: 100181. 

  19. Park, K.H., Lee, S.Y. and Kim, J.W. 2020. Leisure changes of university students by COVID-19 and the relationship on leisure motivation and health belief.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and Park 44(3): 69-86. 

  20. Sung, M., Chin, M., Chang, Y.E. and Son, S. 2020. Changes in daily life and perceived stress of single-person household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ocusing on social support and family resilience. Journal of Family Relations 25(3): 3-20. 

  21. Wise, T., Zbozinek, T.D., Michelini, G., Hagan, C.C. and Mobbs, D. 2020. Changes in risk perception and self-reported protective behaviour during the first week of the COVID-19 pandemic in the United States. Royal Society Open Science 7(9): 20074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