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굴피나무 잎 추출물의 위암세포에 대한 세포사멸 유도 효과
Induction of Apoptosis in AGS Human Gastric Cancer Cells by Platycarya strobilacea Leaf Extract 원문보기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49 no.3, 2021년, pp.283 - 288  

이형선 (중원대학교 임상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굴피나무 잎 추출물로부터 사람 위암세포주인 AGS 세포에 대한 apoptosis가 유도되어 항암 활성을 가지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AGS 세포에 굴피나무 잎 추출물을 농도별(0, 50, 150, 200 ㎍/ml)로 처리하여 세포에서 나타나는 양상들을 확인하였다. MTS 측정으로 암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굴피나무 잎 추출물에 따라 농도의존적으로 세포에 독성을 보였으며, 이러한 세포 죽음이 apoptosis 유도에 의한 것인지를 annexin V/FITC-PI 염색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early apoptosis를 보이는 세포의 양상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굴피나무 잎 추출물의 처리는 세포 주기에서 sub-G1기의 증가로 암세포가 더 이상 분열하지 못하고 증식이 억제됨을 보여준다. 내인성 경로에 관여하는 Bax, Bak, Bcl-2, Bcl-xL의 증감을 mRNA 수준에서 RT-PCR로 확인한 결과, Bax, Bak가 증가하고, Bcl-2, Bcl-xL이 감소를 동반하며 미토콘드리아를 통한 세포사멸신호전달 경로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굴피나무 잎 추출물은 사람 위암세포에 대한 항암 활성을 가지는 효능적 가치가 있음에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추가적인 동물실험을 통한 인체적용시험의 효능 검증을 통해 의약품 개발 가능성을 확인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cancer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from Platycarya strobilacea leaf in AGS human gastric cancer cells. We determined the cell viability effect of P. strobilacea using MTS assay. Apoptosis induction and cell cycle arrest were confirmed by fluorescein isothiocyanate an...

주제어

표/그림 (4)

참고문헌 (26)

  1. Song M, Shin GY. 1987. Efficaey of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raining in reducing nausea and vomiting, anxiety and symptom distress of cancer chemotherapy. J. Nurs. Acad. Soc. 17: 195-203. 

  2. Shin SA, Lee HN, Choo GS, Kim SJ, Kim HJ, Park YS, et al. 2016. Induction of apoptosis and inhibition of growth in human gastric cancer by piperin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 1589-1594. 

  3. Kim EJ, Park H, Lim SS, Kim JS, Shin HK, Yoon JH. 2008. Effect of the hexane extract of Saussurea lappa on the growth of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07-214. 

  4. Hsu HF, Houng JY, Kuo CF, Tsao N, Wu YC. 2008. Glossogin, a novel phenylpropanoid from Glossogyne tenuifolia, induced apoptosis in A549 lung cancer cells. Food Chem. Toxicol. 46: 3785-3791. 

  5. Kim GM, Lee AR, Lee KW, Park JY, Chun J, Cha J, et al. 2009. Characterization of a 27 kDa fibrinolytic enzyme from Bacillus amyloliquefaciens CH51 isolated from chenggukjang. J. Microbiol. Biotechnol. 19: 997-1004. 

  6. Kim SR, Lee HH, Kim MJ, Seo MJ, Hong SH, Choi YH, et al. 2010. Induction of apoptosis by ethanol extracts of fermented agabeans in AGS human gastric carcinoma cells. J. Life Sci. 20: 1872-1881. 

  7. Oda E, Ohki R, Murasawa H, Nemoto J, Shibue T, Yamashita T, et al. 2000. Noxa, a BH3-only member of the Bcl-2 family and candidate mediator of p53-induced apoptosis. Science 288: 1053-1058. 

  8. Yang HJ, Kim EH, Kang ST, Park SN. 2009. Antibacterial activity of Platycarya strobilacea extract and stability of the extract-containing cream.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7: 170-175. 

