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사의 자아존중감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Soldier's Self-esteem on Adaptation to Military Lif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10, 2021년, pp.564 - 575  

김정희 (중앙승가대학교 불교사회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병사의 자아존중감이 군 생활 적응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탐색하고, 그 관계에 있어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강원도 소재 육군 병사 230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차이검증, 위계적회귀분석, 매개효과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첫째, 차이검증 결과 일반적 특성 중 건강상태가 좋은편인 경우, 가족건강성이 좋을수록, 친구 수가 없는 경우보다 있는 경우, 계급이 이등병과 상병인 경우보다 병장인 경우, 고민상담할 대상이 없는 경우보다 있는 경우 군 생활 적응 수준이 더 높았다. 둘째, 위계적회귀분석 결과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병과가 전투병과일수록, 고민상담할 대상이 있을수록 군 생활 적응을 잘하였다. 또한 주요변수인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낮을수록 군 생활 적응 수준이 높았다. 셋째, 매개효과 분석 결과 자아존중감과 군 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우울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대처하기 위한 요인으로 자아존중감 향상과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of soldiers and adaptation to military life and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such relationship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0 Army soldiers based in Gangwon-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병사의 자아존중감과 군 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문제를 토대로 한 주요 논의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정미경, 고기숙, "군 병사들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이 자살의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복지연구, 제40권, 제4호, pp.453-483, 2009. 

  2.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706 3493, 2021.05.12 

  3.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233862, 2021.05.12. 

  4. 김정희, "가족건강성과 회복탄력성이 초급부사관의 군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군사회복지학, 제11권, 제2호, pp.25-53, 2018. 

  5. 송정애, 장정순, 이하나, "병사들의 가족기능과 군 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군사회복지학, 제7권, 제1호, pp.63-95, 2014. 

  6. 김성희, 김승혁, "군 복무 병사의 회복탄력성, 스마트폰 이용 동기, 스마트폰 과의존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군 생활 스트레스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군사회복지학, 제13권, 제2호, pp.5-36, 2020. 

  7. 국방부, 국방조사본부, 2021. 

  8. 인은희, 오선영, 오정옥, 이동춘, 이영희, 이화명, 최병태,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서원, 2019. 

  9. D. R. Shaffer, Developmental Psychology Childhood and Adolescence(5th), California: Brooks/Cole, 1999. 

  10. 진석범, 군 장병들의 스트레스 요인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1. C. Tennant, "Life events, stress and depression: A Review of recent findings,"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Vol.36, No.2, pp.173-182, 2002. 

  12. 남연희, 노준, 김영삼, "육군병사들의 가족건강성과 자기효능감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단의 장병들을 대상으로," 한국군사회복지학, 제11권, 제1호, pp.157-179, 2018. 

  13. 정미원, 장성화, "특기병의 가족건강성과 군 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상담심리교육복지, 제7권, 제2호, pp.27-41, 2020. 

  14. 정봉기, 김완일, "병사들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조망수용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9호, pp.453-471, 2019. 

  15. 조은영,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병사의 군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에 의한 공동체 의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7권, 제6호, pp.309-335, 2020. 

  16. 김종효, 김경순, 변상해, "신세대 초임병사의 종교성향이 군 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스트레스대처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군사회복지학, 제11권, 제2호, pp.107-138, 2018. 

  17. 이길구,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부적응 병사의 자아존중감, 군 생활 스트레스, 군 생활 적응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인문사회21, 제9권, 제4호, pp.993-1007, 2018. 

  18. 연미선, 문재우, "병사의 스트레스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군사회복지학, 제11권, 제2호, pp.5-24, 2018. 

  19. 원현준, 현명호, "이등병의 군 생활 스트레스와 군 생활 적응의 관계," 스트레스연구, 제24권, 제2호, pp.85-94, 2016. 

  20. 이대식, 서혜석, 변상해, "육군병사의 군 생활 스트레스, 자살생각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군사회복지학, 제9권, 제1호, pp.5-31, 2016. 

  21. 장경화, "불교명상을 근간으로 한 군 생활 적응 프로그램이 군 스트레스, 군 생활 적응, 불안, 우울, 마음챙김에 미치는 효과," 동아시아불교문화, 제25호, pp.411-433, 2016. 

  22. 고기숙, 정미경, "현역 병사들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불안, 우울과 군 생활 적응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294-306, 2011. 

