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콘텐츠명의 개념적 유창성이 콘텐츠 호감에 미치는 효과 : 정보처리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Digital Contents and Their Conceptual Fluency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formation Processing Styl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9, 2021년, pp.1 - 11  

고민정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  이루리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  김규리 (울산과학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콘텐츠 시장은 꾸준히 성장해왔다. 이에 더해 코로나 19를 기점으로 콘텐츠 소비량이 급속도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콘텐츠 관련 소비자 행동에 대한 심층적 고찰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핵심요인으로서 콘텐츠명에 주목하였다. 콘텐츠명의 개념적 유창성(conceptual fluency)이 콘텐츠에 대한 호감도(liking)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또한 소비자의 정보처리성향(언어적 vs. 시각적)을 조절변수로 제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개념적 유창성이 높을 때 소비자는 콘텐츠에 대해 더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소비자의 언어적 정보처리성향과 콘텐츠명의 개념적 유창성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 호감도를 높이는 전략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특히, 정보처리성향이라는 소비자 특성 변수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무적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omestic content market has grown continuously. Furthermore, content consumption has rapidly increased in the COVID-19 era. For these reason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consumer behavior related to content business. This study focuses on content names as a key factor that induces consumers'...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콘텐츠명의 특성 (i.e., 개념적 유창성) 과소비자의 개인적 정보처리성향 (i.e., 언어적 vs. 시각적 정보처리 성향) 간에 어떠한 상호작용이 나타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소비자의 콘텐츠 정보처리 과정에 대한보다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가설 1
  • 가설 2-1. 소비자의 언어적 정보처리성향이 높은 경우, 콘텐츠명의 개념적 유창성이 높은 경우와 낮은 경우 간에 콘텐츠 호감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을 것이다.
  • 가설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https://www.opensurvey.co.kr 

  2. 정지욱, 이정순, "국내 화장품 브랜드의 상품명 분석,"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제18권, 제1호, pp.91-103, 2016. 

  3. 정강옥, 브랜드명과 심벌의 일치성, 제품지식을 중심으로 한 브랜딩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 브랜드명의 관련성과 심벌의 기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1. 

  4. R. K. Teas and S. Agarwal, "The Effects of Extrinsic Product Cues on Consumers' Perceptions of Quality, Sacrifice, and Value,"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28, No.2, pp.278-290, 2000. 

  5. 이정미, 신형덕, 조성호, "제목의 패턴이 영화 흥행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제32권, pp.179-186, 2014. 

  6. H. Cho, "The Malleable Effect of Name Fluency on Pharmaceutical Drug Perceptio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20, No.10, pp.1369-1374, 2015. 

  7. C. Chang, "Imagery Fluency and Narrative Advertising Effects," Journal of Advertising, Vol.42, No.1, pp.54-68, 2013. 

  8. A. Pocheptsova, A. A. Labroo, and R. Dhar, "Making Products Feel Special: When Metacognitive Difficulty Enhances Evalua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47, No.6, pp.1059-1069, 2010. 

  9. A. Y. Lee and A. A. Labroo, "The Effect of Conceptual and Perceptual Fluency on Brand Evalua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41, No.2, pp.151-165, 2004. 

  10. A. A. Labroo, R. Dhar, and N. Schwarz, "Of Frog Wines and Frowning Watches: Semantic Priming, Perceptual Fluency, and Brand Evalu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34, No.6, pp.819-831, 2008. 

  11. T. L. Childers, M. J. Houston, and S. E. Heckler, "Measurement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visual versus verbal information process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2, pp.125-134, 1985. 

  12. https://www.etri.re.kr/webzine/20180427/sub01.html 

  13. D. M. Oppenheimer, "The Secret Life of Fluency,"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Vol.12, No.6, pp.237-241, 2008. 

  14. A. L. Alter and D. M. Oppenheimer, "Uniting the Tribes of Fluency to Form a Metacognitive Nat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Vol.13, No.30, pp.219-235, 2009. 

  15. N. Novemsky, R. Dhar, N. Schwarz, and I. Simonson, "Preference Fluency in Choic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44, No.3, pp.347-356, 2007. 

  16. N. Schwarz, "Metacognitive Experiences in Consumer Judgement and Decision Making,"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14, No.40, pp.332-348, 2004. 

  17. P. Winkielman and J. T. Cacioppo, "Mind at Ease Puts a Smile on the Face: Psychophysiological Evidence that Processing Facilitation Elicits Positive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1, No.6, pp.989-1000, 2001. 

  18. P. Winkielman, T. F. Schwarz, and R. Reber, The Psychology of Evaluation: Affective Processes in Cognition and Emotion. Mahwah,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003. 

  19. R. F. Bornstein and P. R. D'Agostino, "The Attribution and Discounting of Perceptual Fluency: Preliminary Tests of a Perceptual Fluency/Attributional Model of the Mere Exposure Effect," Social Cognition, Vol.12, No.2, pp.103-128, 1994. 

  20. S. B. Hamann, "Level-of-processing Effects in Coneptually Driven Implicit Task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Vol.16, No.6, pp.970-977, 1990. 

  21. S. Shapiro, "When an Ad's Influence Is Beyond Our Conscious Control: Perceptual and Conceptual Fluency Effects Caused by Incidental Ad Exposur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6, No.1, pp.16-36, 1999. 

