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들의 진로 성숙도가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 구직 효능감의 매개효과 및 성격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 of Career Maturity on Career Decision Certainty Level for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Job-Seeking Efficacy Moderated by Personali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9, 2021년, pp.404 - 418  

정우진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정승철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 성숙도가 가들의 진로 결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구직 효능감이 이를 매개할 때 성격 요인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5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이를 위계적 회귀분석과 Hayes의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해당 변인들의 조절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진로 성숙도와 진로 결정 수준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진로 성숙도가 구직 효능감의 매개를 통해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성격의 5요인 중 외향성 요인이 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해당 변인들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이 결론 및 논의에서 다루어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personality and job-seeking efficacy in the process of college students' career maturity affecting their career decision certainty level.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54 college students attending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앞선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하여 진로 성숙도가 구직 효능감을 거쳐서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개인의 성격특성 특히 외향성 요인이 조절 변인으로써 이러한 매개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 가설 2
  • 가설 3
  • 가설 4
  • 가설 5
  • 가설 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3)

  1. 김유천, 신인수, "대학생 진로.커리어 코칭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코칭연구, 제14권, 제1호, pp.49-69, 2021. 

  2. 김정량, 김혜연, "대학생의 학습 및 진로코칭프로그램에 대한 효과 : 3UP 학습 및 진로코칭을 중심으로." 코칭연구, 제12권, 제1호, pp.5-32, 2019. 

  3. E. Ginzberg, S. W. Ginsburg, S. Axelrad, and J. L. Herma, Occupational choice: An approach to a general theor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51. 

  4. D. E. Super, A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In D. Brown, & L. Brooks(Ed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2nd ed.): applying contemporary theories to practice(2nd 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p.197-261, 1990. 

  5. 신윤미, 오미자, "대학생의 자기주도성, 대학몰입, 비교과 만족이 진로준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3호, pp.205-216, 2021. 

  6. 임언, 장홍근, 윤형한, 직업진로교육의 실태 및 과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7. 장현진, 정윤경, 김민경, 류지영, 국가진로교육센터 운영 지원: 대학 진로교육 현황조사, 서울: 교육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8. https://www.chosun.com/economy/economy_general/2020/10/19/VTIK2X2WVFDSJF26H2SDN3DEHA/, 2021.04.23. 

  9. 송지은, 이정윤, "진로미결정 여대생 집단의 하위유형 연구," 상담학연구, 제14권, 제4호, pp.2107-2123, 2013. 

  10. http://www.newsway.co.kr/news/view?ud2020102009532740629, 2020.10.23. 

  11. S. H. Osipow, C. G. Carney, and A. Barak, "A scale of educationalvocational undecidedness: A Psychological approach,"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9, pp.233-243, 1976. 

  12. J. L. Holland, and J. E. Holland, "Vocational indecision: More evidence and specul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24, No.5, pp.404-414, 1977. 

  13. D. L. Blustein and D. A. Noumair, "Self and identity in career development: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Vol.74, No.5, pp.433-441, 1996. 

  14. D. L. Blustein and S. D. Phillips, "Relation between ego identity statuses and decision-making styl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37, No.2, pp.160-198, 1990. 

  15. 김대진, 천성문, 이영순, "자아존중감 및 진로태도성숙이 전문대학생의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치료연구, 제1권, 제2호, pp.15-30, 2009. 

  16. W. Patton and P. A. Creed, "Developmental issues in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status,"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Vol.49, No.4, pp.336-351, 2001. 

  17. J. O. Crites, "A model for the measurement of vocational maturit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8, No.3, pp.255-259, 1961. 

  18. 최지원, 청년층의 경력 유형 연구: 외환위기 당시 및 이후 코호트의 비교, 서울대학교, 국내박사학위논문, 2015. 

  19. 김재호, 초등학생의 가족체계화 자기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 관계, 서울대학교, 국내박사학위논문, 2006. 

  20. 이종원, 최은수,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사회적지지, 진로동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성인교육학회, 제18권, 제1호, pp.33-54, 2015. 

  21. G. Hackett and N. E. Betz,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18, No.3, pp.326-339, 1981. 

  22. 유태용, 한태영, 안상수, 신강현, 한영석, 탁진국, 노혜미, "성격이 실직자들의 행동, 생애만족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건강, 제11권, 제1호, pp.107-124, 2004. 

  23. 이상희, 최춘희, 신상수, "재취업구직자의 성격 5 요인이 구직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고용지원집단 프로그램 참가자를 대상으로," 인간이해, 제32권, 제1호, pp.85-102, 2011. 