  23. 현명선, 정향인, 강희선, "군인들의 군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제18권, 제3호, pp.305-312, 2009. 

  24. 신응섭, "군복무 부적응자의 심리적 특성 분석," 한국군사학논집, 제54권, pp.1-19, 1997. 

  25. 김귀옥 "남북 사회문화 공동체 형성을 위한 대안과 통일방안 모색," 한국사회과학, 제22권, 제3호, pp.83-118, 2000. 

  26. R. C. Stauffer and R. McKeon, Science and civilization,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49. 

  27. 구희곤, 임수원, "군병사의 스포츠참여와 집단응집성, 군 생활 적응성, 조직효과성 간의 인과모형," 한국체육학회지, 제50권, 제5호, pp.297-307, 2011. 

  28. 구승신, 신세대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29. 오현철, 사회적지지가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공군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0. C. Peterson, N. Park, and C. A. Castro, "Assessment for the US army comprehensive soldier fitness program: The global assessment tool," American Psychologist, Vol.66, No.1, pp.10-18, 2011. 

  31. 이혜주,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32.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33. S. Coopersmith,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 H. Freeman, 1967. 

  34. 임종수, 최용민, 박선태, 원유나, "입대 전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와 사회적지지, 군 생활 적응의 관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인문사회21, 제10권, 제5호, pp.1561-1576, 2019. 

  35. 장정기, 고재량, 김경순, "해병대 병사가 지각한 가족건강성,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와 군 생활 적응 간의 구조 관계적 분석," 한국군사회복지학, 제7권, 제1호, pp.97-125, 2014. 

  36. 이보람, 어머니의 우울궤적에 따라 나눈 집단별 생애초기 아동발달의 차이: 아프리카의 말라위 사례,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37. A. T. Beck, Cognitive Therapy and the Emotional Disorder, New York, NY: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976. 

  38. 이상현, 군 병사들의 수면과 정신건강의 상관성 연구: 우울, 스트레스, 자살생각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39. M. Kovacs, D. Goldston, and C. Gatsonic, "Suicidal behaviors and childhood-onset depressive disorders: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Vol.32, No.1, pp.8-20, 1993. 

  40. G. Klerman, "Clinical Epidemiology of suicid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Vol.48, pp.33-38, 1987. 

  41. 김형수, "한국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제22권, 제1호, pp.159-172, 2002. 

  42. 김현순, 김병석, "자살생각과 그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제20권, 제2호, pp.201-209, 2008. 

  43. 김성범, 김진숙, "사관후보생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상담학연구, 제12권, 제6호, pp.1915-1933, 2011. 

  44. 김갑숙, 전영숙, 이철우, "청소년의 부모 애착, 자아분화,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가족치료, 제17권, 제1호, pp.209-224, 2009. 

  45. T. J. Owens, "Two dimensions of self-esteem: reciprocal effects of positive self-worth and self-deprecation on adolescent problem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59, pp.391-407, 1994. 

  46. 육성필, 자살관련 변인의 탐색과 치료 프로그램 개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47. 김형래, "메타분석에 의한 병사 자살위험 요인 연구," 국방정책연구, 제111권, pp.189-220, 2016. 

  48. 구승신, "신세대 병사의 정신건강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사회사업, 제24권, pp.64-93, 2006. 

  49. 김선아, 김현례, 우정희, 박수인, "일 지역 육군 군인들의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수준, 불안, 우울," 정신간호학회지, 제20권, 제1호, pp.81-90, 2011. 

  50. 정은주, 병사의 정신건강과 스트레스 대처가 군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51. 조순영, 병사들의 건강증진 행위, 정신건강, 군 생활적응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52. 김정은, 병사의 군 생활 적응을 위한 개인역량과 사회적 관계망 연구: 스트레스 대처모델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53. 이자영, 남숙경, 이미경, 이지희, 이상민, "Rosenberg의 자아존중감 척도: 문항수준타당도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제21권, 제1호, pp.173-189, 2009. 

  54. 정다운, 군 홍보영상 시청경험이 해군 신병의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55. A. T. Beck, M. Kovacs, and A. Weissman,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47, No.2, pp.343-352, 1979. 

  56.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57. 안효자, 배영주, 조명숙, 김은하, 김영옥, 이영례, 김정, "후방 공군병사의 의사소통, 회복탄력성, 정신건강이 군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7호, pp.694-703, 2016.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