  22. D. A. Aaker and K. L. Keller, "Consumer Evaluations of Brand Extensions," Journal of Marketing, Vol.54, No.1, pp.27-41, 1990. 

  23. K. L. Keller, S. E. Heckler, and M. J. Houston, "The Effects of Brand Name Suggestiveness on Advertising Recall," Journal of Marketing, Vol.62, No.1, pp.48-57, 1998. 

  24. S. Lee and D. W. Baack, "Meaning or Sound? The Effects of Brand Name Fluency on Brand Recall and Willingness to Buy," Journal of Promotion Management, Vol.20, No.5, pp.521-536, 2014. 

  25. R. Reber, T. A. Fazendeiro, and P. Winkielman, "Processing Fluency as the Source of Experiences at the Fringe of Consciousness," Psyche, Vol.8, No.10, pp.1-21, 2002. 

  26. J. E. Escalas, "Narrative Processing: Building Consumer Connections to Brand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14, No.1-2, pp.168-180, 2004. 

  27. 박지혜, 김영성, "지각적 vs. 개념적 유창성이 복수 제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 고객 선택형 번들링을 중심으로," 마케팅연구, Vol.29, No.1, pp.21-42, 2014. 

  28. L. Percy and J. R. Rossiter, Mediating Effects of Visual and Verbal Elements in Print Advertising upon Belief, Attitude, and Intention Responses. In Advertising and Consumer Psychology, Toronto: Lexington Books, pp.171-196, 1983. 

  29. 김정운, 이루리, 고민정, "영화 제목의 처리 유창성이 상품 태도에 미치는 영향: 상상적 유창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Vol.38, No.1, pp.181-190, 2020. 

  30. 조세형, 이충무, "온라인 구매사이트의 정보콘텐츠가 정보서비스만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영화상품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pp.323-335, 2012. 

  31. D. J. MacInnis, "Constructs and Measure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Imagery Processing: A Review,"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14, pp.88-92, 1987. 

  32. James R. Bettman and Pradeep Kakkar, "Effects of Information Presentation Format on Consumer Information Acquisition Strategi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3, pp.233-240, 1977. 

  33. J. R. Rossiter and L. Percy, "Visual Imaging Ability as a Mediator of Advertising Response,"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5, pp.621-629, 1978. 

  34. D. J. Maclnnis and L. L. Price, "The Role of Imagery in Information Processing: Review and Extensio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3, pp.473-491, 1987. 

  35. 신경희, 김초복, "대상, 공간 및 언어 인지양식에 따른 작업기억 과제 수행의 개인차,"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제25권, 제4호, pp.539-563, 2013. 

  36. 조경자, 한광희,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인지양식이 학습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제14권, 제3호, pp.165-185, 2002. 

  37. D. Yan, J. Sengupta, and J. Hong, "Why Does Psychological Distance Influence Construal Level? The Role of Processing Mod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43, No.4, pp.598-613, 2016. 

  38. 강다영, 정보 유형, 해석 수준, 정보처리 유형이 광고 평가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9. 양윤, 김혜미, "대안 제시형태, 대안 수의 크기, 정보처리양식이 소비자의 선택 과부하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제19권, 제2호, pp.429-450, 2018. 

  40. R. S. Wyer Jr., I. W. Hung, and Y. Jiang, "Visual and Verbal Processing Strategies in Comprehension and Judgement,"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18, No.4, pp.244-257, 2008. 

  41. 고민정, 김정운, 이루리, "제품명의 개념적 유창성이 제품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 상상적 유창성을 통한 권태성향의 조절된 매개효과," 마케팅관리연구, 제25권, 제2호, pp.63-85, 2020. 

  42. H. N. Yu, H. Park, and C. J. Jeong, "Translation Strategies for Film Titles in Korea: Exploring Actual Viewers' Responses in Cognitive and Behavioural Aspects," 통번역학연구, 제23권, 제3호, pp.89-116, 2019. 

  43. https://www.maxmovie.com/news/389050 

  44. 이유재, 최우진, "제품배치(PPL)가 소비자의 브랜드 회상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여도와 PPL 관련 사전 정보 인지여부의 조절적 역할," 광고학연구, 제15권, 제3호, pp.91-112, 2004. 

  45. J. H. Nielson and J. E. Escalas, "Easier is not Always Better: The Moderating Role of Processing Type on Preference Fluency,"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20, pp.295-305, 2010. 

  46. J. R. Kirby, P. J. Moore, and N. J. Schofield, "Verbal and Visual Learning Style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Vol.13, No.20, pp.169-184, 1988. 

  47. 양윤, 김수희, "광고 불일치성과 광고기억: 정보처리 양식의 조절적 역할," 광고학연구, 제11권, 제1호, pp.7-33, 2000. 

  48. L. G. Portney and M. P. Watkins, Foundations of Clinical Research: Applications to Practice, Vol.892,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Prentice Hall, 2009. 

  49. J. Hua, G. Gu, W. Meng, and Z. Wu, "Age Band 1 of the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Second Edition: Exploring its Usefulness in Mainland China,"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Vol.34, No.2, pp.801-808, 2013. 

  50. 김동욱,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미디어.콘텐츠 노동 환경의 변화," 방송과 미디어, 제22권, 제3호, pp.252-261, 2017. 

  51. 최이정, "웹 콘텐츠의 정보제시유형이 어린이 뉴스정보처리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5권, 제3호, pp.113-122, 200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