  24. M. M. Nauta, "Self-Efficacy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Factors and Career Interest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Vol.12, No.4, pp.381-394, 2004. 

  25. P. J. Rottinghaus, L. D. Lindley, M. A. Green, and F. H. Borgen, "Educational aspirations: The contribution of personality, self-efficacy, and interes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1, No.1, pp.1-19, 2002. 

  26. A. Atli, "The Effects of Trait-Factor Theory Based Career Counseling Sessions on the Levels of Career Maturity and Indecision of High School Students," Univers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4, No.8, pp.1837-1847, 2016. 

  27. S. Coertse and J. M. Schepers, "Some personality and cognitive correlates of career maturity," SA Journal of Industrial Psychology, Vol.30, No.2, pp.56-73, 2004. 

  28. M. L. Savickas, W. C. Briddick, and C. E. Watkins Jr, "The relation of career maturity to personality type and social adjustment,"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Vol.10, No.1, pp.24-49, 2002. 

  29. I. J. Park, "The role of affect spi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career indecision, and career maturity," Frontiers in psychology, Vol.6, 1754. 2015. 

  30. D. E. Super, "A theory of vocational development," The American Psychologist, Vol.8, pp.185-190, 1953. 

  31. 안아영, 초등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긍정적 사고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국내석사학위논문, 2021. 

  32. D. E. Super, The psychology of careers; an introduction to vocational development, Harper & Bros, 1957. 

  33. J. O. Crites, Theory and research handbook for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2nd ed), Monterey, McGraw-Hill, 1978. 

  34. 임언, 서유정, 최수정, 김인형, 진로심리검사 개정 및 활용 프로그램 개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2. 

  35. 구현영, 박현숙, "일부 지역 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아동간호학회지, 제11권, 제3호, pp.322-329, 2005. 

  36. 이기학, 한종철, "진로태도 측정도구의 타당화를 위한 도구," 진로교육연구, 제8권, 제1호, pp.219-255, 1997. 

  37. 김충기, 진로교육의 본질, 서울: 평민사, 1983. 

  38. 이충국, 진로태도 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39. E. A. Oppenheimer, "The relationship between certain self constructs and occupational preferenc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13, pp.191-197, 1966. 

  40. K. M. Taylor and N. E. Betz,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22, No.3, pp.63-81, 1983. 

  41. J. O. Crites, Vocational Psychology The Study of Vocational Behavior and Development, McGraw-Hill, 1969. 

  42. 김충기, 진로상담의 이론과 실제, 서울: 성원사, 1989. 

  43. 강선영, 아이덴티티 발달수준과 진로미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국내석사학위논문, 1996. 

  44. 김은영, "남녀 대학생의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9권, 제4호, pp.1079-1100, 2007. 

  45. F. T. L. Leong and S. Chervinko, "Construct Validity of Career Indecision: Negative Personality Traits as Predictors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Vol.4, No.3, pp.315-329, 1996. 

  46. S. J. Hagstrom, T. S. Skovholt, and D. A. Rivers, "The Advanced Undecided College Student: A Qualitative Study," NACADA Journal, Vol.17, No.2, pp.23-30, 1997. 

  47. M. S. Lucas and D. L. Epperson, "Personality Types in Vocationally Undecided Students,"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Vol.29, pp.460-465, 1988. 

  48. M. A. Talib and T. K. Aun, "Predictors of career indecision among Malaysian undergraduate students," European Journal of Social Sciences, Vol.8, No.2, pp.215-224, 2009. 

  49. 최유열,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국내석사학위논문, 2012. 

  50. 강승희, "공학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결정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직업교육연구, 제29권, 제3호, pp.291-307, 2010. 

  51. A. Bandura, "The explanatory and predictive scope of self-efficacy theor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Vol.4, No.3, pp.359-373, 1986. 

  52. A. B. Larson and S. M. Smith, "Establishing the construct of work self-efficacy in people with disabilities: A literature review," VECAP Journal, Vol.Spring, pp.30-43, 2009. 

  53. D. Nesdale and K. Pinter, "Self-efficacy and job-seeking activities in unemployed ethnic youth,"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140, No.5, pp.608-614, 2000. 

  54. A. M. Saks and B. E. Ashforth, "Change in job search behavior and employment outcom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56, pp.277-287, 2000. 

