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찹쌀풀 첨가량에 따른 김치의 발효 중 대사산물 및 전분 구조 변화
Understanding the targeted metabolites and molecular structure of starch in Kimchi according to glutinous rice paste content during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3 no.5, 2021년, pp.514 - 520  

정두연 (경북대학교 식품외식산업학과) ,  이주헌 (신한대학교 식품조리과학부) ,  정현정 (전남대학교 식품영양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찹쌀풀 첨가량에 따른 김치를 제조하여 저장기간에 따라 김치의 품질 특성, 당과 관련된 대사산물, 전분 구조 변화를 분석하였다. 찹쌀풀 함량이 높을수록 김치의 발효과정이 가속화하여 pH의 감소와 총균수의 증가 속도가 빠른 경향을 보여 상대적으로 빠르게 김치의 적숙기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찹쌀풀의 전분을 빠르게 가수분해하여 많은 양의 전분 유래대사산물인 glucose, maltose, mannitol을 생성하였으며, 반대로 fructose와 sorbitol 함량은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김치발효 중 찹쌀풀 함량이 높을수록 아밀로펙틴 긴 사슬은 감소한 반면 짧은 사슬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김치 제조 시 첨가되는 찹쌀풀의 함량에 따라 전분 구조의 차이를 나타냈으며 이에 따른 대사산물과 이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dentified and quantified the sugar-related metabolites and analyzed the structural features of starch in kimchi add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glutinous rice paste during fermentation. The pH values and total bacterial counts indicated that the fermentation of kimchi with 10% gluti...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22)

  1. AACC. In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11th ed. Methods 76-13.01.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2000) 

  2. Aarnikunnas J, Ronnholm K, Palva A. The mannitol dehydrogenase gene (mdh) from Leuconostoc mesenteroides is distinct from other known bacterial mdh genes. Appl. Environ. Microb. 59:665-671 (2002) 

  3. Choi YJ, Hwang YS, Hong SW, Lee MA.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according to garlic content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 1638-1648 (2016) 

  4. Choi H, Islam MS. Antidiabetic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Baechu (Chinese cabbage) Kimchi in a type2 diabetes model of rats. J. Med. Food. 12: 292-297 (2009) 

  5. Ha JH, Hawer WS, Kim YJ, Nam YJ. Changes of free sugars in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633-683 (1989) 

  6. Hahn YS, Oh JY, Song JE. The study on amylolytic enzyme and protease activities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269-273 (2002) 

  7. Hanashiro I, Abe J, Hizukuri S. A periodic distribution of the chain length of amylopectin as revealed by high-performance anion-exchange chromatography. Carbohyd. Res. 283: 151-159 (1996) 

  8. Hu Y, Ketabi A, Buchko A, Ganzle MG. Metabolism of isomalto-oligosaccharides by Lactobacillus reuteri and bifidobacterial. Lett. Appl. Microbiol. 57: 108-114 (2013) 

  9. Jang MS, Park MO. Effect of glutinous rice paste on the fermentation of Puchukimchi. Korean J. Food Cook Sci. 14: 421-429 (1998) 

  10. Jeong DY, Lee JH, Chung HJ. Analysis of targeted metabolites and molecular structure of starch to understand the effect of glutinous rice paste on Kimchi fermentation. Molecules. 23: 3324-3335 (2018) 

  11. Jeong SH, Lee SH, Jung JY, Choi EJ, Jeon CO. Microbial succession and metabolite changes during long-term storage of Kimchi. J. Food Sci. 78: M763-M769 (2013) 

  12. Jung JY, Lee SH, Lee HJ, Seo HY, Park WS, Jeon CO. Effects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starter cultures on microbial communities and metabolites during Kimchi fermentation. Int. J. Food Microbiol. 153: 378-387 (2012) 

  13. Kim D, Lee S, Ro HK. Effects of fermented Dendropanax morbifera extract on the quality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8: 1120-1126 (2019) 

  14. Lee SH, Choi WJ. Effects of medicinal herbs' extracts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and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24-629 (1998) 

  15. Lee GC, Han JA. Changes in the contents of total vitamin C and reducing sugars of starchy pastes 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14: 201-206 (1998a) 

  16. Lee GC, Han JA. Changes in phys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starchy pastes 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14: 195-200 (1998b) 

  17. Mheen TI, Kwon TW.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1984) 

  18. Park WP.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as affected by the addition of xanthan g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423-427 (2002) 

  19. Park SE, Yoo SA, Seo SH, Lee KI, Na CS, Son HS. GC-MS based metabolomics approach of Kimchi for the understanding of Lactobacillus plantarum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LWT-Food Sci. Technol. 68: 313-321 (2016) 

  20. Ryu JY, Lee HS, Rhee HS. Changes of organic acid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Kimchis fermented with different ingredi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167-174 (1984) 

  21. Seo SH, Park SE, Kim EJ, Lee KI, Na CS, Son HS. A GC-MS based metabolomics approach to determine the effect of salinity on Kimchi. Food Res. Int. 105: 492-498 (2018) 

  22. Yun JY, Jeong JK, Moon SH, Park KY. Effects of brined baechu cabbage and seasoning on fermentation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1081-1087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