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목록규칙에서 판과 쇄의 서지요소 기술형식 개선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Descriptive Form of the Edition and Impression in the Korean Cataloguing Rule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52 no.3, 2021년, pp.217 - 238  

이명규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현행의 목록규칙에서 판과 쇄차표시, 발행년 표시 등의 서지요소를 기술하는 문제점을 파악해보고, 한국목록규칙과 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의 개선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서관에서 정보기술 환경의 변화에 따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목록의 수준과 범위를 조정해야 할 것이다. 자료가 다양해지고, 메타데이터의 기술방식이 발전함에 따라 서지요소의 개발과 기술방식의 변경이 기존 표준화의 틀을 바꾸고 있다. 연구방법으로 판과 쇄의 용어 개념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기존 목록규칙을 대상으로 이 표기에 대한 변천과정을 살펴보며, KCR4를 중심으로 목록 예시를 통해 추가하거나 수정해야할 서지기술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KORMARC 작성에 반영하는 형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에서는 단행본 도서의 기술형식으로만 한정하고자 한다. 도서관목록의 서지기술요소는 기술대상자료의 서지요소와 완전히 일치해야 한다. 이에 목록규칙의 개선(안)은 먼저, 목록규칙의 판사항에 판표시와 쇄차표시를 기술하도록 한다. 그리고 발행년의 기술은 해당 판의 최초발행년 기술이 아니라 최신발행년을 기술하게 한다. 발행년의 기술범위는 발행월까지 확대한다. 둘째, KORMARC형식에서 판사항에서 쇄차표시는 250필드 식별기호에 부여하며, 쇄차표시는 2쇄부터 숫자로 기술한다. 발행년월의 표시는 260필드의 한 식별기호에는 발행년을 적고 다른 식별기호에는 발행월을 기술한다. 발행년월은 해당출판물의 표제면과 판권기에 실려있는 최신년월이 기술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describing bibliographic elements such as edition, impression, and year of publication in the current Cataloging Rules, and to present improvements to the KCR and the KORMARC Format. According to changes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

주제어

참고문헌 (16)

  1. Jeong, Pil-Mo (2005). Introduction to CatalogingI. Gyeonggi Paju: KSI. 

  2. Jung, Tae Won (1986). Publishing, Printing, Library Copyright, Bibliography, Mass Com Dictionary. Seoul: Ilseogak. 

  3. Kim, Nam Seuk (2008). Introduction to Cataloging (4th Edition). Daegu: Keimyung University Press. 

  4. Korean Library Association (1964). Korean Cataloging Rules.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5. Korean Library Association (1966). Korean Cataloging Rules (2nd ed.).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6. Korean Library Association (1983). Korean Cataloging Rules (3rd ed.).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7.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03). Korean Cataloging Rules (4th ed.).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8.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10). The Glossar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vised edition).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9. Korean Publishing Research Institute (2002). Publication Terminology Dictionary. Seoul: Bumwoosa. 

  10. Lee, Myounggyu (2019).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bibliographical description of the date of publication in the catalog.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0(1), 1-21. 

  11. National Library of Korea (1985). Korean Machine Readable Cataloging Rules: Monograph (Enlarged edition).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12.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4). Korean Machine Readable Cataloging Format: Integrated Format for Bibliographic Data (Revised ed.)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Available: https://librarian.nl.go.kr/kormarc/kormarc_2014/index.html 

  13. Son, Sung Woo & Lee, Jo Heok (1970). Introduction to Cataloging Western Books. Seoul: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14. IFLA(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 and Institutions) (2011). ISBD (International Standard Bibliographic Description) (Consolidated Edition). Berlin: Walter De Gruyter Gmb. 

  15. 알라딘중고서점. 출처: https://www.aladin.co.kr/ 

  16. YES24중고매점. 출처: http://www.yes24.co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