  9. Choi YH, Chae SG, Kim JH, Gang SJ, Baeg NI, Han JT. 2003. Isolation of an antifungal compound from aerial parts of Platycarya strobilacea. J. Korea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268-270. 

  10. Babu D, Lee JS, Park SY, Thapa D, Choi MK, Kim AR, et al. 2008. Involvement of NF-kappaB in the inhibitory actions of Platycarya strobilacea on the TNF-alpha-induced monocyte adhesion to colon epithelial cells and chemokine expression. Arch. Pharm. Res. 31: 727-735. 

  11. Yang HJ, Park SN. 2008.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Platycarya strobilacea extract and clinical trial. J. Soc. Cosmet. Sci. Korea 34: 275-286. 

  12. Lee HJ, Lee SK, Choi YJ, Jo HJ, Kang HY, Choi DH. 2007. Extractives from the bark of Platycarya strobilacea. J. Korean Soc. Forest Sci. 96: 408-413. 

  13. Lee JH, Kwon YS, Kim CM. 1998. Flavonoids from the stem bark of Platycarya strobilacea. Korean J. Pharmacogn. 29: 353-356. 

  14. Hashemzaei M, Far AD, Yari A, Heravi RE, Tabrizian K, Taghdisi SM, et al. 2017. Anticancer and apoptosis-inducing effects of quercetin in vitro and in vivo. Oncol. Rep. 38: 819-828. 

  15. Cincin ZB, Unlu M, Kiran B, Bireller ES, Baran Y, Cakmakoglu B. 2014. Molecular mechanisms of quercitrin-induced apoptosis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Arch. Med. Res. 45: 445-454. 

  16. Ryu DS, Kim SH, Kwon JH, Lee DS. 2014. Orostachys japonicus induces apoptosis and cell cycle arrest through the mitochondria-dependent apoptotic pathway in AGS human gastric cancer cells. Int. J. Oncol. 45: 459-469. 

  17. Kaufmann SH, Henqartner MO. 2001. Programmed cell death: alive and well in the new millennium. Trends Cell Biol. 11: 526-534. 

  18. Li B, Geo Y, Rankin GO, Rojanasakul Y, Cutler SJ, Tu Y, et al. 2015. Chaetoglobosin K induces apoptosis and G2 cell cycle arrest through p53-dependent pathway in cisplatin-resistant ovarian cancer cells. Cancer Lett. 356: 418-433. 

  19. Buolamvini JK. 2000. Cell cycle molecular targets in novel anti-cancer drug discovery. Curr. Pharm. Des. 6: 379-392. 

  20. Diaz-Moralli S, Tarrado-Casterllamau M, Miranda A, Cascante M. 2013. Targeting cell cycle regulation in cancer therapy. Pharmacol. Ther. 138: 255-271. 

  21. Bae JT, Chang JS, Lee KR. 2002. Effect of Sarcodon aspratus extract on expression of cell cycle174 associated proteins in HepG2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329-332. 

  22. Xie QC, Yang YP. 2014. Anti-proliferative of physcion 8-O-β-glucopyranoside isolated from japonicus Houtt. on A549 cell lines via inducing apoptosis and cell cycle arrest. BMC Complement. Altern. Med. 14: 377. 

  23. Fulda S, Debatin KM. 2006. Extrinsic versus intrinsic apoptosis pathways in anticancer chemotherapy. Oncogene 25: 4798-4811. 

  24. Lavrik IN. 2010. Systems biology of apoptosis signaling networks. Curr. Opin. Biotechnol. 21: 551-555. 

  25. Moon DO, Kim MO, Choi YH, Kim ND, Chang JH, Kim GY. 2008. Bcl-2 overexpression attenuates SP600125-induced apoptosis in human leukemia U937 cells. Cancer Lett. 264: 316-325. 

  26. Park C, Hyun SK, Shin WJ, Chung KT, Choi BT, Kwon HJ, et al. 2009. Esculetin induces apoptosis through caspase-3 activation in human leukemia U937 cells. J. Life Sci. 19: 249-25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