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연기념물 제415호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의 사면안정성 평가 및 낙석 위험 범위 설정
A Study on Evaluation of Slope Stability and Range of Rockfall Hazard of Daljeon-ri Columnar Joint in Pohang, Korea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7 no.5, 2021년, pp.505 - 515  

김재환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  강무환 (거창화강석 연구센터) ,  공달용 (문화재청, 국제협력과) ,  좌용주 (경상국립대학교 지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천연기념물 제415호, 이하 주상절리)에 대한 사면안정성 평가 및 낙석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낙석의 최대 에너지, 도약높이, 이동거리를 산출하였으며, 낙석 위험 범위를 설정하였다. 주상절리가 분포하는 사면의 경우 왼쪽(SW)에서 오른쪽(NE)에 이르기까지 93.79°, 131.99°, 165.54°, 259.84°의 경사방향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부채꼴의 형상을 하고 있다. 이러한 사면의 경사방향을 따라 4구간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구간별 노출되어 있는 주상절리의 단면에서 개별적인 불연속면의 방향성을 측정한 결과 1구간은 125개, 2구간은 261개, 3구간은 262개, 4구간은 43개로 확인된다. 평사투영법을 이용한 각 구간별 사면 안정성 평가 결과, 평면 및 전도파괴 영역에 해당되나 이는 노출된 주상절리면의 개별 방향성에 대한 해석 결과로 주상절리에 대하여 평면 및 전도파괴의 가능성을 진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현재에도 발생되고 있는 낙석으로부터 위험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낙석 시뮬레이션을 통해 측정된 낙석의 최대 이동거리는 약 66 m이며, 낙석 위험 범위는 사면 아래 전 영역이 해당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낙석의 거동은 지형학적 요인에 의해 다양한 방향으로 굴러떨어져 낙하지점을 예측하기 힘들기 때문에 낙석으로부터 안정성 확보를 위한 낙석 방지시설 설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slope stability of the Pohang Daljeon-ri columnar joint (Natural Monuments # 415) and calculated the maximum energy, jumping height and moving distance of rockfalls using a simulation. Based on the results, we established the range of rockfall risk. The slopes of the ...

주제어

참고문헌 (28)

  1. 국토교통부, 2019,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낙석방지시설 편-. 12. 

  2. 산림청, 2019, 산사태위험지도, https://sansatai.forest.go.kr. 

  3. Ahn, K.S., 2010, Geology and landscape of Mt. Mudeung Province Park, Korea.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9(2), 109-1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Ahn, K.S., 2014, Research strategy on columnar joint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5(7), 501-5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Ahn, K.S., Hun, M. and Son, J.M., 2014, Geological history and landscape of Mudeungsan National Park.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0(1), 91-10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Barton, N.R., 1974, A review of the shear strength of filled discontinuities in rock. Norwegian Geotechnical Inst. Publ., Oslo, 105. 

  7. Dowling, R. and Newsome, D., 2006, Geotourism. Elsevier, Cornwall, 260. 

  8. Dowling, R. and Newsome, D., 2008, Global Geotourism Conference Proceedings, 478. 

  9. Heo, C.H. and Choi, S.H., 200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to promote tourism geology: A case study in Taean Seashore National Park. Journal of the Korea Earth Science Society, 28(1), 75-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Hose, T.A., 1995, Telling the story of Britain's stone.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10, 16-17. 

  11. Hose, T.A., 2003, Geotourism in England: A two-ression case study analysis. Unpublished thesis, Birmingham: Department of Ancient History and Archaeology, University of Birmingham. 

  12. Hwang, S.K. and Kim, J.H., 2009, Topographical landscapes and their controlling geological factors in the Juwangsan National Park: Welding facie and columnar joints.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8(3), 195-20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Jin, K.M. and Kim, Y.S., 2010, Study on development and value for geotourism of horizontal columnar joints at the Jeongja beach area, Ulsan and Eupchon beach area, Gyeongju.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6(4), 413-4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B.K., 1970. A study on the Neogene Tertiary deposits in Korea.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6, 77-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J.H., Yu, Y.W., Jung, S.H., Kim, T.H., Moon, D.H. and Kong, D.Y., 2018, Petrological study on Basaltic rocks of the Daljeon-ri Columnar Joint and the Noeseongsan Noerok Site in Pohang.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7(4), 185-19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M.C., Kim, J.S., Jung, S.H., Son, M. and Sohn, Y.K., 2011, Bimodal volcanism and classification of the Miocene Basin Fill in the northern area of the Janggi-myen, Pohang, Southeast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7(6), 585-6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o, C.S., Kim, M.R.C., No, J.D., Kang, S.S., 2016,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n Ipseok-dae columnar joints of Mt. Mudeung National Park.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6(3), 383-3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Koh, J.S., Yun, S.H. and Hong, H.C., 2005, Morphology and petrology of Jisagae columnar joint on the Daepodong basalt in Jeju Island,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4(4), 212-2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Korea Forest Service, 2019, Landslide hazard map, https://sansatai.forest.go.kr. 

  20. Lee, H.K., Moon, H.S., Min, K.D., Kim, I.S., Yun, H. and Itaya, T., 1992, Paleomagnetism, stratigraphy and geologic structure of the Tertiary Pohang and Changgi basins: K-Ar ages for the volcanic rock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25, 337-3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Ritchie, A.M., 1963, Evaluation of rockfall and its control, Highway Research Board Record, Washington, 17, 13-28. 

  2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9, Road safety facilities installation and management guidelines-Rock prevention facilities-. 12. 

  23. Son, M. and Kim, I.S., 1994, Geological structures and evolution of the Tertiary Chongja basin, southeastern margin of the Korean peninsul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27, 65-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Son, M., 1998, Formation and evolution of the Tertiary Miocene basins in southeastern Korea: Structural and paleomagnetic approaches. Ph. D.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2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Son, M., Seo, H.J. and Kim, I.S., 2000. Geological structures and evolution of the Miocene Eoil Basin, southeastern Korea. Geosciences Journal, 42, 73-88. 

  26. Son, M., Kim, I.S. and Sohn, Y.K., 2005. Evolution of the miocene waup basin, SE Korea, in response to dextral shear along the southwestern margin of the East Sea (Sea of Japan).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 25, 529-544. 

  27. Song, C.W., Kim, H.J., Kim, J.S., Kim, M.C. and Son, M., 2015, Stratigraphic implication of the Daljeon Basalt in the Miocene Pohang Basin, SE Korea,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4(4), 323-3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Stueve, A.M., Cock, S.D. and Drew, D., 2002, The Geotourism study: Phase I Executive Summary. National Geographic, Washington. D.C.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