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놀이 공간으로써 유아교실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천 연구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 of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as Play space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6 no.4, 2020년, pp.111 - 133  

구가령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임부연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eachers organize and operate early childhood classroom, as play areas. Methods: Four teachers who had been aware of importance of play and were motivated to form an early childhood classroom as a play area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32)

  1. 강승지, 손연주 (2018). 유아는 바뀐 교실 공간에 낯설어 했지만, 차근히 적응해 나갔다. 생태유아교육연구, 17(3), 1-24. doi:10.30761/ecoece.2018.17.3.1 

  2. 교육부 (2019). 유치원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3. 김경애, 임부연 (2016). 고경력 유아교사의 삶: 교사실존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3(1), 267-296. doi:10.24211/tjkte.2016.33.1.267 

  4. 김미래, 남기원 (2016). 실외 자연놀이에서 나타나는 2세 영아의 조망수용경험 및 친사회적 경험의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20(6), 309-334. 

  5. 김민우, 강승지, 이연선 (2017). 유아 공간 연구 동향 분석. 유아교육연구, 37(4), 479-499. doi:10.18023/kjece.2017.37.4.020 

  6. 김소향, 조준오, 이주옥 (2018). 유아교사의 '좋은 놀이'에 대한 은유(metaphor)적 인식. 유아교육연구, 38(6), 161-190. doi:10.18023/kjece.2018.38.6.007 

  7. 김영천 (2012). 질적연구방법론. 1: Bricoleur.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8. 김영천 (2016). 질적연구방법론. 1: Bricoleur.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9. 김희연 (2013). 유아교육에서의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2), 521-544. 

  10. 배지현 (2014). 교육과정 연구에서 르페브르(H. Lefebvre)의 공간생산론의 활용 가능성 탐색. 교육과정연구, 32(2), 41-65. doi:10.15708/kscs.32.2.201406.003 

  11. 변기동, 권주영, 하미경 (2015). 안전성 향상을 위한 유아시설 실내환경 계획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4(2), 197-205. 

  12. 서경혜 (2010). 교사공통체의 실천적 지식. 한국교원교육연구, 27(1), 121-148. doi:10.24211/tjkte.2010.27.1.121 

  13. 손유진 (2011). 자유놀이에서 유아들이 생각하는 선생님의 의미. 유아교육연구, 31(1), 271-288. doi:10.18023/kjece.2011.31.1.013 

  14. 심미연, 임재택 (2008). 유아교육기관의 통합된 공간에서 나타나는 아이들의 일상생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7(3), 75-100. 

  15. 연희정, 김은주, 송주은 (2015). 유아교육기관의 '교실'과 '바깥놀이터'에 대한 유아교사의 은유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7), 673-699. 

  16. 이경화, 송원경, 남미경, 정혜영, 김남희, 손유진 등 (2018). 유아교사론: 유아교사-되기 운동. 서울: 학지사. 

  17. 이슬, 최경란 (2014). 국내.외 유아보육시설 비교를 통한 국내 유아보육시설 공간디자인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5(1), 481-489. 

  18. 이승숙, 송나리, 배지희 (2017).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생각과 갈등. 육아지원연구, 12(4), 215-240. doi:10.16978/ecec.2017.12.4.009 

  19. 이현경 (2007). 실내?외 놀이환경에서 걸음마기 영아의 놀이행동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1), 97-121. 

  20. 이효원 (2018).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이 체험하는 공간의 의미.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임부연, 오정희, 최남정 (2008). 비구조적인 자유놀이 시간에 유아들이 보여주는 '진짜 재미있는 놀이'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8(1), 185-209. doi:10.18023/kjece.2008.28.1.009 

  22. 임부연, 손연주 (2019). 유아교육과정의 맥락 속에서 살펴본 '놀이-배움'의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3), 265-287. doi:10.22251/jlcci.2019.19.3.265 

  23. 임부연, 양혜련, 송진영 (2012). 유아가 경험하는 교실 공간의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249-272. 

  24. 임부연, 이정금 (2013). 교육공간으로서 유아들이 경험하는 숲의 의미. 유아교육학논집, 17(5), 187-208. 

  25. 임부연 (2017). 미래사회 준비를 위한 '놀이'중심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개정방향 모색. 교육혁신연구, 27(4), 59-78. doi:10.21024/pnuedi.27.4.201712.59 

  26. 장상옥 (2015). 유아교육기관의 물리적 환경 관련 연구 동향. 유아교육학논집, 19(5), 143-170. 

  27. 조민영, 김은주 (2015). 안도 다다오의 건축이 유아교육기관 공간구성에 주는 함의. 열린유아교육연구, 20(2), 271-295. 

  28. 조민영, 임재택 (2005). 유아교육기관의 생태건축 기법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일본의 두 어린이집사례를 중심으로. 영유아보육연구, 12, 45-68. 

  29. Bollnow, O. F. (2011). Mensch und Raum, 인간과 공간(이기숙 옮김). 서울: 에코리브르(원판 1963). 

  30. Lefebvre, H. (2011). (La) production de l'espace, 공간의 생산 (양영란 옮김). 서울: 에코리브르(원판 1974). 

  31. Patton, M. Q. (2017). Qualitative research & evaluation methods, 질적연구 및 평가 방법론(김진호, 나장함, 차동춘, 조대훈, 조윤경, 임정완 등 옮김). 경기: 교육과학사(원판 2015). 

  32. Sellers, M. (2018). Young children becoming curriculum: Deleuze, Te Whariki and curricular understandings, 어린이의 교육과정 되기: 들뢰즈, 테 파라키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손유진, 안효진, 유혜령, 윤은주, 이경화, 이연선 등 옮김). 서울: 창지사(원판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