  55. R. Kanfer and C. L. Hulin, "Individual differences in successful job searches following lay-off," Personnel psychology, Vol.38, No.4, pp.835-847, 1985. 

  56. R. D. Caplan, A. D. Vinokur, R. H. Price, and M. Van Ryn, "Job seeking, reemployment, and mental health: a randomized field experiment in coping with job lo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4, No.5, p.759, 1989. 

  57. 김민정, 김봉환, "불안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제20권, 제1호, pp.13-25, 2007. 

  58. 박수길, 한국대학생이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변인과 개인 변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국내박사학위논문, 2001. 

  59. 이성식, 정철영, "여대생이 인식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인과모형,"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39권, 제4호, pp.83-109, 2007. 

  60. F. Guay, C. F. Ratelle, C. Senecal, S. Larose, and A. Deschenes, "Distinguishing developmental from chronic career indecision: Self-efficacy, autonomy, and social support,"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Vol.14, No.2, pp.235-251, 2006. 

  61. L. J. Krass and K. F. Hughey, "The impact of an intervention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ndecision,"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Vol.2, No.5, p.384, 1999. 

  62. L. Nota, L. Ferrari, V. S. H. Solberg, and S. Soresi, "Career search self-efficacy, family support, and career indecision with Italian youth,"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Vol.15, No.2, pp.181-193, 2007. 

  63. K. M. Taylor and J. Popma,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salience, locus of control, and vocational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37, No.1, pp.17-31, 1990. 

  64. 김민희, 이제경, "전문대 재학생이 지각한 직업기초능력과 진로결정수준, 구직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 진로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pp.111-128, 2017. 

  65. 박예영, 이동형,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의 역할," 직업교육연구, 제33권, 제2호, pp.85-101, 2014. 

  66. P. T. Costa and R. R. McCrae, Neo personality inventory-revised (NEO PI-R),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92. 

  67. 길명숙, 류덕위, 김명숙, "성격 5 요인 조절효과를 통한 창업가정신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제12권, 제1호, pp.47-60, 2017. 

  68. A. D. Fabio, L. Palazzeschi, L. Asulin-Peretz, and I. Gati, "Career indecision versus indecisiveness: Associations with personality traits and emotional intelligenc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Vol.21, No.1, pp.42-56, 2013. 

  69. 신선미, 대졸 청년층 취업기회의 성별격차 해소방안,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3. 

  70. 박인숙, 한용준, "간호대학생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진로태도 성숙도, 진로정체감, 스트레스 대처와 전공에 대한 수업만족도 차이에 관한 연구," 취업진로연구, 제7권, 제1호, pp.145-167, 2017. 

  71. 한예정, 이종호, "대학생들의 가치관에 따른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제19권, 제2호, pp.76-92, 2013. 

  72. 어윤경, "청소년기 진로상담 만족도, 대학 전공만족도 및 진로성숙도간의 관계 분석: 대학 전공선택 요인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제12권, 제5호, pp.1793-1811, 2011. 

  73. 정승철, 한태영, 이요행, 이만기, 형용사 성격검사의 개발 및 경력적응과의 관계 분석, 서울: 한국고용정보원. 2008. 

  74. 김현옥,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관련변인과의 상관관계, 건국대학교, 국내박사학위논문, 1989. 

  75. 김상은, 안세지, 김희진, "대학생용 구직효능감 척도개발 및 타당화," 교육치료연구, 제9권, pp.383-403, 2017. 

  76. A. F. Hay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Guilford Press, 2013. 

  77. L. A. Goodman, "Snowball sampling," The Annals of Mathematical Statistics, Vol.32, No.1, pp.148-170, 1961. 

  78. 교육부, "2018 대학 진로교육 포럼 자료," 2018. 

  79. 강희순, "대학생의 성별, 학년, 진로의식이 진로개발 준비도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실천연구, Vol.9, No.3, pp.83-104, 2010. 

  80. 박효희, 성태제, "성별 진로성숙도 변화에 있어 부모-청소년 자녀 유대가 미치는 종단적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제19권, 제1호, pp.117-142, 2008. 

  81. D. Luzzo, "Gender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perceived barriers in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Vol.73, pp.319-325, 1995. 

  82. B. W. Westbrook, Career maturity: The concept, the instruments, and the research. In W. B.Walsh & S. H. Osipow (eds.), Handbook of vocational psychology (Vol.1, pp.263-303), Hillsdale, NJ: Erlbaum, 1984. 

  83. S. King, "Sex differences in a causal model of career maturity,"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Vol.68, pp.208-215, 198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